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낭충봉아 부패병으로 사라지는 토종벌
입력 2013.04.10 (09:41) 수정 2013.04.10 (10:08) 930뉴스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봄꽃이 활짝 피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시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 들어서도 벌들이 죽어가면서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각종 대책도 효과가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완연한 봄 날씨에 야생화가 활짝 핀 지리산, 산 기슭에 토종벌을 키우는 벌통이 즐비합니다.
하지만 벌통마다 들고나는 벌은 보이지 않고 죽은 애벌레들만 어지러이 널려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낭충봉아 부패병에 걸려 죽은 겁니다.
이 때문에 3년 전 130통이 넘었던 이 농가의 토종 벌통이 지금은 30통도 채 안되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지금은 빚투성이죠 2010년부터 소득이 전혀없고 계속 투자는 하고 공부하고 지금도 앞이 보이지 않고...."
벌을 살리기 위해 사람에게도 좋다는 건강 식품까지 동원해 봤지만 무용지물,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복분자, 홍삼,프로폴리스, 효소 온갖 비싼 것 다 먹였는데 그때 뿐이예요 그거 끊어지면 다시 아웃(죽게 )되고..."
이때문에 일부 농가들은 토종벌 사육을 아예 포기하고 양봉으로 바꿨지만 손이 많이 가는 양봉의 특성 때문에 골치거리입니다.
<인터뷰> 권종국(양봉 농가) : "양봉은 관리를 일주일마다 한번씩 해야하고 돈으로 따지면 70%정도 더 들어가야 한다고 봐야 합니다."
폐사가 잇따르면서 전남 구례군에서만 780여 농가에서 벌통 2만 8천개가 피해를 입는 등 전국 32만개의 토종 벌통 가운데 98% 이상이 피해를 봤습니다.
<인터뷰> 농업과학원 관계자 : "질병자체가 만연한 지역인데 외부에서 벌을 사와서 다시 시작할려고 해도 또 질병이 오고 관리기술자체가 잘 개선이 안돼..."
정부의 토종벌 육성 대책들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채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도 잔인한 봄을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 입니다.
봄꽃이 활짝 피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시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 들어서도 벌들이 죽어가면서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각종 대책도 효과가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완연한 봄 날씨에 야생화가 활짝 핀 지리산, 산 기슭에 토종벌을 키우는 벌통이 즐비합니다.
하지만 벌통마다 들고나는 벌은 보이지 않고 죽은 애벌레들만 어지러이 널려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낭충봉아 부패병에 걸려 죽은 겁니다.
이 때문에 3년 전 130통이 넘었던 이 농가의 토종 벌통이 지금은 30통도 채 안되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지금은 빚투성이죠 2010년부터 소득이 전혀없고 계속 투자는 하고 공부하고 지금도 앞이 보이지 않고...."
벌을 살리기 위해 사람에게도 좋다는 건강 식품까지 동원해 봤지만 무용지물,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복분자, 홍삼,프로폴리스, 효소 온갖 비싼 것 다 먹였는데 그때 뿐이예요 그거 끊어지면 다시 아웃(죽게 )되고..."
이때문에 일부 농가들은 토종벌 사육을 아예 포기하고 양봉으로 바꿨지만 손이 많이 가는 양봉의 특성 때문에 골치거리입니다.
<인터뷰> 권종국(양봉 농가) : "양봉은 관리를 일주일마다 한번씩 해야하고 돈으로 따지면 70%정도 더 들어가야 한다고 봐야 합니다."
폐사가 잇따르면서 전남 구례군에서만 780여 농가에서 벌통 2만 8천개가 피해를 입는 등 전국 32만개의 토종 벌통 가운데 98% 이상이 피해를 봤습니다.
<인터뷰> 농업과학원 관계자 : "질병자체가 만연한 지역인데 외부에서 벌을 사와서 다시 시작할려고 해도 또 질병이 오고 관리기술자체가 잘 개선이 안돼..."
정부의 토종벌 육성 대책들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채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도 잔인한 봄을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 입니다.
- 낭충봉아 부패병으로 사라지는 토종벌
-
- 입력 2013-04-10 09:44:46
- 수정2013-04-10 10:08:50

<앵커 멘트>
봄꽃이 활짝 피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시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 들어서도 벌들이 죽어가면서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각종 대책도 효과가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완연한 봄 날씨에 야생화가 활짝 핀 지리산, 산 기슭에 토종벌을 키우는 벌통이 즐비합니다.
하지만 벌통마다 들고나는 벌은 보이지 않고 죽은 애벌레들만 어지러이 널려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낭충봉아 부패병에 걸려 죽은 겁니다.
이 때문에 3년 전 130통이 넘었던 이 농가의 토종 벌통이 지금은 30통도 채 안되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지금은 빚투성이죠 2010년부터 소득이 전혀없고 계속 투자는 하고 공부하고 지금도 앞이 보이지 않고...."
벌을 살리기 위해 사람에게도 좋다는 건강 식품까지 동원해 봤지만 무용지물,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복분자, 홍삼,프로폴리스, 효소 온갖 비싼 것 다 먹였는데 그때 뿐이예요 그거 끊어지면 다시 아웃(죽게 )되고..."
이때문에 일부 농가들은 토종벌 사육을 아예 포기하고 양봉으로 바꿨지만 손이 많이 가는 양봉의 특성 때문에 골치거리입니다.
<인터뷰> 권종국(양봉 농가) : "양봉은 관리를 일주일마다 한번씩 해야하고 돈으로 따지면 70%정도 더 들어가야 한다고 봐야 합니다."
폐사가 잇따르면서 전남 구례군에서만 780여 농가에서 벌통 2만 8천개가 피해를 입는 등 전국 32만개의 토종 벌통 가운데 98% 이상이 피해를 봤습니다.
<인터뷰> 농업과학원 관계자 : "질병자체가 만연한 지역인데 외부에서 벌을 사와서 다시 시작할려고 해도 또 질병이 오고 관리기술자체가 잘 개선이 안돼..."
정부의 토종벌 육성 대책들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채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도 잔인한 봄을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 입니다.
봄꽃이 활짝 피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시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 들어서도 벌들이 죽어가면서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각종 대책도 효과가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광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완연한 봄 날씨에 야생화가 활짝 핀 지리산, 산 기슭에 토종벌을 키우는 벌통이 즐비합니다.
하지만 벌통마다 들고나는 벌은 보이지 않고 죽은 애벌레들만 어지러이 널려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낭충봉아 부패병에 걸려 죽은 겁니다.
이 때문에 3년 전 130통이 넘었던 이 농가의 토종 벌통이 지금은 30통도 채 안되게 줄었습니다.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지금은 빚투성이죠 2010년부터 소득이 전혀없고 계속 투자는 하고 공부하고 지금도 앞이 보이지 않고...."
벌을 살리기 위해 사람에게도 좋다는 건강 식품까지 동원해 봤지만 무용지물,
<인터뷰> 이성희(전남 한봉협회 회장) : "복분자, 홍삼,프로폴리스, 효소 온갖 비싼 것 다 먹였는데 그때 뿐이예요 그거 끊어지면 다시 아웃(죽게 )되고..."
이때문에 일부 농가들은 토종벌 사육을 아예 포기하고 양봉으로 바꿨지만 손이 많이 가는 양봉의 특성 때문에 골치거리입니다.
<인터뷰> 권종국(양봉 농가) : "양봉은 관리를 일주일마다 한번씩 해야하고 돈으로 따지면 70%정도 더 들어가야 한다고 봐야 합니다."
폐사가 잇따르면서 전남 구례군에서만 780여 농가에서 벌통 2만 8천개가 피해를 입는 등 전국 32만개의 토종 벌통 가운데 98% 이상이 피해를 봤습니다.
<인터뷰> 농업과학원 관계자 : "질병자체가 만연한 지역인데 외부에서 벌을 사와서 다시 시작할려고 해도 또 질병이 오고 관리기술자체가 잘 개선이 안돼..."
정부의 토종벌 육성 대책들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채 토종벌 사육 농가들은 올해도 잔인한 봄을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 입니다.
930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광진 기자 powjnl@kbs.co.kr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