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심각한 주부 우울증…‘극단적 선택’ 늘어나
입력 2013.03.18 (21:41) 수정 2013.03.19 (08:38) 뉴스9(경인)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우울증을 앓던 주부들이 어린 자녀를 살해하고 목숨을 끊는 등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습니다.

어린 자녀를 죽이는 건 엄연한 살인인 만큼 사회적 예방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16일, 두 자녀의 어머니인 41살 전 모씨는 자녀에게 흉기를 휘두른 뒤 다량의 수면제를 복용했습니다.

<녹취> 경찰 관계자 : "내버려둬 봤자 서로 뻔하니까 애들 죽이고 자기도 이제 죽을려고 그랬던 거죠."

일주일 전엔 주부 42살 민 모씨가 두 아이를 안고 광주의 한 아파트에서 뛰어내렸고, 청주에서도 40대 주부가 어린 딸을 흉기로 찌른 뒤 자해했습니다.

이들은 모두 '주부 우울증' 환자였습니다.

육아나 경제, 부부 문제까지 우울증을 겪던 주부들이 순간적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입니다.

여성들의 우울 장애 유병률은 성년 이후 '결혼 기간'에 집중돼 주부 우울증을 반영하고 있고, 지난해만 평균 9퍼센트로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습니다.

<인터뷰> 김지은(주부) : "혼자 육아를 책임지고 가정을 보살피다 보면 혼자서 그걸 감당해야 된다는 불안감이 굉장히 클거에요."

하지만 우울증에 시달리던 주부가 자신뿐만 아니라 어린 자녀까지 살해하는 경우는 한국 사회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인터뷰> 최영락(청주 정신보건센터장) : "가족에 대한 이 책임감도 굉장히 크기 때문에 그 부분이 만약에 왜곡이 되고 그러면 071932-37 자기에 대한 희생뿐만이 아니고 가족에 대한 희생까지도.."

전문가들은 의사 결정 능력이 없는 어린 자녀를 죽이는 것은 무책임한 살인 행위라고 지적하고,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인 감시체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 심각한 주부 우울증…‘극단적 선택’ 늘어나
    • 입력 2013-03-18 21:51:22
    • 수정2013-03-19 08:38:45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우울증을 앓던 주부들이 어린 자녀를 살해하고 목숨을 끊는 등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습니다.

어린 자녀를 죽이는 건 엄연한 살인인 만큼 사회적 예방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강나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16일, 두 자녀의 어머니인 41살 전 모씨는 자녀에게 흉기를 휘두른 뒤 다량의 수면제를 복용했습니다.

<녹취> 경찰 관계자 : "내버려둬 봤자 서로 뻔하니까 애들 죽이고 자기도 이제 죽을려고 그랬던 거죠."

일주일 전엔 주부 42살 민 모씨가 두 아이를 안고 광주의 한 아파트에서 뛰어내렸고, 청주에서도 40대 주부가 어린 딸을 흉기로 찌른 뒤 자해했습니다.

이들은 모두 '주부 우울증' 환자였습니다.

육아나 경제, 부부 문제까지 우울증을 겪던 주부들이 순간적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입니다.

여성들의 우울 장애 유병률은 성년 이후 '결혼 기간'에 집중돼 주부 우울증을 반영하고 있고, 지난해만 평균 9퍼센트로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습니다.

<인터뷰> 김지은(주부) : "혼자 육아를 책임지고 가정을 보살피다 보면 혼자서 그걸 감당해야 된다는 불안감이 굉장히 클거에요."

하지만 우울증에 시달리던 주부가 자신뿐만 아니라 어린 자녀까지 살해하는 경우는 한국 사회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인터뷰> 최영락(청주 정신보건센터장) : "가족에 대한 이 책임감도 굉장히 크기 때문에 그 부분이 만약에 왜곡이 되고 그러면 071932-37 자기에 대한 희생뿐만이 아니고 가족에 대한 희생까지도.."

전문가들은 의사 결정 능력이 없는 어린 자녀를 죽이는 것은 무책임한 살인 행위라고 지적하고,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인 감시체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