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군대 내에서 도를 넘어서는 지나친 표현들이 SNS,즉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퍼지면서 군 기강 해이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숨진 훈련병 덕분에 군 생활이 편해졌다는 글까지 올라오자, 군 당국이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강원도 철원의 모 교육대.
30km 야간행군을 하던 훈련병이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습니다.
이 훈련병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이튿날 숨지고 말았습니다.
나흘 뒤 한 SNS,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올라온 글입니다.
한 병사의 희생으로 자신과 같은 하사들이 꿀을 빤다고 적혀 있습니다.
행군 도중 훈련병이 숨진 덕분에 30도가 넘으면 모두 쉰다면서 심지어 '멋지다'는 표현까지 쓰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은 훈련병의 죽음 앞에 직업 군인이 공개적으로 쓸 글이 아니라며 분노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불거지자 군 당국은 글을 올린 부사관의 신원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제는 한 병사가 부대 안에서 후임병으로 보이는 세 명을 일렬로 세운 뒤 총구를 들이대는 사진 등이 개인 홈피에 올라왔습니다.
<녹취> 전병규(대령/육군 공보과장) : "이런 내용은 관련 규정에 따라서 엄중하게 조치할 것입니다."
올해 초부터 만들어진 '군 장병 SNS 활용' 지침서에는 군사정보를 누설하거나 군 기강과 품위를 훼손하면 안 된다고 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지침서가 무색할 정도로 최근 SNS를 통한 '군 기강 해이' 사건이 이어지면서 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군대 내에서 도를 넘어서는 지나친 표현들이 SNS,즉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퍼지면서 군 기강 해이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숨진 훈련병 덕분에 군 생활이 편해졌다는 글까지 올라오자, 군 당국이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강원도 철원의 모 교육대.
30km 야간행군을 하던 훈련병이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습니다.
이 훈련병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이튿날 숨지고 말았습니다.
나흘 뒤 한 SNS,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올라온 글입니다.
한 병사의 희생으로 자신과 같은 하사들이 꿀을 빤다고 적혀 있습니다.
행군 도중 훈련병이 숨진 덕분에 30도가 넘으면 모두 쉰다면서 심지어 '멋지다'는 표현까지 쓰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은 훈련병의 죽음 앞에 직업 군인이 공개적으로 쓸 글이 아니라며 분노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불거지자 군 당국은 글을 올린 부사관의 신원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제는 한 병사가 부대 안에서 후임병으로 보이는 세 명을 일렬로 세운 뒤 총구를 들이대는 사진 등이 개인 홈피에 올라왔습니다.
<녹취> 전병규(대령/육군 공보과장) : "이런 내용은 관련 규정에 따라서 엄중하게 조치할 것입니다."
올해 초부터 만들어진 '군 장병 SNS 활용' 지침서에는 군사정보를 누설하거나 군 기강과 품위를 훼손하면 안 된다고 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지침서가 무색할 정도로 최근 SNS를 통한 '군 기강 해이' 사건이 이어지면서 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NS’ 통한 軍 기강해이 심각…대책 필요
-
- 입력 2012-08-03 10:03:25

<앵커 멘트>
군대 내에서 도를 넘어서는 지나친 표현들이 SNS,즉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퍼지면서 군 기강 해이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숨진 훈련병 덕분에 군 생활이 편해졌다는 글까지 올라오자, 군 당국이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26일 강원도 철원의 모 교육대.
30km 야간행군을 하던 훈련병이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습니다.
이 훈련병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이튿날 숨지고 말았습니다.
나흘 뒤 한 SNS,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올라온 글입니다.
한 병사의 희생으로 자신과 같은 하사들이 꿀을 빤다고 적혀 있습니다.
행군 도중 훈련병이 숨진 덕분에 30도가 넘으면 모두 쉰다면서 심지어 '멋지다'는 표현까지 쓰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은 훈련병의 죽음 앞에 직업 군인이 공개적으로 쓸 글이 아니라며 분노하고 있습니다.
문제가 불거지자 군 당국은 글을 올린 부사관의 신원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제는 한 병사가 부대 안에서 후임병으로 보이는 세 명을 일렬로 세운 뒤 총구를 들이대는 사진 등이 개인 홈피에 올라왔습니다.
<녹취> 전병규(대령/육군 공보과장) : "이런 내용은 관련 규정에 따라서 엄중하게 조치할 것입니다."
올해 초부터 만들어진 '군 장병 SNS 활용' 지침서에는 군사정보를 누설하거나 군 기강과 품위를 훼손하면 안 된다고 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지침서가 무색할 정도로 최근 SNS를 통한 '군 기강 해이' 사건이 이어지면서 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