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승용차 통행량 감소…지역별 격차 커
입력 2013.02.19 (09:54)
수정 2013.02.19 (1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로 출퇴근하는 신도시 주민들께선 승용차와 대중교통 가운데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하시나요?
서울시가 수도권 주민들의 통행 실태를 조사했더니 서울로 들어오는 전체 승용차 통행량은 줄었는데 그 감소폭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를 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출근시간대 서울 시내로 들어오는 외곽 도로.
진입 차량은 2010년 기준 하루 평균 130여 만대로 4년 전에 비해 10% 줄었습니다.
<녹취> "시간당 430대 정도 지나가는데요."
하지만, 전체 차량의 통행량을 지역별로 확인해보면 감소폭이 크게 다릅니다.
서울에서 철도나 지하철로 연결된 수원과 부천, 고양, 성남 방면은 10% 이상 줄어든 반면 김포와 파주 등지는 6% 정도 줄어드는데 그쳤습니다.
철도가 없는 신도시엔 서울로 들어오는 대중교통이 광역버스밖에 없어 승용차 통행량이 비교적 적게 줄어든 겁니다.
<인터뷰> 이순복(김포한강신도시 거주) : "대중교통이 잘만 돼있다고 하면 굳이 요즘 경기 어려울 때 자가용 갖고 다닐 이유 없죠...방법이 없으니까..."
서울시 등 지자체들은 철도의 수송 분담률이 가장 높은 만큼 신도시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호(서울시 교통정책관) : "(현재)서울까지만 나와있는 철도를 시 외곽으로 연계해서 (신도시로) 연장시켜 나가는 방법이 하나가 있겠고요 더 길어나가면 지하철도 뚫어서..."
갈수록 늘어나는 신도시의 교통 수요를 감안해 광역 교통망 확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신도시 주민들께선 승용차와 대중교통 가운데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하시나요?
서울시가 수도권 주민들의 통행 실태를 조사했더니 서울로 들어오는 전체 승용차 통행량은 줄었는데 그 감소폭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를 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출근시간대 서울 시내로 들어오는 외곽 도로.
진입 차량은 2010년 기준 하루 평균 130여 만대로 4년 전에 비해 10% 줄었습니다.
<녹취> "시간당 430대 정도 지나가는데요."
하지만, 전체 차량의 통행량을 지역별로 확인해보면 감소폭이 크게 다릅니다.
서울에서 철도나 지하철로 연결된 수원과 부천, 고양, 성남 방면은 10% 이상 줄어든 반면 김포와 파주 등지는 6% 정도 줄어드는데 그쳤습니다.
철도가 없는 신도시엔 서울로 들어오는 대중교통이 광역버스밖에 없어 승용차 통행량이 비교적 적게 줄어든 겁니다.
<인터뷰> 이순복(김포한강신도시 거주) : "대중교통이 잘만 돼있다고 하면 굳이 요즘 경기 어려울 때 자가용 갖고 다닐 이유 없죠...방법이 없으니까..."
서울시 등 지자체들은 철도의 수송 분담률이 가장 높은 만큼 신도시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호(서울시 교통정책관) : "(현재)서울까지만 나와있는 철도를 시 외곽으로 연계해서 (신도시로) 연장시켜 나가는 방법이 하나가 있겠고요 더 길어나가면 지하철도 뚫어서..."
갈수록 늘어나는 신도시의 교통 수요를 감안해 광역 교통망 확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승용차 통행량 감소…지역별 격차 커
-
- 입력 2013-02-19 09:55:15
- 수정2013-02-19 10:14:44

<앵커 멘트>
서울로 출퇴근하는 신도시 주민들께선 승용차와 대중교통 가운데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하시나요?
서울시가 수도권 주민들의 통행 실태를 조사했더니 서울로 들어오는 전체 승용차 통행량은 줄었는데 그 감소폭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를 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출근시간대 서울 시내로 들어오는 외곽 도로.
진입 차량은 2010년 기준 하루 평균 130여 만대로 4년 전에 비해 10% 줄었습니다.
<녹취> "시간당 430대 정도 지나가는데요."
하지만, 전체 차량의 통행량을 지역별로 확인해보면 감소폭이 크게 다릅니다.
서울에서 철도나 지하철로 연결된 수원과 부천, 고양, 성남 방면은 10% 이상 줄어든 반면 김포와 파주 등지는 6% 정도 줄어드는데 그쳤습니다.
철도가 없는 신도시엔 서울로 들어오는 대중교통이 광역버스밖에 없어 승용차 통행량이 비교적 적게 줄어든 겁니다.
<인터뷰> 이순복(김포한강신도시 거주) : "대중교통이 잘만 돼있다고 하면 굳이 요즘 경기 어려울 때 자가용 갖고 다닐 이유 없죠...방법이 없으니까..."
서울시 등 지자체들은 철도의 수송 분담률이 가장 높은 만큼 신도시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호(서울시 교통정책관) : "(현재)서울까지만 나와있는 철도를 시 외곽으로 연계해서 (신도시로) 연장시켜 나가는 방법이 하나가 있겠고요 더 길어나가면 지하철도 뚫어서..."
갈수록 늘어나는 신도시의 교통 수요를 감안해 광역 교통망 확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
박현 기자 why@kbs.co.kr
박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