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한반도의 허파로 불리는 백두대간은 수천 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한반도 생태계의 보곱니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과 외래 식물의 확산 등으로 백두대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음이 우거진 백두대간,
산맥 곳곳이 도로 개설과 석산 개발로 잘려나갔습니다.
산맥을 깎아낸 채석장은 돌덩이가 흉물스럽게 남아 있고, 공사가 중단된 채석장엔 산업 폐기물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인터뷰> 박연수 (백두대간 연구소장): "북쪽으로는 속리산으로 남쪽으로는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중심구간입니다. 백두대간 마루금이 단절된 구간이기도 합니다."
산 경계를 따라 설치된 철책선은 나무를 그대로 관통했고,
아름드리 나무들은 밑동까지 잘려나갔습니다.
외래식물도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유럽이 원산지인 이 '애기수영'은 들판은 물론 산속 곳곳에 깊숙이 침투했습니다.
뾰족한 가시와 동그란 열매가 맺힌 '도깨비가지'.
잎사귀에 하얀 털이 무성한 '돼지풀'도 군락을 이뤘습니다.
<인터뷰> 전숙자(산림청 보은국유림관리소 숲해설가): "8월달 정도 되면 꽃대가 올라오는데, 꽃가루가 날리면 코의 점막을 자극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범인데.."
저는 지금 백두대간 능선의 중심에 와 있습니다.
이곳은 외래식물인 미국쑥부쟁이가 점령하면서 토종식물은 아예 자취를 감췄습니다.
백두대간 '괘방령'부터 '여시골산' 구간에서 발견된 외래식물 개체수는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이성우 (청주충북환경연합 정책팀장): "우리나라 전 국토가 외래종이 뒤덮는 상황이 되겠죠. 왜냐면 외래종이 가장 침범하기 어려운 곳이 높은 고산지대인데, 거기까지 현재 침범한 상황이니까요."
무분별한 개발과 외래 식물 확산으로 백두대간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한반도의 허파로 불리는 백두대간은 수천 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한반도 생태계의 보곱니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과 외래 식물의 확산 등으로 백두대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음이 우거진 백두대간,
산맥 곳곳이 도로 개설과 석산 개발로 잘려나갔습니다.
산맥을 깎아낸 채석장은 돌덩이가 흉물스럽게 남아 있고, 공사가 중단된 채석장엔 산업 폐기물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인터뷰> 박연수 (백두대간 연구소장): "북쪽으로는 속리산으로 남쪽으로는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중심구간입니다. 백두대간 마루금이 단절된 구간이기도 합니다."
산 경계를 따라 설치된 철책선은 나무를 그대로 관통했고,
아름드리 나무들은 밑동까지 잘려나갔습니다.
외래식물도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유럽이 원산지인 이 '애기수영'은 들판은 물론 산속 곳곳에 깊숙이 침투했습니다.
뾰족한 가시와 동그란 열매가 맺힌 '도깨비가지'.
잎사귀에 하얀 털이 무성한 '돼지풀'도 군락을 이뤘습니다.
<인터뷰> 전숙자(산림청 보은국유림관리소 숲해설가): "8월달 정도 되면 꽃대가 올라오는데, 꽃가루가 날리면 코의 점막을 자극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범인데.."
저는 지금 백두대간 능선의 중심에 와 있습니다.
이곳은 외래식물인 미국쑥부쟁이가 점령하면서 토종식물은 아예 자취를 감췄습니다.
백두대간 '괘방령'부터 '여시골산' 구간에서 발견된 외래식물 개체수는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이성우 (청주충북환경연합 정책팀장): "우리나라 전 국토가 외래종이 뒤덮는 상황이 되겠죠. 왜냐면 외래종이 가장 침범하기 어려운 곳이 높은 고산지대인데, 거기까지 현재 침범한 상황이니까요."
무분별한 개발과 외래 식물 확산으로 백두대간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난개발·외래 식물 확산…신음하는 ‘백두대간’
-
- 입력 2012-07-30 07:10:34
<앵커 멘트>
한반도의 허파로 불리는 백두대간은 수천 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한반도 생태계의 보곱니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과 외래 식물의 확산 등으로 백두대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음이 우거진 백두대간,
산맥 곳곳이 도로 개설과 석산 개발로 잘려나갔습니다.
산맥을 깎아낸 채석장은 돌덩이가 흉물스럽게 남아 있고, 공사가 중단된 채석장엔 산업 폐기물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습니다.
<인터뷰> 박연수 (백두대간 연구소장): "북쪽으로는 속리산으로 남쪽으로는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중심구간입니다. 백두대간 마루금이 단절된 구간이기도 합니다."
산 경계를 따라 설치된 철책선은 나무를 그대로 관통했고,
아름드리 나무들은 밑동까지 잘려나갔습니다.
외래식물도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유럽이 원산지인 이 '애기수영'은 들판은 물론 산속 곳곳에 깊숙이 침투했습니다.
뾰족한 가시와 동그란 열매가 맺힌 '도깨비가지'.
잎사귀에 하얀 털이 무성한 '돼지풀'도 군락을 이뤘습니다.
<인터뷰> 전숙자(산림청 보은국유림관리소 숲해설가): "8월달 정도 되면 꽃대가 올라오는데, 꽃가루가 날리면 코의 점막을 자극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범인데.."
저는 지금 백두대간 능선의 중심에 와 있습니다.
이곳은 외래식물인 미국쑥부쟁이가 점령하면서 토종식물은 아예 자취를 감췄습니다.
백두대간 '괘방령'부터 '여시골산' 구간에서 발견된 외래식물 개체수는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이성우 (청주충북환경연합 정책팀장): "우리나라 전 국토가 외래종이 뒤덮는 상황이 되겠죠. 왜냐면 외래종이 가장 침범하기 어려운 곳이 높은 고산지대인데, 거기까지 현재 침범한 상황이니까요."
무분별한 개발과 외래 식물 확산으로 백두대간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
함영구 기자 newspower@kbs.co.kr
함영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