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마 로봇·액체 방탄복’ 군-민 첨단기술 뭉쳤다
입력 2012.11.30 (07:14)
수정 2012.11.30 (16: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탱크나 기관총, 야간 투시경 등에 쓰이는 첨단의 군사 기술과 민간 기술이 뭉치면 얼마나 쓸모있고 튼튼한 물건이 탄생할까요?
직접 체험해보시죠.
현장을 류란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공지능이 탑재된 견마 로봇입니다.
임무를 부여하고 경로를 지정하자 척척 알아서 장애물를 피해 달립니다.
원격 조정도 가능한 이 견마로봇은 사람 대신 적진에 들어가 정찰과 지뢰 탐지 등 위험한 임수를 수행하게됩니다.
비행장의 조류퇴치용 로봇..
스스로 새떼를 찾아내 따라다니며 총소리나 어린 새가 고통스러워 하는 소리 등 새가 싫어하는 18가지 음향과 레이저로 새를 쫒아냅니다.
이 방탄복 조끼는 신소재 섬유로 만든 이른바 '액체 방탄복' 입니다.
평소에는 일반 직물과 비슷하지만 갑작기 강한 충격을 받게되면 엄청난 견고성을 띠게 됩니다.
특수처리가 안 된 일반 직물 14겹은, 송곳이 이만큼 들어간 반면, 이른바 '액체 방탄' 처리가 된 직물 12겹에 송곳을 꽂자 내리꽂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손이 미끄러져버립니다.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소재는 물론 기술까지도 메이드인 코리아, 우리의 것입니다.
<인터뷰> 백홍열(국방과학연구소 소장) : "지난 10년간 투자금액의 15배정도의 경제 효과를 냈고 과제 성공률도 70%정도됩니다."
이번에 새로 선보인 민-군 겸용기술 제품은 모두 25건.. 국방과학연구소는 그동안 이런 겸용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6천 5백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탱크나 기관총, 야간 투시경 등에 쓰이는 첨단의 군사 기술과 민간 기술이 뭉치면 얼마나 쓸모있고 튼튼한 물건이 탄생할까요?
직접 체험해보시죠.
현장을 류란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공지능이 탑재된 견마 로봇입니다.
임무를 부여하고 경로를 지정하자 척척 알아서 장애물를 피해 달립니다.
원격 조정도 가능한 이 견마로봇은 사람 대신 적진에 들어가 정찰과 지뢰 탐지 등 위험한 임수를 수행하게됩니다.
비행장의 조류퇴치용 로봇..
스스로 새떼를 찾아내 따라다니며 총소리나 어린 새가 고통스러워 하는 소리 등 새가 싫어하는 18가지 음향과 레이저로 새를 쫒아냅니다.
이 방탄복 조끼는 신소재 섬유로 만든 이른바 '액체 방탄복' 입니다.
평소에는 일반 직물과 비슷하지만 갑작기 강한 충격을 받게되면 엄청난 견고성을 띠게 됩니다.
특수처리가 안 된 일반 직물 14겹은, 송곳이 이만큼 들어간 반면, 이른바 '액체 방탄' 처리가 된 직물 12겹에 송곳을 꽂자 내리꽂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손이 미끄러져버립니다.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소재는 물론 기술까지도 메이드인 코리아, 우리의 것입니다.
<인터뷰> 백홍열(국방과학연구소 소장) : "지난 10년간 투자금액의 15배정도의 경제 효과를 냈고 과제 성공률도 70%정도됩니다."
이번에 새로 선보인 민-군 겸용기술 제품은 모두 25건.. 국방과학연구소는 그동안 이런 겸용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6천 5백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견마 로봇·액체 방탄복’ 군-민 첨단기술 뭉쳤다
-
- 입력 2012-11-30 07:14:46
- 수정2012-11-30 16:26:42

<앵커 멘트>
탱크나 기관총, 야간 투시경 등에 쓰이는 첨단의 군사 기술과 민간 기술이 뭉치면 얼마나 쓸모있고 튼튼한 물건이 탄생할까요?
직접 체험해보시죠.
현장을 류란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공지능이 탑재된 견마 로봇입니다.
임무를 부여하고 경로를 지정하자 척척 알아서 장애물를 피해 달립니다.
원격 조정도 가능한 이 견마로봇은 사람 대신 적진에 들어가 정찰과 지뢰 탐지 등 위험한 임수를 수행하게됩니다.
비행장의 조류퇴치용 로봇..
스스로 새떼를 찾아내 따라다니며 총소리나 어린 새가 고통스러워 하는 소리 등 새가 싫어하는 18가지 음향과 레이저로 새를 쫒아냅니다.
이 방탄복 조끼는 신소재 섬유로 만든 이른바 '액체 방탄복' 입니다.
평소에는 일반 직물과 비슷하지만 갑작기 강한 충격을 받게되면 엄청난 견고성을 띠게 됩니다.
특수처리가 안 된 일반 직물 14겹은, 송곳이 이만큼 들어간 반면, 이른바 '액체 방탄' 처리가 된 직물 12겹에 송곳을 꽂자 내리꽂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손이 미끄러져버립니다.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소재는 물론 기술까지도 메이드인 코리아, 우리의 것입니다.
<인터뷰> 백홍열(국방과학연구소 소장) : "지난 10년간 투자금액의 15배정도의 경제 효과를 냈고 과제 성공률도 70%정도됩니다."
이번에 새로 선보인 민-군 겸용기술 제품은 모두 25건.. 국방과학연구소는 그동안 이런 겸용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6천 5백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
류란 기자 nany@kbs.co.kr
류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