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기획 창 예고] 함께, 더 멀리! 협동조합

입력 2013.05.10 (16:42) 수정 2013.05.10 (16: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방송일시: 2013년 5월 14일 화요일 밤 10시

- 취재·연출: 최서희   촬영: 임현식


* 기획의도

경쟁과 효율을 앞세운 대기업 위주의 성장과 정부 주도의 복지 정책이 벽에 부딪히면서 양극화 문제가 깊어지고 있는 지금, 수익 보다는 구성원 공동의 이익과 의견을 중시하면서 구성원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하는 협동조합이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푸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지난 5개월 사이 전국 1092곳이 협동조합 설립을 신고하거나 인가를 신청했다.
여럿이 함께 ‘우리의 일자리’를 만들고 이웃과 지역을 위해 협력하면서 정부나 대기업이 풀기 어려웠던 일들을 이뤄내고 사회적 가치까지 창출한다는 목표는 과연 협동조합을 통해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사회적 기업들처럼 성장 과정의 한계에 부딪힐 것인지,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시사기획 창>은 국민의 절반 이상이 협동조합에 가입한 협동조합의 나라 캐나다 현지 취재를 통해 협동조합 성공의 조건과 비결을 분석하고 우리가 지속가능한 협동조합 경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제언한다.



* 프로그램 내용

 협동조합에 참여하는 사람은 다양하다. 개인사업자 신분이면서도 대리운전 업체와 프로그램 제공업체의 횡포 앞에서 약자인 대리운전 기사들, 용역업체로부터 근로시간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해고에서 자유롭지 못한 70대의 학교 수위들,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 이주민, 장애인들이 협동조합 설립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들은 공공이나 민간 영역에서 해결되지 못했던 자신들이 처한 문제들을 1인 1표 원칙에 따라 민주적으로 풀어가고 나아가 지역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며 제3의 영역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정부가 지난 2007년 일자리 창출 대책의 하나로 설립을 장려했던 사회적 기업의 경우 인건비 지원이 끊기자 상당수가 문을 닫았다. 이번에도 정부는 협동조합이 일자리 대책의 하나가 될 것으로 보고 설립을 권하고 있다. 
 정부는 협동조합에 인건비 지원 같은 직접적인 지원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협동조합이 안착하기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벌써부터 휘청거리는 협동조합이 나오고 있다. 갓 설립된 협동조합들은 법적, 경영적 자문이 절실하다. 무엇보다 판로를 개척하는 일은 전문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협동조합에게 큰 숙제다. 

 <시사기획 창>은 우리 보다 먼저 협동조합이 정착된 캐나다 퀘벡주에서 해법을 찾아봤다. 퀘벡에서는 실업률이 12%로 치솟았던 1996년, 시민사회와 정부가 대등한 입장에서 협동조합과 비영리 조직 등으로 이뤄진 ‘사회적 경제’를 통해 일자리 문제와 복지 문제를 풀어나갈 것을 약속했다. 이후 7000개의 협동조합과 비영리 조직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현안을 성공적으로 발굴하고 정부와 협상을 통해 지원을 이끌어내면서 사회적 경제는 퀘벡 사회 뿌리 깊게 자리잡았다. 이제 막 협동조합을 시작하는 우리에게 퀘벡 사회가 던지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취재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사기획 창 예고] 함께, 더 멀리! 협동조합
    • 입력 2013-05-10 16:42:30
    • 수정2013-05-10 16:48:39
    사회

 


- 방송일시: 2013년 5월 14일 화요일 밤 10시

- 취재·연출: 최서희   촬영: 임현식


* 기획의도

경쟁과 효율을 앞세운 대기업 위주의 성장과 정부 주도의 복지 정책이 벽에 부딪히면서 양극화 문제가 깊어지고 있는 지금, 수익 보다는 구성원 공동의 이익과 의견을 중시하면서 구성원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하는 협동조합이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푸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지난 5개월 사이 전국 1092곳이 협동조합 설립을 신고하거나 인가를 신청했다.
여럿이 함께 ‘우리의 일자리’를 만들고 이웃과 지역을 위해 협력하면서 정부나 대기업이 풀기 어려웠던 일들을 이뤄내고 사회적 가치까지 창출한다는 목표는 과연 협동조합을 통해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사회적 기업들처럼 성장 과정의 한계에 부딪힐 것인지,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시사기획 창>은 국민의 절반 이상이 협동조합에 가입한 협동조합의 나라 캐나다 현지 취재를 통해 협동조합 성공의 조건과 비결을 분석하고 우리가 지속가능한 협동조합 경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제언한다.



* 프로그램 내용

 협동조합에 참여하는 사람은 다양하다. 개인사업자 신분이면서도 대리운전 업체와 프로그램 제공업체의 횡포 앞에서 약자인 대리운전 기사들, 용역업체로부터 근로시간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해고에서 자유롭지 못한 70대의 학교 수위들,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 이주민, 장애인들이 협동조합 설립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들은 공공이나 민간 영역에서 해결되지 못했던 자신들이 처한 문제들을 1인 1표 원칙에 따라 민주적으로 풀어가고 나아가 지역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며 제3의 영역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정부가 지난 2007년 일자리 창출 대책의 하나로 설립을 장려했던 사회적 기업의 경우 인건비 지원이 끊기자 상당수가 문을 닫았다. 이번에도 정부는 협동조합이 일자리 대책의 하나가 될 것으로 보고 설립을 권하고 있다. 
 정부는 협동조합에 인건비 지원 같은 직접적인 지원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협동조합이 안착하기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벌써부터 휘청거리는 협동조합이 나오고 있다. 갓 설립된 협동조합들은 법적, 경영적 자문이 절실하다. 무엇보다 판로를 개척하는 일은 전문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협동조합에게 큰 숙제다. 

 <시사기획 창>은 우리 보다 먼저 협동조합이 정착된 캐나다 퀘벡주에서 해법을 찾아봤다. 퀘벡에서는 실업률이 12%로 치솟았던 1996년, 시민사회와 정부가 대등한 입장에서 협동조합과 비영리 조직 등으로 이뤄진 ‘사회적 경제’를 통해 일자리 문제와 복지 문제를 풀어나갈 것을 약속했다. 이후 7000개의 협동조합과 비영리 조직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현안을 성공적으로 발굴하고 정부와 협상을 통해 지원을 이끌어내면서 사회적 경제는 퀘벡 사회 뿌리 깊게 자리잡았다. 이제 막 협동조합을 시작하는 우리에게 퀘벡 사회가 던지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취재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