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저축률이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3분기 기준 30.4%로 1982년 3분기의 27.9%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총저축률은 개인과 기업, 정부 저축을 합한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에서 투자자금을 충분히 조달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우리나라의 3분기 총저축률은 `3저 호황'과 올림픽 특수를 누렸던 1988년 41.5%로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고,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36.5%까지, 카드대란 발생 직전인 2002년에는 30.5%까지 하락했습니다.
총저축률의 하락 원인으로는 개인저축률이 빠르게 감소한 점이 꼽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개인저축률은 1988년 18.7%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13.5%까지 떨어졌습니다.
개인저축률이 떨어지는 이유로는,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감소세에 있고 저금리 기조가 계속된 데다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난 점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3분기 기준 30.4%로 1982년 3분기의 27.9%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총저축률은 개인과 기업, 정부 저축을 합한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에서 투자자금을 충분히 조달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우리나라의 3분기 총저축률은 `3저 호황'과 올림픽 특수를 누렸던 1988년 41.5%로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고,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36.5%까지, 카드대란 발생 직전인 2002년에는 30.5%까지 하락했습니다.
총저축률의 하락 원인으로는 개인저축률이 빠르게 감소한 점이 꼽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개인저축률은 1988년 18.7%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13.5%까지 떨어졌습니다.
개인저축률이 떨어지는 이유로는,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감소세에 있고 저금리 기조가 계속된 데다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난 점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분기 총저축률 1982년 이후 최저치 기록
-
- 입력 2012-12-12 09:22:56
총저축률이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3분기 기준 30.4%로 1982년 3분기의 27.9%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총저축률은 개인과 기업, 정부 저축을 합한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에서 투자자금을 충분히 조달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우리나라의 3분기 총저축률은 `3저 호황'과 올림픽 특수를 누렸던 1988년 41.5%로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고,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36.5%까지, 카드대란 발생 직전인 2002년에는 30.5%까지 하락했습니다.
총저축률의 하락 원인으로는 개인저축률이 빠르게 감소한 점이 꼽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개인저축률은 1988년 18.7%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13.5%까지 떨어졌습니다.
개인저축률이 떨어지는 이유로는,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감소세에 있고 저금리 기조가 계속된 데다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난 점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