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북한 도발 기도에 쐐기…예상 반응은?
입력 2013.03.24 (21:02) 수정 2013.03.24 (22:34) 뉴스 9
<앵커멘트>
한미간 합의로 북한의 국지도발 시도에 상당한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합의의 의미를 계속해서 박진영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북한이 쏜 170여 발의 포탄이 터지면서 민간인과 군인 4명이 숨지고 20여 명이 다친 전형적인 국지도발이었습니다.
우리 군도 K-9 자주포 80여 발을 북한 해안포 진지에 쏘며 맞대응했지만 지휘세력까지 타격하지는 못했습니다.
연평도 도발 이후 군의 교전수칙은 크게 바뀌었습니다.
<녹취> 김관진(국방장관/2012.3.7): "쏠까요, 말까요? 묻지 말고 자동으로 응징한다. 언제까지? 적이 굴복할 때까지. 표적은 뭐냐? (북)도발 원점. 지원세력까지."
북한이 도발해오면 같은 급의 무기를 사용해 비슷한 면적을 타격한다는 이른바 '필요성과 비례성 원칙'에서 벗어나 북 지휘부까지 타격하는 것입니다.
이번 공동국지도발계획 서명은 이런 내용의 교전수칙을 한미가 공식화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 신인균(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미국이 공식 동의함으로써 말이 아닌 실질적으로 북한을 응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고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은 B-52 전략폭격기와 핵추진 잠수함의 한반도 출격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면서 북한을 압박해왔습니다.
북한이 공습경보까지 발령하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군은 한미 양국이 천명한 대로 어떤 국지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한미간 합의로 북한의 국지도발 시도에 상당한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합의의 의미를 계속해서 박진영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북한이 쏜 170여 발의 포탄이 터지면서 민간인과 군인 4명이 숨지고 20여 명이 다친 전형적인 국지도발이었습니다.
우리 군도 K-9 자주포 80여 발을 북한 해안포 진지에 쏘며 맞대응했지만 지휘세력까지 타격하지는 못했습니다.
연평도 도발 이후 군의 교전수칙은 크게 바뀌었습니다.
<녹취> 김관진(국방장관/2012.3.7): "쏠까요, 말까요? 묻지 말고 자동으로 응징한다. 언제까지? 적이 굴복할 때까지. 표적은 뭐냐? (북)도발 원점. 지원세력까지."
북한이 도발해오면 같은 급의 무기를 사용해 비슷한 면적을 타격한다는 이른바 '필요성과 비례성 원칙'에서 벗어나 북 지휘부까지 타격하는 것입니다.
이번 공동국지도발계획 서명은 이런 내용의 교전수칙을 한미가 공식화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 신인균(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미국이 공식 동의함으로써 말이 아닌 실질적으로 북한을 응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고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은 B-52 전략폭격기와 핵추진 잠수함의 한반도 출격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면서 북한을 압박해왔습니다.
북한이 공습경보까지 발령하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군은 한미 양국이 천명한 대로 어떤 국지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북한 도발 기도에 쐐기…예상 반응은?
-
- 입력 2013-03-24 21:02:51
- 수정2013-03-24 22:34:05

<앵커멘트>
한미간 합의로 북한의 국지도발 시도에 상당한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합의의 의미를 계속해서 박진영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북한이 쏜 170여 발의 포탄이 터지면서 민간인과 군인 4명이 숨지고 20여 명이 다친 전형적인 국지도발이었습니다.
우리 군도 K-9 자주포 80여 발을 북한 해안포 진지에 쏘며 맞대응했지만 지휘세력까지 타격하지는 못했습니다.
연평도 도발 이후 군의 교전수칙은 크게 바뀌었습니다.
<녹취> 김관진(국방장관/2012.3.7): "쏠까요, 말까요? 묻지 말고 자동으로 응징한다. 언제까지? 적이 굴복할 때까지. 표적은 뭐냐? (북)도발 원점. 지원세력까지."
북한이 도발해오면 같은 급의 무기를 사용해 비슷한 면적을 타격한다는 이른바 '필요성과 비례성 원칙'에서 벗어나 북 지휘부까지 타격하는 것입니다.
이번 공동국지도발계획 서명은 이런 내용의 교전수칙을 한미가 공식화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 신인균(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미국이 공식 동의함으로써 말이 아닌 실질적으로 북한을 응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고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은 B-52 전략폭격기와 핵추진 잠수함의 한반도 출격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면서 북한을 압박해왔습니다.
북한이 공습경보까지 발령하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군은 한미 양국이 천명한 대로 어떤 국지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한미간 합의로 북한의 국지도발 시도에 상당한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합의의 의미를 계속해서 박진영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북한이 쏜 170여 발의 포탄이 터지면서 민간인과 군인 4명이 숨지고 20여 명이 다친 전형적인 국지도발이었습니다.
우리 군도 K-9 자주포 80여 발을 북한 해안포 진지에 쏘며 맞대응했지만 지휘세력까지 타격하지는 못했습니다.
연평도 도발 이후 군의 교전수칙은 크게 바뀌었습니다.
<녹취> 김관진(국방장관/2012.3.7): "쏠까요, 말까요? 묻지 말고 자동으로 응징한다. 언제까지? 적이 굴복할 때까지. 표적은 뭐냐? (북)도발 원점. 지원세력까지."
북한이 도발해오면 같은 급의 무기를 사용해 비슷한 면적을 타격한다는 이른바 '필요성과 비례성 원칙'에서 벗어나 북 지휘부까지 타격하는 것입니다.
이번 공동국지도발계획 서명은 이런 내용의 교전수칙을 한미가 공식화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 신인균(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미국이 공식 동의함으로써 말이 아닌 실질적으로 북한을 응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고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은 B-52 전략폭격기와 핵추진 잠수함의 한반도 출격까지 이례적으로 공개하면서 북한을 압박해왔습니다.
북한이 공습경보까지 발령하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군은 한미 양국이 천명한 대로 어떤 국지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