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고통 나몰라라” 대학 78% 등록금 카드 결제 거부

입력 2013.01.16 (08:25) 수정 2013.01.16 (08: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학은 10곳 가운데 8곳꼴로 등록금의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고 있다. 경기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목돈 마련이 어려운 서민의 고충을 대학이 외면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1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전국 450여개 대학 가운데 올해 1학기 등록금을 카드로 받는 곳은 101개다. 전체의 22.4% 수준이다.

지난해 2학기에 카드 결제가 가능했던 108개교보다 되레 줄었다.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으로 대학교도 대형 가맹점에 포함, 카드 수수료율이 1% 중후반 대까지 오른 탓이다.

일부 대학이 과도한 등록금 결제 수수료를 내지 못하겠다면서 가맹점에서 탈퇴해 애꿎은 서민만 피해를 보게 됐다.

대다수 학부모와 학생은 대학 등록금의 카드 납부를 원한다. 경기 악화로 한 번에 400만~6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카드 결제 시 3~12개월까지 할부로 낼 수 있어 학비 부담을 덜 수 있다.

문제는 수익성을 포기하지 못하겠다는 카드사와 등록금 현금 납부로도 지장이 없다는 대학이 충돌하면서 카드 납부 활성화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대학으로서는 현금으로만 등록금을 받으면 연간 수십억원의 카드 수수료를 아낄 수 있다. 이 때문에 학생 편의를 무시한다는 비난은 기꺼이 감수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카드사들은 지난해 대학 등록금 카드 결제 확대를 위해 협의체까지 만들어 대학 설득에 나섰으나 여전법 개정 등으로 수수료 인상 문제가 불거지면서 무위로 끝났다.

지난해 등록금 납부 방법에 신용카드 12개월 분할 납부 방법을 포함한 `고등 교육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됐으나 무산돼 더는 기대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비협조적인 태도는 국내 상위권 대학에서 뚜렷하다.

고려대와 한양대는 등록금 카드 결제가 안 된다.

카드업계 1위 신한카드로 등록금 카드 결제가 가능한 대학은 서울대, 충북대, 안동대, 목포대, 강원대 등 7곳에 불과하다.

하나SK카드(8개), 현대카드(5개), 비씨카드(37개), 롯데카드(12개)는 지난해 2학기에 비해 올해 카드결제 가능 대학이 단 1곳도 늘지 않았다.

삼성카드는 성균관대 등 기존 32개교에서 올 1학기에 37개교, 국민카드는 동국대 등 39개교에서 45개교로 등록금 카드 납부 대학이 늘었다. 대학 전체로는 중복된 카드사가 대부분이라 학부모가 체감하는 효과는 거의 없다.

그나마 삼성카드와 국민카드는 다양한 할부 서비스로 학생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삼성카드는 대학등록금 카드 납부 때 다이어트 할부서비스를 제공한다. 3개월 다이어트 할부는 처음에 할부 이자를 내면 2~3회차를 면제해주는 방식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국민카드는 홈페이지 응모 후 할부 이용 시 대학등록금 2~3개월 무이자할부 혜택을 준다. 6개월 할부 이용 시 2회차부터 할부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대학은 등록금을 현금으로 받는 게 좋아서 카드사 요청에 좀처럼 응하지 않는다"면서 "최근 새로운 가맹점 수수료체계 도입으로 수수료율마저 올라 협상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민 고통 나몰라라” 대학 78% 등록금 카드 결제 거부
    • 입력 2013-01-16 08:25:41
    • 수정2013-01-16 08:34:20
    연합뉴스
국내 대학은 10곳 가운데 8곳꼴로 등록금의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고 있다. 경기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목돈 마련이 어려운 서민의 고충을 대학이 외면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1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전국 450여개 대학 가운데 올해 1학기 등록금을 카드로 받는 곳은 101개다. 전체의 22.4% 수준이다. 지난해 2학기에 카드 결제가 가능했던 108개교보다 되레 줄었다.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으로 대학교도 대형 가맹점에 포함, 카드 수수료율이 1% 중후반 대까지 오른 탓이다. 일부 대학이 과도한 등록금 결제 수수료를 내지 못하겠다면서 가맹점에서 탈퇴해 애꿎은 서민만 피해를 보게 됐다. 대다수 학부모와 학생은 대학 등록금의 카드 납부를 원한다. 경기 악화로 한 번에 400만~6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카드 결제 시 3~12개월까지 할부로 낼 수 있어 학비 부담을 덜 수 있다. 문제는 수익성을 포기하지 못하겠다는 카드사와 등록금 현금 납부로도 지장이 없다는 대학이 충돌하면서 카드 납부 활성화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대학으로서는 현금으로만 등록금을 받으면 연간 수십억원의 카드 수수료를 아낄 수 있다. 이 때문에 학생 편의를 무시한다는 비난은 기꺼이 감수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카드사들은 지난해 대학 등록금 카드 결제 확대를 위해 협의체까지 만들어 대학 설득에 나섰으나 여전법 개정 등으로 수수료 인상 문제가 불거지면서 무위로 끝났다. 지난해 등록금 납부 방법에 신용카드 12개월 분할 납부 방법을 포함한 `고등 교육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됐으나 무산돼 더는 기대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비협조적인 태도는 국내 상위권 대학에서 뚜렷하다. 고려대와 한양대는 등록금 카드 결제가 안 된다. 카드업계 1위 신한카드로 등록금 카드 결제가 가능한 대학은 서울대, 충북대, 안동대, 목포대, 강원대 등 7곳에 불과하다. 하나SK카드(8개), 현대카드(5개), 비씨카드(37개), 롯데카드(12개)는 지난해 2학기에 비해 올해 카드결제 가능 대학이 단 1곳도 늘지 않았다. 삼성카드는 성균관대 등 기존 32개교에서 올 1학기에 37개교, 국민카드는 동국대 등 39개교에서 45개교로 등록금 카드 납부 대학이 늘었다. 대학 전체로는 중복된 카드사가 대부분이라 학부모가 체감하는 효과는 거의 없다. 그나마 삼성카드와 국민카드는 다양한 할부 서비스로 학생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삼성카드는 대학등록금 카드 납부 때 다이어트 할부서비스를 제공한다. 3개월 다이어트 할부는 처음에 할부 이자를 내면 2~3회차를 면제해주는 방식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국민카드는 홈페이지 응모 후 할부 이용 시 대학등록금 2~3개월 무이자할부 혜택을 준다. 6개월 할부 이용 시 2회차부터 할부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대학은 등록금을 현금으로 받는 게 좋아서 카드사 요청에 좀처럼 응하지 않는다"면서 "최근 새로운 가맹점 수수료체계 도입으로 수수료율마저 올라 협상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