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삼성 한미 엇갈린 쟁점…‘프랜드(FRAND)’

입력 2012.08.25 (11:12) 수정 2012.08.25 (19: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플-삼성간 소송의 또 다른 핵심 쟁점이었던 필수표준 특허 문제에 대해서도 한국 법원 재판부와 미국 법원 배심원단은 서로 엇갈린 판단을 내놓았다.

미국 배심원들은 애플의 삼성전자 무선통신 특허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국내 판결은 이를 인정했을뿐 아니라 곧바로 판매금지까지 명한 것이다.

이런 정반대 판단이 나온 것은 필수 표준(standards-essential) 특허에 관한 '프랜드(FRAND)' 조항을 어떻게 적용할 것이냐에 대한 양국 법원의 입장이 달라서다.

프랜드는 '공정하고 합리적이고 비차별적인(Fair, 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을 줄인 말로, 유럽통신표준연구소(ETSI)가 제정한 특허기술 사용에 관한 조건에 이 문구가 포함되면서 널리 쓰이게 됐다.

표준이 된 특허기술의 권리자가 이 특허 사용자 중 일부를 차별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단 누구나 표준 특허기술을 쓰되 특허 권리자와 협상해 합리적이고 평등한 수준의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특허권자가 무리한 요구나 차별적인 요구로 경쟁사의 제품 생산을 방해해 기술 발전을 가로막고 불공정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의도다.

한국과 미국에서 벌어진 소송 과정에서도 애플측과 삼성측은 상대편이 특허에 따른 라이센스료를 요구하면서 성실하게 협의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펴 왔다. 서로 상대방이 무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을 일방적으로 요구했다는 것이다.

표준 특허기술에 대해 프랜드 선언이 이뤄졌을 경우, 성실한 협의 등 합당한 사전절차 없이 특허권자가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내는 것이 과연 인정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프랜드의 핵심 취지에 정면으로 어긋나는 권리남용이라는 지적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판매금지 조치에는 더욱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나라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작년 11월 네덜란드 법원은 프랜드 조항과 관련해 삼성전자가 권리를 남용했다며 애플 제품 판매금지 요구를 기각한 바 있다. 유럽연합(EU)도 이에 관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일단 국내 법원은 "프랜드 선언을 했다고 해서 금지 처분 자체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는 판단을 근거로 애플 제품에 대한 판매금지 판결을 내렸다.

이에 대해 일부 해외 전문매체는 '깜짝(stunning)' 판결이라고 평했고, 독일의 한 유력 블로거는 "한국이 프랜드 '불량 국가(rogue state)'가 되기로 결심했다"며 외교적 파장의 가능성까지 점쳤다.

한국 법원의 판단과 정반대로, 미국 배심원단은 애플이 삼성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주장 자체를 대부분 인정하지 않았다.

또 일부 이를 인정한 경우에도 부품 업체가 사용 허락을 받고 생산한 부품을 이용했기 때문에 애플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이른바 '특허 소진' 판단을 내렸다.

이 때문에 이번 소송 중 삼성이 애플을 상대로 낸 '반소(反訴·countersuit)' 부분에 관해 평결문에 적시된 배상액은 '0달러'였다. 삼성이 요구한 손해배상청구액 4억2천100만달러 중 단 한 푼도 인정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애플이 원고이고 삼성이 피고인 원래 소송의 청구금액 27억6천만달러 중 38%인 10억5천만달러가 인용된 것과 비교하면 삼성 입장에서는 '굴욕적'인 성적이 아닐 수 없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애플-삼성 한미 엇갈린 쟁점…‘프랜드(FRAND)’
    • 입력 2012-08-25 11:12:17
    • 수정2012-08-25 19:05:47
    연합뉴스
애플-삼성간 소송의 또 다른 핵심 쟁점이었던 필수표준 특허 문제에 대해서도 한국 법원 재판부와 미국 법원 배심원단은 서로 엇갈린 판단을 내놓았다. 미국 배심원들은 애플의 삼성전자 무선통신 특허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국내 판결은 이를 인정했을뿐 아니라 곧바로 판매금지까지 명한 것이다. 이런 정반대 판단이 나온 것은 필수 표준(standards-essential) 특허에 관한 '프랜드(FRAND)' 조항을 어떻게 적용할 것이냐에 대한 양국 법원의 입장이 달라서다. 프랜드는 '공정하고 합리적이고 비차별적인(Fair, 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을 줄인 말로, 유럽통신표준연구소(ETSI)가 제정한 특허기술 사용에 관한 조건에 이 문구가 포함되면서 널리 쓰이게 됐다. 표준이 된 특허기술의 권리자가 이 특허 사용자 중 일부를 차별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단 누구나 표준 특허기술을 쓰되 특허 권리자와 협상해 합리적이고 평등한 수준의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특허권자가 무리한 요구나 차별적인 요구로 경쟁사의 제품 생산을 방해해 기술 발전을 가로막고 불공정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의도다. 한국과 미국에서 벌어진 소송 과정에서도 애플측과 삼성측은 상대편이 특허에 따른 라이센스료를 요구하면서 성실하게 협의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펴 왔다. 서로 상대방이 무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을 일방적으로 요구했다는 것이다. 표준 특허기술에 대해 프랜드 선언이 이뤄졌을 경우, 성실한 협의 등 합당한 사전절차 없이 특허권자가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내는 것이 과연 인정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프랜드의 핵심 취지에 정면으로 어긋나는 권리남용이라는 지적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판매금지 조치에는 더욱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나라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작년 11월 네덜란드 법원은 프랜드 조항과 관련해 삼성전자가 권리를 남용했다며 애플 제품 판매금지 요구를 기각한 바 있다. 유럽연합(EU)도 이에 관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일단 국내 법원은 "프랜드 선언을 했다고 해서 금지 처분 자체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는 판단을 근거로 애플 제품에 대한 판매금지 판결을 내렸다. 이에 대해 일부 해외 전문매체는 '깜짝(stunning)' 판결이라고 평했고, 독일의 한 유력 블로거는 "한국이 프랜드 '불량 국가(rogue state)'가 되기로 결심했다"며 외교적 파장의 가능성까지 점쳤다. 한국 법원의 판단과 정반대로, 미국 배심원단은 애플이 삼성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주장 자체를 대부분 인정하지 않았다. 또 일부 이를 인정한 경우에도 부품 업체가 사용 허락을 받고 생산한 부품을 이용했기 때문에 애플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이른바 '특허 소진' 판단을 내렸다. 이 때문에 이번 소송 중 삼성이 애플을 상대로 낸 '반소(反訴·countersuit)' 부분에 관해 평결문에 적시된 배상액은 '0달러'였다. 삼성이 요구한 손해배상청구액 4억2천100만달러 중 단 한 푼도 인정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애플이 원고이고 삼성이 피고인 원래 소송의 청구금액 27억6천만달러 중 38%인 10억5천만달러가 인용된 것과 비교하면 삼성 입장에서는 '굴욕적'인 성적이 아닐 수 없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