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내년 최대 악재 ‘유럽위기·가계부채’

입력 2012.11.15 (08:18) 수정 2012.11.15 (16: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년에도 유럽위기와 가계부채가 한국경제의 최대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15일 국내 경제연구기관과 증권사들에 따르면 유럽위기가 해결되지 않는 한 중국과 미국의 경기 회복이 쉽지 않고 결국 이는 한국의 수출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가 소비둔화로 이어져 내수를 짓누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명활 거시ㆍ국제금융연구실장은 "내년에는 유럽 재정위기가 가장 큰 불안요인"이라며 "내년에는 이탈리아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최성근 연구원은 "유럽 위기가 가장 걱정되며 특히 4월 대규모 부채 상환이 돌아오는 스페인을 잘 봐야 한다"며 "4월을 잘 넘기면 유럽위기가 진정되겠지만 불안심리가 가중된다면 위기가 장기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내년에도 그리스가 계속 골칫거리로 남은 상태에서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다시 위기국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우려다.

유럽위기가 해결되지 않으면 중국과 미국의 경기 회복이 쉽지 않다. 결국 유럽위기는 한국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위축으로 이어지는 셈이다.

최근 중국의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회복했지만 유럽 수출은 여전히 -5%대 역성장 중이다. 대미 수출도 하반기로 갈수록 탄력이 약해져 아직 반등의 기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전민규 연구원은 "유럽 경기 회복 지연이 중국 수출 부진을 가져왔다"며 "중국 수출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한국으로서는 여파가 미칠 수밖에 없는 경제 구조"라고 진단했다.

또 중국이 수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내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어 국내 수출기업에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대외 불안요인으로 유럽위기 외에도 미국의 `재정절벽', 중국의 정치ㆍ경제적 혼란, 국제적 갈등 등이 뽑혔다.

그러나 미국 재정절벽은 대형 충격 없이 우려가 줄어들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하나대투증권 소재용 연구원은 "올해 4분기 중에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이로 인한 재정절벽 위험으로 시장심리가 불안정하겠지만 내년 1분기를 지나며 정치적인 타협 전개로 시장심리가 개선되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불안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부동산 침체, 원ㆍ달러 환율 하락, 대선을 전후한 정치적 혼란 등이 꼽히지만 역시 가장 큰 골칫거리는 가계부채 문제라는 의견이 많다.

소비심리가 개선돼야 하는데 가처분소득이 가계부채를 갚는 데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는 6월 말 현재 922조원 수준으로 `1천조원'을 앞두고 있다.

대신경제연구소 김윤기 경제조사실장은 "내년에도 가계부채가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며 "소득이 늘어나지 않는데 부채가 누적되면 경제에 부담이 된다"고 지적했다.

환율 하락은 수출 기업에는 불이익을 주지만 내수 기업에는 원자재 구입비용 감소 등으로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어 가계부채보다는 고민이 덜할 것이라고 경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내년 한국경제의 불안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재정확대를 통한 공격적인 경기부양, 기준금리 인하, 환율 방어 등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총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현대증권 오성진 리서치센터장은 "국내외 악조건에서도 삼성전자처럼 경쟁력을 갖고 있다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며 "기업들이 외국에 진출해 활약할 수 있도록 개별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배상근 경제본부장은 "지금은 물가가 안정적인 상황인데, 물가가 상승한다고 해도 수요가 아닌 공급 요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총수요를 어떻게든 끌어올릴 수 있는 인위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경제 내년 최대 악재 ‘유럽위기·가계부채’
    • 입력 2012-11-15 08:18:30
    • 수정2012-11-15 16:58:07
    연합뉴스
내년에도 유럽위기와 가계부채가 한국경제의 최대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15일 국내 경제연구기관과 증권사들에 따르면 유럽위기가 해결되지 않는 한 중국과 미국의 경기 회복이 쉽지 않고 결국 이는 한국의 수출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국내적으로는 가계부채가 소비둔화로 이어져 내수를 짓누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명활 거시ㆍ국제금융연구실장은 "내년에는 유럽 재정위기가 가장 큰 불안요인"이라며 "내년에는 이탈리아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최성근 연구원은 "유럽 위기가 가장 걱정되며 특히 4월 대규모 부채 상환이 돌아오는 스페인을 잘 봐야 한다"며 "4월을 잘 넘기면 유럽위기가 진정되겠지만 불안심리가 가중된다면 위기가 장기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내년에도 그리스가 계속 골칫거리로 남은 상태에서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다시 위기국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우려다. 유럽위기가 해결되지 않으면 중국과 미국의 경기 회복이 쉽지 않다. 결국 유럽위기는 한국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위축으로 이어지는 셈이다. 최근 중국의 수출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회복했지만 유럽 수출은 여전히 -5%대 역성장 중이다. 대미 수출도 하반기로 갈수록 탄력이 약해져 아직 반등의 기미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전민규 연구원은 "유럽 경기 회복 지연이 중국 수출 부진을 가져왔다"며 "중국 수출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한국으로서는 여파가 미칠 수밖에 없는 경제 구조"라고 진단했다. 또 중국이 수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내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어 국내 수출기업에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대외 불안요인으로 유럽위기 외에도 미국의 `재정절벽', 중국의 정치ㆍ경제적 혼란, 국제적 갈등 등이 뽑혔다. 그러나 미국 재정절벽은 대형 충격 없이 우려가 줄어들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하나대투증권 소재용 연구원은 "올해 4분기 중에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이로 인한 재정절벽 위험으로 시장심리가 불안정하겠지만 내년 1분기를 지나며 정치적인 타협 전개로 시장심리가 개선되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불안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부동산 침체, 원ㆍ달러 환율 하락, 대선을 전후한 정치적 혼란 등이 꼽히지만 역시 가장 큰 골칫거리는 가계부채 문제라는 의견이 많다. 소비심리가 개선돼야 하는데 가처분소득이 가계부채를 갚는 데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는 6월 말 현재 922조원 수준으로 `1천조원'을 앞두고 있다. 대신경제연구소 김윤기 경제조사실장은 "내년에도 가계부채가 경제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며 "소득이 늘어나지 않는데 부채가 누적되면 경제에 부담이 된다"고 지적했다. 환율 하락은 수출 기업에는 불이익을 주지만 내수 기업에는 원자재 구입비용 감소 등으로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어 가계부채보다는 고민이 덜할 것이라고 경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내년 한국경제의 불안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재정확대를 통한 공격적인 경기부양, 기준금리 인하, 환율 방어 등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총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현대증권 오성진 리서치센터장은 "국내외 악조건에서도 삼성전자처럼 경쟁력을 갖고 있다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며 "기업들이 외국에 진출해 활약할 수 있도록 개별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배상근 경제본부장은 "지금은 물가가 안정적인 상황인데, 물가가 상승한다고 해도 수요가 아닌 공급 요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총수요를 어떻게든 끌어올릴 수 있는 인위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