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TV신문고] 지하철 간이매점도 대기업 싹쓸이?
입력 2013.05.03 (23:52) 수정 2013.05.04 (00:01) 뉴스라인 W
지하철 승강장에 있는 간이매점을 운영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김 모 씨. 손님이 없어 오늘도 하염없이 간이매점을 지키고 있습니다.
같은 역사 안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간이매점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 모씨(간이매점 주인): "금년하면 5년차 하고 있는데 작년에 2층에 편의점 생기고 나서는 매출이 20%에서 15% 떨어졌다고 해야죠."
간이매점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65세 이상의 노인, 장애인의 자활을 돕기 위한 시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기업들의 편의점이 급증하면서 간이매점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옥 위원장(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울시는 그런 공간을 대기업에 임대해주면 수익성이 있잖아요. 그런데 조례물의 경우는 월 몇 만원 밖에 안 받는 거니까 서울시로써는 조례시설물들이 귀찮은 존재. 관리하기 힘든 존재. 수익성도 취약하다고 보니까 점점 대기업을 선호하게 되는 거죠."
간이매점 임대료의 경우 13만2천원과 19만원으로 편의점의 2%도 채 되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하철 측은 수익이 좋은 편의점을 입점 시키려고 하는 겁니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간이매점 운영을 위한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 하지만 장사가 되지 않아 간이매점들의 자진 폐업도 속출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인터뷰> 천정욱 과장(서울시 교통정책과): "신문, 복권, 매점을 일체한 통합매점을 무료로 (설치해서) 제공하고 있고요. 영업장 위치를 승강장 내 가장 좋은 장소로 이전을 해주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지하철 측은 간이매점 상권을 살리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고 말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이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같은 역사 안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간이매점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 모씨(간이매점 주인): "금년하면 5년차 하고 있는데 작년에 2층에 편의점 생기고 나서는 매출이 20%에서 15% 떨어졌다고 해야죠."
간이매점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65세 이상의 노인, 장애인의 자활을 돕기 위한 시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기업들의 편의점이 급증하면서 간이매점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옥 위원장(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울시는 그런 공간을 대기업에 임대해주면 수익성이 있잖아요. 그런데 조례물의 경우는 월 몇 만원 밖에 안 받는 거니까 서울시로써는 조례시설물들이 귀찮은 존재. 관리하기 힘든 존재. 수익성도 취약하다고 보니까 점점 대기업을 선호하게 되는 거죠."
간이매점 임대료의 경우 13만2천원과 19만원으로 편의점의 2%도 채 되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하철 측은 수익이 좋은 편의점을 입점 시키려고 하는 겁니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간이매점 운영을 위한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 하지만 장사가 되지 않아 간이매점들의 자진 폐업도 속출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인터뷰> 천정욱 과장(서울시 교통정책과): "신문, 복권, 매점을 일체한 통합매점을 무료로 (설치해서) 제공하고 있고요. 영업장 위치를 승강장 내 가장 좋은 장소로 이전을 해주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지하철 측은 간이매점 상권을 살리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고 말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이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 [TV신문고] 지하철 간이매점도 대기업 싹쓸이?
-
- 입력 2013-05-03 23:54:32
- 수정2013-05-04 00:01:45

지하철 승강장에 있는 간이매점을 운영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김 모 씨. 손님이 없어 오늘도 하염없이 간이매점을 지키고 있습니다.
같은 역사 안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간이매점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 모씨(간이매점 주인): "금년하면 5년차 하고 있는데 작년에 2층에 편의점 생기고 나서는 매출이 20%에서 15% 떨어졌다고 해야죠."
간이매점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65세 이상의 노인, 장애인의 자활을 돕기 위한 시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기업들의 편의점이 급증하면서 간이매점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옥 위원장(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울시는 그런 공간을 대기업에 임대해주면 수익성이 있잖아요. 그런데 조례물의 경우는 월 몇 만원 밖에 안 받는 거니까 서울시로써는 조례시설물들이 귀찮은 존재. 관리하기 힘든 존재. 수익성도 취약하다고 보니까 점점 대기업을 선호하게 되는 거죠."
간이매점 임대료의 경우 13만2천원과 19만원으로 편의점의 2%도 채 되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하철 측은 수익이 좋은 편의점을 입점 시키려고 하는 겁니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간이매점 운영을 위한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 하지만 장사가 되지 않아 간이매점들의 자진 폐업도 속출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인터뷰> 천정욱 과장(서울시 교통정책과): "신문, 복권, 매점을 일체한 통합매점을 무료로 (설치해서) 제공하고 있고요. 영업장 위치를 승강장 내 가장 좋은 장소로 이전을 해주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지하철 측은 간이매점 상권을 살리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고 말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이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같은 역사 안에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간이매점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 모씨(간이매점 주인): "금년하면 5년차 하고 있는데 작년에 2층에 편의점 생기고 나서는 매출이 20%에서 15% 떨어졌다고 해야죠."
간이매점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65세 이상의 노인, 장애인의 자활을 돕기 위한 시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기업들의 편의점이 급증하면서 간이매점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기옥 위원장(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울시는 그런 공간을 대기업에 임대해주면 수익성이 있잖아요. 그런데 조례물의 경우는 월 몇 만원 밖에 안 받는 거니까 서울시로써는 조례시설물들이 귀찮은 존재. 관리하기 힘든 존재. 수익성도 취약하다고 보니까 점점 대기업을 선호하게 되는 거죠."
간이매점 임대료의 경우 13만2천원과 19만원으로 편의점의 2%도 채 되지 않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하철 측은 수익이 좋은 편의점을 입점 시키려고 하는 겁니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간이매점 운영을 위한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 하지만 장사가 되지 않아 간이매점들의 자진 폐업도 속출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인터뷰> 천정욱 과장(서울시 교통정책과): "신문, 복권, 매점을 일체한 통합매점을 무료로 (설치해서) 제공하고 있고요. 영업장 위치를 승강장 내 가장 좋은 장소로 이전을 해주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지하철 측은 간이매점 상권을 살리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고 말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이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라인 W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