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일본 약탈 우리 문화재…일부는 공개도 안해

입력 2012.08.15 (22:05) 수정 2012.08.15 (22: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금 보시는 이 범종은 통일신라 시대의 유물인 경남 진주 연지사 범종입니다.



성덕대왕 신종 즉 에밀레종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3대 종으로 꼽히는 명품인데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약탈해 가서는, 버젓이 자기네 국보로까지 지정해뒀습니다.



지금은 아예 공개조차 하지 않고 있는데요.



일본엔 이렇게 돌려받아야 할 우리 유물들이 수두룩합니다.



먼저, 그 실태를 도쿄 홍수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쿄 국립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불상 특별 전시회입니다.



어떻게 왔다는 기록은 없지만, ’조선’에서 온 ’삼국시대 여래입상’이라는 설명과 함께 일본 중요문화재로 전시돼 있습니다.



<인터뷰> 문명대(동국대 명예교수) : "상당히 대형 불상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있었으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됐을 것."



일본 문화의 상징, 교토 국립박물관에는 조선시대 왕릉급 무덤에 있던 것으로 보이는 문인석 등이 늘어서 있습니다.



약탈이 분명해 보이는 문화재도 많습니다.



문헌조사 결과, 임진왜란 때 일본 장수가 가져간 고려 석탑과 고려 말 왜구에게 빼앗긴 금산사 향로의 받침 등이 그렇습니다.



일제 강점기의 유명한 도굴 수집가 오구라가 모아 오구라 콜렉션으로 불리는 천여 점의 우리 문화재도 도쿄 박물관에 남아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없는 조선시대 왕의 투구와 갑옷, 익선관 등 불법이 아니라면 유출되기 힘든 왕실 물건들이 수두룩합니다



그러나 일본 측은 귀중한 한국의 문화재의 경우 더더욱 전시는 물론 공개도 꺼리고 있습니다.



일본의 비협조적인 태도 등으로 인해 정확한 실태조사부터 어려운 실정입니다.



<앵커 멘트>



네, 이렇게 일본에 넘어간 우리 문화재 가운데 상당수는 도굴이나 약탈 등 불법 유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불법이라면 당연히 당연히 되찾아야 할 것들이지만, 이게 쉽지가 않습니다.



디지털 스튜디오에서 심연희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저는 지금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야스쿠니 신사에 서 있습니다.



이 비석은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물리친 전투를 기념해 세운 ’북관대첩비’입니다.



지금은 돌려받았지만 여기 한구석에 백 년이나 방치돼 있었습니다.



이 책들은 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 47책,



그리고 명성황후의 장례 절차가 기록돼 있는 조선왕조 의궤입니다.



국민의 열띤 여론을 업고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며 압박하는 등 끈질긴 노력 끝에 거의 백 년 만에 찾아왔습니다.



문화재를 빼앗기는 건 한순간이지만, 이처럼 되찾는 건 정말 어렵습니다.



지금 일본에 있는 걸로 공식 확인된 문화재만 6만 6천여 점.



하지만, 찾아온 건 10분의 1 수준인 6천 점 정도에 불과합니다.



불법으로 반출됐다는 걸 우리가 입증해야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데, 이걸 밝힐 증거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요.



어렵게 증거를 찾는다 해도 일본이 돌려주길 거부하면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게다가 일본은 이런 상황을 아예 피하기 위해 지난 1965년 한일 협정으로 우리의 반환 청구권이 모두 사라졌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자, 문화재 되찾기가 정말 어렵다는 생각이 들죠.



그렇다고 우리 민족의 얼이 담긴 문화재를 포기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앞으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도쿄 국립박물관에 있는 신라시대 유물입니다.



경주 금관총에 있던 것을 ’오구라’란 일본 사업가가 반출했습니다.



하지만, 관련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반출이 언제 어떻게 이뤄졌고, 그 과정에서 불법성이 있었는지는 밝히지 못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92년부터 해외 문화재 반출 경로와 현황 등을 조사하고 있지만, 20년간 확인한 문화재는 17%인 2만 6천여 점에 불과합니다.



한해 예산이 4억 원에 불과한 지금 상태가 계속된다면 실태 조사만 53년을 더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민간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외교 관계상 적극 나서기 어려운 정부를 대신해 여론을 이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길배(과장/문화재청) : "국민의 염원이 모여지는 게 필요합니다. 정부는 민간을 지원하고 민간은 정부의 전략에 맞춰 활동을 하는 거죠."



또 기증이나 협상에만 의지하는 지금의 환수 방식에서 벗어나, 필요할 경우 돈을 주고 사오는 방법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일본 약탈 우리 문화재…일부는 공개도 안해
    • 입력 2012-08-15 22:05:30
    • 수정2012-08-15 22:35:53
    뉴스 9
<앵커 멘트>

지금 보시는 이 범종은 통일신라 시대의 유물인 경남 진주 연지사 범종입니다.

성덕대왕 신종 즉 에밀레종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3대 종으로 꼽히는 명품인데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약탈해 가서는, 버젓이 자기네 국보로까지 지정해뒀습니다.

지금은 아예 공개조차 하지 않고 있는데요.

일본엔 이렇게 돌려받아야 할 우리 유물들이 수두룩합니다.

먼저, 그 실태를 도쿄 홍수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도쿄 국립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불상 특별 전시회입니다.

어떻게 왔다는 기록은 없지만, ’조선’에서 온 ’삼국시대 여래입상’이라는 설명과 함께 일본 중요문화재로 전시돼 있습니다.

<인터뷰> 문명대(동국대 명예교수) : "상당히 대형 불상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있었으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됐을 것."

일본 문화의 상징, 교토 국립박물관에는 조선시대 왕릉급 무덤에 있던 것으로 보이는 문인석 등이 늘어서 있습니다.

약탈이 분명해 보이는 문화재도 많습니다.

문헌조사 결과, 임진왜란 때 일본 장수가 가져간 고려 석탑과 고려 말 왜구에게 빼앗긴 금산사 향로의 받침 등이 그렇습니다.

일제 강점기의 유명한 도굴 수집가 오구라가 모아 오구라 콜렉션으로 불리는 천여 점의 우리 문화재도 도쿄 박물관에 남아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없는 조선시대 왕의 투구와 갑옷, 익선관 등 불법이 아니라면 유출되기 힘든 왕실 물건들이 수두룩합니다

그러나 일본 측은 귀중한 한국의 문화재의 경우 더더욱 전시는 물론 공개도 꺼리고 있습니다.

일본의 비협조적인 태도 등으로 인해 정확한 실태조사부터 어려운 실정입니다.

<앵커 멘트>

네, 이렇게 일본에 넘어간 우리 문화재 가운데 상당수는 도굴이나 약탈 등 불법 유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불법이라면 당연히 당연히 되찾아야 할 것들이지만, 이게 쉽지가 않습니다.

디지털 스튜디오에서 심연희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저는 지금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야스쿠니 신사에 서 있습니다.

이 비석은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물리친 전투를 기념해 세운 ’북관대첩비’입니다.

지금은 돌려받았지만 여기 한구석에 백 년이나 방치돼 있었습니다.

이 책들은 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 47책,

그리고 명성황후의 장례 절차가 기록돼 있는 조선왕조 의궤입니다.

국민의 열띤 여론을 업고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며 압박하는 등 끈질긴 노력 끝에 거의 백 년 만에 찾아왔습니다.

문화재를 빼앗기는 건 한순간이지만, 이처럼 되찾는 건 정말 어렵습니다.

지금 일본에 있는 걸로 공식 확인된 문화재만 6만 6천여 점.

하지만, 찾아온 건 10분의 1 수준인 6천 점 정도에 불과합니다.

불법으로 반출됐다는 걸 우리가 입증해야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데, 이걸 밝힐 증거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요.

어렵게 증거를 찾는다 해도 일본이 돌려주길 거부하면 강제할 방법이 없습니다.

게다가 일본은 이런 상황을 아예 피하기 위해 지난 1965년 한일 협정으로 우리의 반환 청구권이 모두 사라졌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자, 문화재 되찾기가 정말 어렵다는 생각이 들죠.

그렇다고 우리 민족의 얼이 담긴 문화재를 포기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앞으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본 도쿄 국립박물관에 있는 신라시대 유물입니다.

경주 금관총에 있던 것을 ’오구라’란 일본 사업가가 반출했습니다.

하지만, 관련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반출이 언제 어떻게 이뤄졌고, 그 과정에서 불법성이 있었는지는 밝히지 못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92년부터 해외 문화재 반출 경로와 현황 등을 조사하고 있지만, 20년간 확인한 문화재는 17%인 2만 6천여 점에 불과합니다.

한해 예산이 4억 원에 불과한 지금 상태가 계속된다면 실태 조사만 53년을 더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민간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외교 관계상 적극 나서기 어려운 정부를 대신해 여론을 이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길배(과장/문화재청) : "국민의 염원이 모여지는 게 필요합니다. 정부는 민간을 지원하고 민간은 정부의 전략에 맞춰 활동을 하는 거죠."

또 기증이나 협상에만 의지하는 지금의 환수 방식에서 벗어나, 필요할 경우 돈을 주고 사오는 방법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