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억제제 먹지 않는 이식수술 첫 성공
입력 2012.12.18 (06:36)
수정 2012.12.18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2만 2천 명이 넘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희소식인데요.
국내에서 처음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식수술이 성공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받다가 보름 전 신장이식을 받은 30대 남성입니다.
거부반응을 막아주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기 위해 골수이식까지 함께 받았습니다.
<인터뷰> 류기연(신장이식, 골수이식 환자) : "몸이 무겁고 그랬는데, 지금은 몸이 가볍고 전에 부었던 것도 다 빠지고."
이식을 받고 나면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면역억제제의 발달로 1년 내 이식거부반응의 비율은 10% 이내로 줄었습니다. 하지만, 면역억제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갖고 있습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3명 중 한 명은 당뇨가 생기고, 대퇴골두가 괴사되거나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골수이식을 동시에 시행해 거부반응이 생기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골수는 면역세포의 원천인 만큼 공여자의 골수가 같이 들어가면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인터뷰> 양철우(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 "공여자와 수혜자의 면역세포가 같이 공존하는 거죠. 그래서 공여자로부터 들어온 장기를 남의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본인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식수술은 앞으로 심장이나 간 이식 등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국내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2만 2천 명이 넘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희소식인데요.
국내에서 처음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식수술이 성공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받다가 보름 전 신장이식을 받은 30대 남성입니다.
거부반응을 막아주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기 위해 골수이식까지 함께 받았습니다.
<인터뷰> 류기연(신장이식, 골수이식 환자) : "몸이 무겁고 그랬는데, 지금은 몸이 가볍고 전에 부었던 것도 다 빠지고."
이식을 받고 나면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면역억제제의 발달로 1년 내 이식거부반응의 비율은 10% 이내로 줄었습니다. 하지만, 면역억제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갖고 있습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3명 중 한 명은 당뇨가 생기고, 대퇴골두가 괴사되거나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골수이식을 동시에 시행해 거부반응이 생기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골수는 면역세포의 원천인 만큼 공여자의 골수가 같이 들어가면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인터뷰> 양철우(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 "공여자와 수혜자의 면역세포가 같이 공존하는 거죠. 그래서 공여자로부터 들어온 장기를 남의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본인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식수술은 앞으로 심장이나 간 이식 등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면역억제제 먹지 않는 이식수술 첫 성공
-
- 입력 2012-12-18 06:38:23
- 수정2012-12-18 20:14:16
<앵커 멘트>
국내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2만 2천 명이 넘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희소식인데요.
국내에서 처음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식수술이 성공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받다가 보름 전 신장이식을 받은 30대 남성입니다.
거부반응을 막아주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기 위해 골수이식까지 함께 받았습니다.
<인터뷰> 류기연(신장이식, 골수이식 환자) : "몸이 무겁고 그랬는데, 지금은 몸이 가볍고 전에 부었던 것도 다 빠지고."
이식을 받고 나면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면역억제제의 발달로 1년 내 이식거부반응의 비율은 10% 이내로 줄었습니다. 하지만, 면역억제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갖고 있습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3명 중 한 명은 당뇨가 생기고, 대퇴골두가 괴사되거나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골수이식을 동시에 시행해 거부반응이 생기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골수는 면역세포의 원천인 만큼 공여자의 골수가 같이 들어가면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인터뷰> 양철우(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 "공여자와 수혜자의 면역세포가 같이 공존하는 거죠. 그래서 공여자로부터 들어온 장기를 남의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 본인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식수술은 앞으로 심장이나 간 이식 등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