<앵커 멘트>
오늘(22일)이 한미 FTA 발효 100일, 이달 말이면 한EU FTA 1년을 맞이합니다.
FTA 체결로 수입 가격이 대부분 내렸지만, 왜곡된 유통 구조 탓에 가격이 그대로이거나 되레 오른 품목도 있었습니다.
그 이유를 최대수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한-미 FTA 발효 이후 오렌지와 체리 값은 18%와 48%씩 하락했습니다.
포도와 오렌지주스 가격도 8% 넘게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전동 칫솔은 오히려 만 원 올랐고 맥주와 위스키, 치약, 샴푸 값은 요지 부동입니다.
<인터뷰> 이미영(서울 응암동) : "과일은 좀 떨어진 것 같은데, 다른 품목은 가격이 하락했다는 게 와닿지 않아요."
이유는 관세 인하 폭만큼 값이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
실제로 가격 하락폭이 관세 인하율을 웃돈 품목은 전기 다리미와 체리 등 6개 품목에 불과합니다.
이러다 보니 소비자들에게 가격 인하 효과를 체감시켜 주기 위해서는 관세 인하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수입업체와 도매상, 소매상을 거치는 복잡한 유통구조가 더 큰 문제라는 겁니다.
수입품 유통단계를 줄여 유통 마진을 줄이는 한편, 외국 제조사와 수입업자 간의 독점계약도 손질해 경쟁을 일으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 소비자연대) : "병행 수입을 도입해 유통망을 다양화하고, 또한 직접 판매를 통해서 유통 단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통해 온라인상에서의 가격 하락 압력이 오프라인 매장까지 확산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오늘(22일)이 한미 FTA 발효 100일, 이달 말이면 한EU FTA 1년을 맞이합니다.
FTA 체결로 수입 가격이 대부분 내렸지만, 왜곡된 유통 구조 탓에 가격이 그대로이거나 되레 오른 품목도 있었습니다.
그 이유를 최대수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한-미 FTA 발효 이후 오렌지와 체리 값은 18%와 48%씩 하락했습니다.
포도와 오렌지주스 가격도 8% 넘게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전동 칫솔은 오히려 만 원 올랐고 맥주와 위스키, 치약, 샴푸 값은 요지 부동입니다.
<인터뷰> 이미영(서울 응암동) : "과일은 좀 떨어진 것 같은데, 다른 품목은 가격이 하락했다는 게 와닿지 않아요."
이유는 관세 인하 폭만큼 값이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
실제로 가격 하락폭이 관세 인하율을 웃돈 품목은 전기 다리미와 체리 등 6개 품목에 불과합니다.
이러다 보니 소비자들에게 가격 인하 효과를 체감시켜 주기 위해서는 관세 인하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수입업체와 도매상, 소매상을 거치는 복잡한 유통구조가 더 큰 문제라는 겁니다.
수입품 유통단계를 줄여 유통 마진을 줄이는 한편, 외국 제조사와 수입업자 간의 독점계약도 손질해 경쟁을 일으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 소비자연대) : "병행 수입을 도입해 유통망을 다양화하고, 또한 직접 판매를 통해서 유통 단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통해 온라인상에서의 가격 하락 압력이 오프라인 매장까지 확산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한EU FTA 효과 미미…“유통구조 바꿔야”
-
- 입력 2012-06-22 06:48:23

<앵커 멘트>
오늘(22일)이 한미 FTA 발효 100일, 이달 말이면 한EU FTA 1년을 맞이합니다.
FTA 체결로 수입 가격이 대부분 내렸지만, 왜곡된 유통 구조 탓에 가격이 그대로이거나 되레 오른 품목도 있었습니다.
그 이유를 최대수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리포트>
한-미 FTA 발효 이후 오렌지와 체리 값은 18%와 48%씩 하락했습니다.
포도와 오렌지주스 가격도 8% 넘게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전동 칫솔은 오히려 만 원 올랐고 맥주와 위스키, 치약, 샴푸 값은 요지 부동입니다.
<인터뷰> 이미영(서울 응암동) : "과일은 좀 떨어진 것 같은데, 다른 품목은 가격이 하락했다는 게 와닿지 않아요."
이유는 관세 인하 폭만큼 값이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
실제로 가격 하락폭이 관세 인하율을 웃돈 품목은 전기 다리미와 체리 등 6개 품목에 불과합니다.
이러다 보니 소비자들에게 가격 인하 효과를 체감시켜 주기 위해서는 관세 인하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수입업체와 도매상, 소매상을 거치는 복잡한 유통구조가 더 큰 문제라는 겁니다.
수입품 유통단계를 줄여 유통 마진을 줄이는 한편, 외국 제조사와 수입업자 간의 독점계약도 손질해 경쟁을 일으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 소비자연대) : "병행 수입을 도입해 유통망을 다양화하고, 또한 직접 판매를 통해서 유통 단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통해 온라인상에서의 가격 하락 압력이 오프라인 매장까지 확산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최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