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자살위험 높은 우울증 따로 있다”

입력 2013.04.05 (0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멜랑콜리아 우울증' 자살 위험, 일반 우울증의 2배


한국인의 자살과 연관성이 높은 우울증 유형이 따로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한국과 중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6개국 13개 대학병원에서 총 547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가간 비교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기분장애학회가 발간하는 공식 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근호에 실렸다.

논문을 보면 아시아 민족에서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있거나 충동·분노감을 나타내는 우울증일 경우 일반 우울증보다 자살 위험이 각각 2배 높았다.

특히 한국인은 우울증 중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42.6%로 다른 민족보다 1.4배 이상 많았으며, 같은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일지라도 자살 위험이 다른 민족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더 심한 우울증으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우니나라처럼 자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은 심각한 우울증의 여러가지 유형 중 한 형태로 즐거운 감정을 느끼지 못하고 심한 식욕감퇴와 체중 감소가 동반된다. 또 안절부절 못하거나 행동이 느려지며 새벽에 잠자리에서 일찍 깨고 아침에 모든 증상이 더 심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연구팀은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있을 경우 술을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술로 잠을 이루려고 하다 보면 새벽에 금단증상이 발생해 자살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충동·분노감이 동반된 우울증도 자살 위험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은 한국과 중국처럼 사계절의 변동이 큰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더 많이 생기는 것으로 관찰됐다"면서 "우울증의 특징을 잘 살펴 집중적 치료와 사회적 관심을 기울인다면 자살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인, 자살위험 높은 우울증 따로 있다”
    • 입력 2013-04-05 09:51:33
    연합뉴스
'멜랑콜리아 우울증' 자살 위험, 일반 우울증의 2배 한국인의 자살과 연관성이 높은 우울증 유형이 따로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한국과 중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6개국 13개 대학병원에서 총 547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국가간 비교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기분장애학회가 발간하는 공식 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근호에 실렸다. 논문을 보면 아시아 민족에서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있거나 충동·분노감을 나타내는 우울증일 경우 일반 우울증보다 자살 위험이 각각 2배 높았다. 특히 한국인은 우울증 중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42.6%로 다른 민족보다 1.4배 이상 많았으며, 같은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일지라도 자살 위험이 다른 민족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더 심한 우울증으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우니나라처럼 자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은 심각한 우울증의 여러가지 유형 중 한 형태로 즐거운 감정을 느끼지 못하고 심한 식욕감퇴와 체중 감소가 동반된다. 또 안절부절 못하거나 행동이 느려지며 새벽에 잠자리에서 일찍 깨고 아침에 모든 증상이 더 심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연구팀은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있을 경우 술을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술로 잠을 이루려고 하다 보면 새벽에 금단증상이 발생해 자살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충동·분노감이 동반된 우울증도 자살 위험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은 한국과 중국처럼 사계절의 변동이 큰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더 많이 생기는 것으로 관찰됐다"면서 "우울증의 특징을 잘 살펴 집중적 치료와 사회적 관심을 기울인다면 자살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