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강 유역 주민 11% 간흡충 감염

입력 2012.09.27 (15: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4대강과 섬진강 유역 주민 10명 중 한 명은 간흡충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윤인순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보고서를 보면 5대강 유역주민 2만 3천여 명을 조사한 결과 11%가 간흡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금강 유역 주민의 감염율이 15.2%로 가장 높았고 낙동강 11.9%, 섬진강 10.9%, 한강 5.7%, 영산강 3.9%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2004년 실시한 전국민 기생충 감염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간흡충 양성률 2.4%보다 크게 높은 수치입니다.

간흡충은 민물고기를 날로 먹어서 주로 감염되며, 인체 내로 들어온 뒤에는 담낭과 담관에 기생하며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대강 유역 주민 11% 간흡충 감염
    • 입력 2012-09-27 15:04:01
    사회
4대강과 섬진강 유역 주민 10명 중 한 명은 간흡충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윤인순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보고서를 보면 5대강 유역주민 2만 3천여 명을 조사한 결과 11%가 간흡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금강 유역 주민의 감염율이 15.2%로 가장 높았고 낙동강 11.9%, 섬진강 10.9%, 한강 5.7%, 영산강 3.9%로 분석됐습니다. 이는 2004년 실시한 전국민 기생충 감염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간흡충 양성률 2.4%보다 크게 높은 수치입니다. 간흡충은 민물고기를 날로 먹어서 주로 감염되며, 인체 내로 들어온 뒤에는 담낭과 담관에 기생하며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