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6·25 전쟁 포로수용소 사망 원인 1위는 전염병”
입력 2013.04.24 (09:36) 수정 2013.04.24 (20:19) 사회
6.25전쟁 기간 남측 포로수용소에 수용됐던 포로의 사망 원인 중 1위는 전염병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림대의대 기생충학교실 허선 교수팀은 미국 국방성 자료를 기초로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전쟁 기간 남측 포로수용소의 사망자 실태를 분석한 결과, 17만 천400여명의 수용자 가운데 약 4.4%인 7천6백여 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 원인으로는 결핵이나 이질, 설사 등 전염병이 약 66%로 가장 많았고, 총상 등에 의한 외상은 11%로 뒤를 이었습니다.
연구팀은 1950년대 초반 한반도에 각종 전염성 질환이 유행했던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림대의대 기생충학교실 허선 교수팀은 미국 국방성 자료를 기초로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전쟁 기간 남측 포로수용소의 사망자 실태를 분석한 결과, 17만 천400여명의 수용자 가운데 약 4.4%인 7천6백여 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 원인으로는 결핵이나 이질, 설사 등 전염병이 약 66%로 가장 많았고, 총상 등에 의한 외상은 11%로 뒤를 이었습니다.
연구팀은 1950년대 초반 한반도에 각종 전염성 질환이 유행했던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6·25 전쟁 포로수용소 사망 원인 1위는 전염병”
-
- 입력 2013-04-24 09:36:39
- 수정2013-04-24 20:19:27
6.25전쟁 기간 남측 포로수용소에 수용됐던 포로의 사망 원인 중 1위는 전염병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림대의대 기생충학교실 허선 교수팀은 미국 국방성 자료를 기초로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전쟁 기간 남측 포로수용소의 사망자 실태를 분석한 결과, 17만 천400여명의 수용자 가운데 약 4.4%인 7천6백여 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 원인으로는 결핵이나 이질, 설사 등 전염병이 약 66%로 가장 많았고, 총상 등에 의한 외상은 11%로 뒤를 이었습니다.
연구팀은 1950년대 초반 한반도에 각종 전염성 질환이 유행했던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림대의대 기생충학교실 허선 교수팀은 미국 국방성 자료를 기초로 1950년부터 1953년까지 6.25전쟁 기간 남측 포로수용소의 사망자 실태를 분석한 결과, 17만 천400여명의 수용자 가운데 약 4.4%인 7천6백여 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 원인으로는 결핵이나 이질, 설사 등 전염병이 약 66%로 가장 많았고, 총상 등에 의한 외상은 11%로 뒤를 이었습니다.
연구팀은 1950년대 초반 한반도에 각종 전염성 질환이 유행했던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