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뉴스 9 예고] 아베 “개헌은 우리 일”…“국민 절반 반대” 外
입력 2013.05.02 (20:20) 수정 2013.05.02 (20:25) 뉴스
국제사회의 우려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아베 일본 총리가 평화 헌법 개정은 일본의 일이라며 독자 행보를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한 여론조사에선 국민의 절반 이상이 헌법개정에 반대했습니다.
재벌가 주식 증여…‘12살, 4백억 이상 보유’
상장사 주식을 1억원 넘게 보유한 재벌가 어린이가 118명에 이릅니다. 4백억 이상 갖고 있는 12살짜리 어린이도 있습니다. 재벌가의 주식 증여 실태를 심층 취재했습니다.
청소년 58% “동거해도 괜찮아”
청소년들의 절반 이상이 결혼이 아닌 동거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결혼과 가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봅니다.
3천억원 지원…잔류 7인 귀환 무산
통행 차단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3천억원이 지원됩니다. 잔류 인원 7명은 오늘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확인
중국과 일본에서 잇따라 사망자를 낸 살인 진드기 바이러스가 국내에서도 확인됐습니다. 살인 진드기는 주로 숲이나 풀밭에 살고 있어 야외 활동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9시 뉴스에서 뵙겠습니다.
재벌가 주식 증여…‘12살, 4백억 이상 보유’
상장사 주식을 1억원 넘게 보유한 재벌가 어린이가 118명에 이릅니다. 4백억 이상 갖고 있는 12살짜리 어린이도 있습니다. 재벌가의 주식 증여 실태를 심층 취재했습니다.
청소년 58% “동거해도 괜찮아”
청소년들의 절반 이상이 결혼이 아닌 동거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결혼과 가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봅니다.
3천억원 지원…잔류 7인 귀환 무산
통행 차단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3천억원이 지원됩니다. 잔류 인원 7명은 오늘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확인
중국과 일본에서 잇따라 사망자를 낸 살인 진드기 바이러스가 국내에서도 확인됐습니다. 살인 진드기는 주로 숲이나 풀밭에 살고 있어 야외 활동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9시 뉴스에서 뵙겠습니다.
- [뉴스 9 예고] 아베 “개헌은 우리 일”…“국민 절반 반대” 外
-
- 입력 2013-05-02 20:07:38
- 수정2013-05-02 20:25:00

국제사회의 우려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아베 일본 총리가 평화 헌법 개정은 일본의 일이라며 독자 행보를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한 여론조사에선 국민의 절반 이상이 헌법개정에 반대했습니다.
재벌가 주식 증여…‘12살, 4백억 이상 보유’
상장사 주식을 1억원 넘게 보유한 재벌가 어린이가 118명에 이릅니다. 4백억 이상 갖고 있는 12살짜리 어린이도 있습니다. 재벌가의 주식 증여 실태를 심층 취재했습니다.
청소년 58% “동거해도 괜찮아”
청소년들의 절반 이상이 결혼이 아닌 동거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결혼과 가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봅니다.
3천억원 지원…잔류 7인 귀환 무산
통행 차단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3천억원이 지원됩니다. 잔류 인원 7명은 오늘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확인
중국과 일본에서 잇따라 사망자를 낸 살인 진드기 바이러스가 국내에서도 확인됐습니다. 살인 진드기는 주로 숲이나 풀밭에 살고 있어 야외 활동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9시 뉴스에서 뵙겠습니다.
재벌가 주식 증여…‘12살, 4백억 이상 보유’
상장사 주식을 1억원 넘게 보유한 재벌가 어린이가 118명에 이릅니다. 4백억 이상 갖고 있는 12살짜리 어린이도 있습니다. 재벌가의 주식 증여 실태를 심층 취재했습니다.
청소년 58% “동거해도 괜찮아”
청소년들의 절반 이상이 결혼이 아닌 동거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결혼과 가정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봅니다.
3천억원 지원…잔류 7인 귀환 무산
통행 차단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3천억원이 지원됩니다. 잔류 인원 7명은 오늘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확인
중국과 일본에서 잇따라 사망자를 낸 살인 진드기 바이러스가 국내에서도 확인됐습니다. 살인 진드기는 주로 숲이나 풀밭에 살고 있어 야외 활동에 주의가 요구됩니다.
9시 뉴스에서 뵙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