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제스포츠 이벤트 개최 12위
입력 2012.11.15 (10:03)
수정 2012.11.15 (1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7년부터 2018년 사이 전 세계를 통틀어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 국가는 중국이라고 영국의 스포츠 마케팅 연구소인 스포트칼이 15일 발표했다.
스포트칼이 발표한 글로벌 스포츠 네이션 인덱스는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전 세계에서 열리는 약 700개의 주요 스포츠 이벤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회의 중요도, 개최국 및 도시에 미친 사회, 경제, 환경, 체육계의 영향 등을 점수로 환산해 상위 20개 나라를 발표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등을 개최한 중국은 총 5만5천709점을 받아 2위 영국(3만9천393점)을 여유 있게 앞섰다.
중국은 2014년 유스 올림픽, 2015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예정이기도 하다. 중국은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개별 종목 세계선수권대회도 가장 많이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런던올림픽과 2014년 커먼웰스게임, 2015년 럭비 월드컵 등의 개최국인 영국이 2위에 올랐고 러시아가 3만9천376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2015년 세계수영선수권대회, 2018년 월드컵 축구대회 등을 줄줄이 개최할 예정인 러시아는 2013년부터 2018년 사이만 따질 경우 세계 최대의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국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2만1천998점으로 스페인(2만2천744점)에 이어 12위에 올랐다. 일본은 2만646점으로 13위다.
조사 범위를 도시로 좁힌 결과로는 영국 런던이 1위를 차지했다. 국내 도시는 상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글로벌 스포츠 국가별 순위
1위. 중국 5만5천709점
2위. 영국 3만9천393점
3위. 러시아 3만9천376점
4위. 이탈리아 3만8천946점
5위. 캐나다 3만8천 94점
6위. 독일 3만5천988점
7위. 프랑스 2만8천587점
8위. 브라질 2만8천386점
9위. 미국 2만5천563점
10위. 네덜란드 2만3천899점
◇글로벌 스포츠 도시별 순위
1위. 런던(영국) 2만1천843점
2위.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 1만7천911점
3위. 모스크바(러시아) 1만7천867점
4위. 베이징(중국) 1만3천574점
5위. 파리(프랑스) 1만2천575점
6위. 도쿄(일본) 1만2천 78점
7위. 오클랜드(뉴질랜드) 7천994점
8위. 코펜하겐(덴마크) 7천718점
9위. 이스탄불(터키) 7천422점
10위. 밴쿠버(캐나다) 7천144점
스포트칼이 발표한 글로벌 스포츠 네이션 인덱스는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전 세계에서 열리는 약 700개의 주요 스포츠 이벤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회의 중요도, 개최국 및 도시에 미친 사회, 경제, 환경, 체육계의 영향 등을 점수로 환산해 상위 20개 나라를 발표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등을 개최한 중국은 총 5만5천709점을 받아 2위 영국(3만9천393점)을 여유 있게 앞섰다.
중국은 2014년 유스 올림픽, 2015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예정이기도 하다. 중국은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개별 종목 세계선수권대회도 가장 많이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런던올림픽과 2014년 커먼웰스게임, 2015년 럭비 월드컵 등의 개최국인 영국이 2위에 올랐고 러시아가 3만9천376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2015년 세계수영선수권대회, 2018년 월드컵 축구대회 등을 줄줄이 개최할 예정인 러시아는 2013년부터 2018년 사이만 따질 경우 세계 최대의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국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2만1천998점으로 스페인(2만2천744점)에 이어 12위에 올랐다. 일본은 2만646점으로 13위다.
조사 범위를 도시로 좁힌 결과로는 영국 런던이 1위를 차지했다. 국내 도시는 상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글로벌 스포츠 국가별 순위
1위. 중국 5만5천709점
2위. 영국 3만9천393점
3위. 러시아 3만9천376점
4위. 이탈리아 3만8천946점
5위. 캐나다 3만8천 94점
6위. 독일 3만5천988점
7위. 프랑스 2만8천587점
8위. 브라질 2만8천386점
9위. 미국 2만5천563점
10위. 네덜란드 2만3천899점
◇글로벌 스포츠 도시별 순위
1위. 런던(영국) 2만1천843점
2위.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 1만7천911점
3위. 모스크바(러시아) 1만7천867점
4위. 베이징(중국) 1만3천574점
5위. 파리(프랑스) 1만2천575점
6위. 도쿄(일본) 1만2천 78점
7위. 오클랜드(뉴질랜드) 7천994점
8위. 코펜하겐(덴마크) 7천718점
9위. 이스탄불(터키) 7천422점
10위. 밴쿠버(캐나다) 7천144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국제스포츠 이벤트 개최 12위
-
- 입력 2012-11-15 10:03:04
- 수정2012-11-15 10:03:29
2007년부터 2018년 사이 전 세계를 통틀어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 국가는 중국이라고 영국의 스포츠 마케팅 연구소인 스포트칼이 15일 발표했다.
스포트칼이 발표한 글로벌 스포츠 네이션 인덱스는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전 세계에서 열리는 약 700개의 주요 스포츠 이벤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회의 중요도, 개최국 및 도시에 미친 사회, 경제, 환경, 체육계의 영향 등을 점수로 환산해 상위 20개 나라를 발표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등을 개최한 중국은 총 5만5천709점을 받아 2위 영국(3만9천393점)을 여유 있게 앞섰다.
중국은 2014년 유스 올림픽, 2015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예정이기도 하다. 중국은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개별 종목 세계선수권대회도 가장 많이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런던올림픽과 2014년 커먼웰스게임, 2015년 럭비 월드컵 등의 개최국인 영국이 2위에 올랐고 러시아가 3만9천376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2015년 세계수영선수권대회, 2018년 월드컵 축구대회 등을 줄줄이 개최할 예정인 러시아는 2013년부터 2018년 사이만 따질 경우 세계 최대의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국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2만1천998점으로 스페인(2만2천744점)에 이어 12위에 올랐다. 일본은 2만646점으로 13위다.
조사 범위를 도시로 좁힌 결과로는 영국 런던이 1위를 차지했다. 국내 도시는 상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글로벌 스포츠 국가별 순위
1위. 중국 5만5천709점
2위. 영국 3만9천393점
3위. 러시아 3만9천376점
4위. 이탈리아 3만8천946점
5위. 캐나다 3만8천 94점
6위. 독일 3만5천988점
7위. 프랑스 2만8천587점
8위. 브라질 2만8천386점
9위. 미국 2만5천563점
10위. 네덜란드 2만3천899점
◇글로벌 스포츠 도시별 순위
1위. 런던(영국) 2만1천843점
2위.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 1만7천911점
3위. 모스크바(러시아) 1만7천867점
4위. 베이징(중국) 1만3천574점
5위. 파리(프랑스) 1만2천575점
6위. 도쿄(일본) 1만2천 78점
7위. 오클랜드(뉴질랜드) 7천994점
8위. 코펜하겐(덴마크) 7천718점
9위. 이스탄불(터키) 7천422점
10위. 밴쿠버(캐나다) 7천144점
스포트칼이 발표한 글로벌 스포츠 네이션 인덱스는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전 세계에서 열리는 약 700개의 주요 스포츠 이벤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대회의 중요도, 개최국 및 도시에 미친 사회, 경제, 환경, 체육계의 영향 등을 점수로 환산해 상위 20개 나라를 발표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과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등을 개최한 중국은 총 5만5천709점을 받아 2위 영국(3만9천393점)을 여유 있게 앞섰다.
중국은 2014년 유스 올림픽, 2015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예정이기도 하다. 중국은 2007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개별 종목 세계선수권대회도 가장 많이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런던올림픽과 2014년 커먼웰스게임, 2015년 럭비 월드컵 등의 개최국인 영국이 2위에 올랐고 러시아가 3만9천376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2015년 세계수영선수권대회, 2018년 월드컵 축구대회 등을 줄줄이 개최할 예정인 러시아는 2013년부터 2018년 사이만 따질 경우 세계 최대의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국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2만1천998점으로 스페인(2만2천744점)에 이어 12위에 올랐다. 일본은 2만646점으로 13위다.
조사 범위를 도시로 좁힌 결과로는 영국 런던이 1위를 차지했다. 국내 도시는 상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글로벌 스포츠 국가별 순위
1위. 중국 5만5천709점
2위. 영국 3만9천393점
3위. 러시아 3만9천376점
4위. 이탈리아 3만8천946점
5위. 캐나다 3만8천 94점
6위. 독일 3만5천988점
7위. 프랑스 2만8천587점
8위. 브라질 2만8천386점
9위. 미국 2만5천563점
10위. 네덜란드 2만3천899점
◇글로벌 스포츠 도시별 순위
1위. 런던(영국) 2만1천843점
2위. 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 1만7천911점
3위. 모스크바(러시아) 1만7천867점
4위. 베이징(중국) 1만3천574점
5위. 파리(프랑스) 1만2천575점
6위. 도쿄(일본) 1만2천 78점
7위. 오클랜드(뉴질랜드) 7천994점
8위. 코펜하겐(덴마크) 7천718점
9위. 이스탄불(터키) 7천422점
10위. 밴쿠버(캐나다) 7천144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