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곤충 눈의 원리 응용한 초광각 카메라 개발
입력 2013.05.02 (06:04) IT·과학
한국인 과학자가 파리나 잠자리와 같은 곤충의 눈 원리를 이용해 초광각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송영민 박사는 곤충의 눈과 구조와 기능이 동일해 160도의 화각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송 박사팀은 잡아당기면 늘어나는 이미지 센서를 만들고 이를 반구형으로 변형시켜 곤충의 겹눈과 유사한 구조로 디지털 카메라를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카메라는 광각렌즈나 어안렌즈와 달리 실물의 이미지를 왜곡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초소형 비행로봇이나 전 방위 물체 감지 센서, 내시경 카메라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 오늘자에 실렸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송영민 박사는 곤충의 눈과 구조와 기능이 동일해 160도의 화각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송 박사팀은 잡아당기면 늘어나는 이미지 센서를 만들고 이를 반구형으로 변형시켜 곤충의 겹눈과 유사한 구조로 디지털 카메라를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카메라는 광각렌즈나 어안렌즈와 달리 실물의 이미지를 왜곡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초소형 비행로봇이나 전 방위 물체 감지 센서, 내시경 카메라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 오늘자에 실렸습니다.
- 곤충 눈의 원리 응용한 초광각 카메라 개발
-
- 입력 2013-05-02 06:04:42
한국인 과학자가 파리나 잠자리와 같은 곤충의 눈 원리를 이용해 초광각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송영민 박사는 곤충의 눈과 구조와 기능이 동일해 160도의 화각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송 박사팀은 잡아당기면 늘어나는 이미지 센서를 만들고 이를 반구형으로 변형시켜 곤충의 겹눈과 유사한 구조로 디지털 카메라를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카메라는 광각렌즈나 어안렌즈와 달리 실물의 이미지를 왜곡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초소형 비행로봇이나 전 방위 물체 감지 센서, 내시경 카메라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 오늘자에 실렸습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송영민 박사는 곤충의 눈과 구조와 기능이 동일해 160도의 화각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송 박사팀은 잡아당기면 늘어나는 이미지 센서를 만들고 이를 반구형으로 변형시켜 곤충의 겹눈과 유사한 구조로 디지털 카메라를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카메라는 광각렌즈나 어안렌즈와 달리 실물의 이미지를 왜곡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초소형 비행로봇이나 전 방위 물체 감지 센서, 내시경 카메라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네이처' 오늘자에 실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이은정 기자 ejlee@kbs.co.kr
이은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