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뒤로 숨은 금성

입력 2012.08.14 (10:03)
달 뒤로 숨은 금성 14일 새벽 2시41분부터 3시38분까지 멀리 있는 천체(금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 뒤로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엄폐(俺蔽·Occultation) 현상이 관찰됐다. 이날 새벽 2시14분에 서울 하늘에 뜬 그믐달의 왼쪽 아래 부분으로 숨어 들어간 금성은 57분 가량을 달 뒤에 가려져 있다가 달의 어두운 오른편 위쪽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이태형 겸임교수는 "지난 6월6일에는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갔는데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달의 금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보면 매년 한두 차례 발생하지만 위치와 시간에 따라 관찰지역이 제한적"이라며 "이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89년 12월2일 이후 약 23년만이며 앞으로 51년이 지난 2063년 5월31일에야 다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2시40분부터 4시17분까지 촬영한 달과 금성의 모습 4장 합성.
달 뒤로 숨은 금성 14일 새벽 2시41분부터 3시38분까지 멀리 있는 천체(금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 뒤로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엄폐(俺蔽·Occultation) 현상이 관찰됐다. 이날 새벽 2시14분에 서울 하늘에 뜬 그믐달의 왼쪽 아래 부분으로 숨어 들어간 금성은 57분 가량을 달 뒤에 가려져 있다가 달의 어두운 오른편 위쪽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이태형 겸임교수는 "지난 6월6일에는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갔는데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달의 금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보면 매년 한두 차례 발생하지만 위치와 시간에 따라 관찰지역이 제한적"이라며 "이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89년 12월2일 이후 약 23년만이며 앞으로 51년이 지난 2063년 5월31일에야 다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2시40분부터 4시17분까지 촬영한 달과 금성의 모습 4장 합성.
달 뒤로 숨은 금성 14일 새벽 2시41분부터 3시38분까지 멀리 있는 천체(금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 뒤로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엄폐(俺蔽·Occultation) 현상이 관찰됐다. 이날 새벽 2시14분에 서울 하늘에 뜬 그믐달의 왼쪽 아래 부분으로 숨어 들어간 금성은 57분 가량을 달 뒤에 가려져 있다가 달의 어두운 오른편 위쪽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이태형 겸임교수는 "지난 6월6일에는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갔는데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달의 금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보면 매년 한두 차례 발생하지만 위치와 시간에 따라 관찰지역이 제한적"이라며 "이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89년 12월2일 이후 약 23년만이며 앞으로 51년이 지난 2063년 5월31일에야 다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2시40분부터 4시17분까지 촬영한 달과 금성의 모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달 뒤로 숨은 금성
    • 입력 2012-08-14 10:03:01
    포토뉴스

14일 새벽 2시41분부터 3시38분까지 멀리 있는 천체(금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 뒤로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엄폐(俺蔽·Occultation) 현상이 관찰됐다. 이날 새벽 2시14분에 서울 하늘에 뜬 그믐달의 왼쪽 아래 부분으로 숨어 들어간 금성은 57분 가량을 달 뒤에 가려져 있다가 달의 어두운 오른편 위쪽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이태형 겸임교수는 "지난 6월6일에는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갔는데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달의 금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보면 매년 한두 차례 발생하지만 위치와 시간에 따라 관찰지역이 제한적"이라며 "이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89년 12월2일 이후 약 23년만이며 앞으로 51년이 지난 2063년 5월31일에야 다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2시40분부터 4시17분까지 촬영한 달과 금성의 모습 4장 합성.

14일 새벽 2시41분부터 3시38분까지 멀리 있는 천체(금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 뒤로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엄폐(俺蔽·Occultation) 현상이 관찰됐다. 이날 새벽 2시14분에 서울 하늘에 뜬 그믐달의 왼쪽 아래 부분으로 숨어 들어간 금성은 57분 가량을 달 뒤에 가려져 있다가 달의 어두운 오른편 위쪽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이태형 겸임교수는 "지난 6월6일에는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갔는데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달의 금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보면 매년 한두 차례 발생하지만 위치와 시간에 따라 관찰지역이 제한적"이라며 "이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89년 12월2일 이후 약 23년만이며 앞으로 51년이 지난 2063년 5월31일에야 다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2시40분부터 4시17분까지 촬영한 달과 금성의 모습 4장 합성.

14일 새벽 2시41분부터 3시38분까지 멀리 있는 천체(금성)가 가까이 있는 천체(달) 뒤로 사라졌다가 나타나는 엄폐(俺蔽·Occultation) 현상이 관찰됐다. 이날 새벽 2시14분에 서울 하늘에 뜬 그믐달의 왼쪽 아래 부분으로 숨어 들어간 금성은 57분 가량을 달 뒤에 가려져 있다가 달의 어두운 오른편 위쪽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이태형 겸임교수는 "지난 6월6일에는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지나갔는데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뒷면을 지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달의 금성 엄폐는 지구 전체에서 보면 매년 한두 차례 발생하지만 위치와 시간에 따라 관찰지역이 제한적"이라며 "이 현상을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89년 12월2일 이후 약 23년만이며 앞으로 51년이 지난 2063년 5월31일에야 다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2시40분부터 4시17분까지 촬영한 달과 금성의 모습 4장 합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