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무방비…관리 허술
입력 2012.10.21 (21:42)
수정 2012.10.22 (07: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옛말에 아이들은 다치면서 큰다는 얘기가 있긴합니다만 위험한 놀이터에서 놀다 다친다면 정말 속상하시겠죠.
설치검사도 받지 않고 배상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은 놀이터가 생각보다 꽤 많았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음식점에 딸린 놀이시설입니다.
단단한 미끄럼틀 모서리에 일곱 살 어린이가 머리를 부딪쳤습니다.
이마에 움푹 패인 상처가 남았지만 보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사고 어린이 어머니: "이제까지 한 번도 그런 사고가 없었다라고만 딱 하는 거예요. 너무 황당하고 그래서…." '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시설 7천 6백여 곳 가운데 45%가 보상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고 41%는 아예 설치검사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대중목욕탕 놀이시설의 보험 가입률이 27%로 가장 낮고 음식점은 34%, 대형 마트는 40%, 아파트 등 주택 단지도 56%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모든 놀이시설은 설치 검사와 보험가입이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놀이터는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서울시가 거둘 수 있는 과태료는 100억 원에 이르지만, (민원을 핑계로) 제대로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낡은 놀이시설을 보유한 영세 업주의 반발이 심하다는 겁니다.
<인터뷰>박덕흠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방치돼 있는 거죠, 사실. 서울시 자체에서도 미처 생각을 못하고 손을 못 대고 있는 것으로…."
어른들의 반발로 법집행이 미뤄지는 가운데, 어린이들의 안전은 위험 속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옛말에 아이들은 다치면서 큰다는 얘기가 있긴합니다만 위험한 놀이터에서 놀다 다친다면 정말 속상하시겠죠.
설치검사도 받지 않고 배상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은 놀이터가 생각보다 꽤 많았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음식점에 딸린 놀이시설입니다.
단단한 미끄럼틀 모서리에 일곱 살 어린이가 머리를 부딪쳤습니다.
이마에 움푹 패인 상처가 남았지만 보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사고 어린이 어머니: "이제까지 한 번도 그런 사고가 없었다라고만 딱 하는 거예요. 너무 황당하고 그래서…." '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시설 7천 6백여 곳 가운데 45%가 보상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고 41%는 아예 설치검사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대중목욕탕 놀이시설의 보험 가입률이 27%로 가장 낮고 음식점은 34%, 대형 마트는 40%, 아파트 등 주택 단지도 56%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모든 놀이시설은 설치 검사와 보험가입이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놀이터는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서울시가 거둘 수 있는 과태료는 100억 원에 이르지만, (민원을 핑계로) 제대로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낡은 놀이시설을 보유한 영세 업주의 반발이 심하다는 겁니다.
<인터뷰>박덕흠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방치돼 있는 거죠, 사실. 서울시 자체에서도 미처 생각을 못하고 손을 못 대고 있는 것으로…."
어른들의 반발로 법집행이 미뤄지는 가운데, 어린이들의 안전은 위험 속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무방비…관리 허술
-
- 입력 2012-10-21 21:42:08
- 수정2012-10-22 07:37:58

<앵커 멘트>
옛말에 아이들은 다치면서 큰다는 얘기가 있긴합니다만 위험한 놀이터에서 놀다 다친다면 정말 속상하시겠죠.
설치검사도 받지 않고 배상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은 놀이터가 생각보다 꽤 많았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음식점에 딸린 놀이시설입니다.
단단한 미끄럼틀 모서리에 일곱 살 어린이가 머리를 부딪쳤습니다.
이마에 움푹 패인 상처가 남았지만 보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녹취> 사고 어린이 어머니: "이제까지 한 번도 그런 사고가 없었다라고만 딱 하는 거예요. 너무 황당하고 그래서…." '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시설 7천 6백여 곳 가운데 45%가 보상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고 41%는 아예 설치검사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대중목욕탕 놀이시설의 보험 가입률이 27%로 가장 낮고 음식점은 34%, 대형 마트는 40%, 아파트 등 주택 단지도 56%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모든 놀이시설은 설치 검사와 보험가입이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놀이터는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서울시가 거둘 수 있는 과태료는 100억 원에 이르지만, (민원을 핑계로) 제대로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낡은 놀이시설을 보유한 영세 업주의 반발이 심하다는 겁니다.
<인터뷰>박덕흠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방치돼 있는 거죠, 사실. 서울시 자체에서도 미처 생각을 못하고 손을 못 대고 있는 것으로…."
어른들의 반발로 법집행이 미뤄지는 가운데, 어린이들의 안전은 위험 속에 방치돼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