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멘트>
어제 정상 궤도에 진입한 '나로과학위성'이 오늘 새벽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나로호 발사는 한치의 오차 없는 완벽한 성공으로 평가받게 됐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로과학위성이 발사 후 처음으로 한반도 상공에 접근한 새벽 3시 28분.
숨막히는 긴장 속에 첫 교신이 시작됩니다.
<녹취> "STX P on, 들어가겠습니다."
초기 명령을 위성으로 전송한 뒤 1분 만에 위성 자료가 정상적으로 수신됩니다.
나로호가 발사된 지 정확히 11시간 28분 만입니다.
<인터뷰> 이 인(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소장):"금일 새벽 3시 28분부터 14분간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최초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어 새벽 5시 11분과 오전 7시에 이뤄진 교신도 정상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인공위성센터는 3차례의 교신을 통해 온도와 전압 등 위성의 건강 상태와 자세 제어 정보 등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강경인(카이스트 위성연구실장):"고도각이 너무 낮게 되면 정상적인 교신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하루에) 3~4번 정도 교신을 할 예정입니다."
교신에 성공한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한 달 동안 기본적인 기능점검을 거친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갑니다.
하루 14번씩 지구 상공의 타원궤도를 돌며 앞으로 1년 동안 우주환경 관측과 위성에 탑재된 국산기술 부품의 우주환경 검증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황정환입니다.
어제 정상 궤도에 진입한 '나로과학위성'이 오늘 새벽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나로호 발사는 한치의 오차 없는 완벽한 성공으로 평가받게 됐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로과학위성이 발사 후 처음으로 한반도 상공에 접근한 새벽 3시 28분.
숨막히는 긴장 속에 첫 교신이 시작됩니다.
<녹취> "STX P on, 들어가겠습니다."
초기 명령을 위성으로 전송한 뒤 1분 만에 위성 자료가 정상적으로 수신됩니다.
나로호가 발사된 지 정확히 11시간 28분 만입니다.
<인터뷰> 이 인(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소장):"금일 새벽 3시 28분부터 14분간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최초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어 새벽 5시 11분과 오전 7시에 이뤄진 교신도 정상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인공위성센터는 3차례의 교신을 통해 온도와 전압 등 위성의 건강 상태와 자세 제어 정보 등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강경인(카이스트 위성연구실장):"고도각이 너무 낮게 되면 정상적인 교신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하루에) 3~4번 정도 교신을 할 예정입니다."
교신에 성공한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한 달 동안 기본적인 기능점검을 거친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갑니다.
하루 14번씩 지구 상공의 타원궤도를 돌며 앞으로 1년 동안 우주환경 관측과 위성에 탑재된 국산기술 부품의 우주환경 검증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황정환입니다.
- ‘나로과학위성’ 3차례 정상 교신…발사 ‘완벽’
-
- 입력 2013-01-31 13:32:23
- 수정2013-01-31 17:57:55

<앵커 멘트>
어제 정상 궤도에 진입한 '나로과학위성'이 오늘 새벽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나로호 발사는 한치의 오차 없는 완벽한 성공으로 평가받게 됐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로과학위성이 발사 후 처음으로 한반도 상공에 접근한 새벽 3시 28분.
숨막히는 긴장 속에 첫 교신이 시작됩니다.
<녹취> "STX P on, 들어가겠습니다."
초기 명령을 위성으로 전송한 뒤 1분 만에 위성 자료가 정상적으로 수신됩니다.
나로호가 발사된 지 정확히 11시간 28분 만입니다.
<인터뷰> 이 인(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소장):"금일 새벽 3시 28분부터 14분간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최초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어 새벽 5시 11분과 오전 7시에 이뤄진 교신도 정상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인공위성센터는 3차례의 교신을 통해 온도와 전압 등 위성의 건강 상태와 자세 제어 정보 등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강경인(카이스트 위성연구실장):"고도각이 너무 낮게 되면 정상적인 교신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하루에) 3~4번 정도 교신을 할 예정입니다."
교신에 성공한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한 달 동안 기본적인 기능점검을 거친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갑니다.
하루 14번씩 지구 상공의 타원궤도를 돌며 앞으로 1년 동안 우주환경 관측과 위성에 탑재된 국산기술 부품의 우주환경 검증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황정환입니다.
어제 정상 궤도에 진입한 '나로과학위성'이 오늘 새벽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나로호 발사는 한치의 오차 없는 완벽한 성공으로 평가받게 됐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로과학위성이 발사 후 처음으로 한반도 상공에 접근한 새벽 3시 28분.
숨막히는 긴장 속에 첫 교신이 시작됩니다.
<녹취> "STX P on, 들어가겠습니다."
초기 명령을 위성으로 전송한 뒤 1분 만에 위성 자료가 정상적으로 수신됩니다.
나로호가 발사된 지 정확히 11시간 28분 만입니다.
<인터뷰> 이 인(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소장):"금일 새벽 3시 28분부터 14분간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센터 지상국과의 최초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이어 새벽 5시 11분과 오전 7시에 이뤄진 교신도 정상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인공위성센터는 3차례의 교신을 통해 온도와 전압 등 위성의 건강 상태와 자세 제어 정보 등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강경인(카이스트 위성연구실장):"고도각이 너무 낮게 되면 정상적인 교신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하루에) 3~4번 정도 교신을 할 예정입니다."
교신에 성공한 나로과학위성은 앞으로 한 달 동안 기본적인 기능점검을 거친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갑니다.
하루 14번씩 지구 상공의 타원궤도를 돌며 앞으로 1년 동안 우주환경 관측과 위성에 탑재된 국산기술 부품의 우주환경 검증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황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