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12년 만에 최저…체감물가는 딴판

입력 2012.09.04 (08:15) 수정 2012.09.04 (17: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각종 가공식품에서 농산물 가격까지 자고나면 물가가 오르고 있는데요.



정부가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대를 기록하며 12년여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와 정부가 발표하는 물가는 왜 이렇게 차이가 나는 걸까요



이윤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녹취> "원피스 32원부터 시작합니다. 경매들어갑니다."



파격적인 가격을 내세운 경매 이벤트, 고물가에 지친 소비 심리를 겨냥한 행삽니다.



<인터뷰> 아울렛 매장 기획팀 : "물가에 다들 민감해 있어서 이런 초특가 초대박 행사하면 바로 사람들이 몰려드니까요"



채소가 주메뉴인 쌈밥집은 최근의 고물가 여파를 가장 실감하는 곳 중 하나.



1년 전 한 상자 만 원이던 상추값이 8만5천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1%대.



한 달 전과 비교하면 0.4% 올라 석 달 만에 전월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지만 체감물가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1년전 8월의 물가가 5%에 육박한 탓에 올해 덜 오른 것처럼 보였고 태풍 영향도 덜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쌈밥집 주인 : "상추만 봐도 7배가 올랐는데 말이 안되죠.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만든 것 같아요"



이처럼 지표 따로, 체감 따로인 이유는 정부의 물가 산정 방식 때문입니다.



물가 지수 산출에 들어가는 품목은 모두 481개 하지만 서민 가계와 직결된 생필품은 10% 안팎에 불과합니다.



가계 소비 비중에 따라 적용하는 가중치 역시 이런 장바구니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도 문젭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 휴대전화보다 가입자가 많지만 통신비 가중치는 오히려 더 낮습니다.



물가 산정 지수가 5년마다 조정되는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 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 : "실제 현장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지수 조정 시기를 2년 단위로 줄일 필요가 있다"



지표물가가 체감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정부 발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만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물가 12년 만에 최저…체감물가는 딴판
    • 입력 2012-09-04 08:15:21
    • 수정2012-09-04 17:14:03
    뉴스광장
<앵커 멘트>

최근 각종 가공식품에서 농산물 가격까지 자고나면 물가가 오르고 있는데요.

정부가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대를 기록하며 12년여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와 정부가 발표하는 물가는 왜 이렇게 차이가 나는 걸까요

이윤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녹취> "원피스 32원부터 시작합니다. 경매들어갑니다."

파격적인 가격을 내세운 경매 이벤트, 고물가에 지친 소비 심리를 겨냥한 행삽니다.

<인터뷰> 아울렛 매장 기획팀 : "물가에 다들 민감해 있어서 이런 초특가 초대박 행사하면 바로 사람들이 몰려드니까요"

채소가 주메뉴인 쌈밥집은 최근의 고물가 여파를 가장 실감하는 곳 중 하나.

1년 전 한 상자 만 원이던 상추값이 8만5천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1%대.

한 달 전과 비교하면 0.4% 올라 석 달 만에 전월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지만 체감물가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1년전 8월의 물가가 5%에 육박한 탓에 올해 덜 오른 것처럼 보였고 태풍 영향도 덜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쌈밥집 주인 : "상추만 봐도 7배가 올랐는데 말이 안되죠.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만든 것 같아요"

이처럼 지표 따로, 체감 따로인 이유는 정부의 물가 산정 방식 때문입니다.

물가 지수 산출에 들어가는 품목은 모두 481개 하지만 서민 가계와 직결된 생필품은 10% 안팎에 불과합니다.

가계 소비 비중에 따라 적용하는 가중치 역시 이런 장바구니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도 문젭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 휴대전화보다 가입자가 많지만 통신비 가중치는 오히려 더 낮습니다.

물가 산정 지수가 5년마다 조정되는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 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 : "실제 현장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지수 조정 시기를 2년 단위로 줄일 필요가 있다"

지표물가가 체감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정부 발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만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이윤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