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美 배아줄기세포 복제 연구 논문에 사진 조작 의혹
입력 2013.05.23 (23:57) 국제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사람의 배아줄기세포 복제에 성공했다는 미국 연구진의 논문에 사진이 조작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오늘 미국의 논문검증사이트 펍피어는 한 사이트 이용자가 오리건 과학대학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사진 조작 가능성이 발견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이용자는 서로 다른 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라고 소개된 두 사진이 실제로는 한 사진의 일부를 잘라 만들어낸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직 의혹 수준에 불과하지만 지난 2005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에 과학자들이 문제 제기할 때와 양상이 비슷해 향후 과학계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현지시간으로 오늘 미국의 논문검증사이트 펍피어는 한 사이트 이용자가 오리건 과학대학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사진 조작 가능성이 발견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이용자는 서로 다른 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라고 소개된 두 사진이 실제로는 한 사진의 일부를 잘라 만들어낸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직 의혹 수준에 불과하지만 지난 2005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에 과학자들이 문제 제기할 때와 양상이 비슷해 향후 과학계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 美 배아줄기세포 복제 연구 논문에 사진 조작 의혹
-
- 입력 2013-05-23 23:57:41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사람의 배아줄기세포 복제에 성공했다는 미국 연구진의 논문에 사진이 조작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오늘 미국의 논문검증사이트 펍피어는 한 사이트 이용자가 오리건 과학대학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사진 조작 가능성이 발견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이용자는 서로 다른 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라고 소개된 두 사진이 실제로는 한 사진의 일부를 잘라 만들어낸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직 의혹 수준에 불과하지만 지난 2005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에 과학자들이 문제 제기할 때와 양상이 비슷해 향후 과학계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현지시간으로 오늘 미국의 논문검증사이트 펍피어는 한 사이트 이용자가 오리건 과학대학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사진 조작 가능성이 발견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이용자는 서로 다른 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라고 소개된 두 사진이 실제로는 한 사진의 일부를 잘라 만들어낸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직 의혹 수준에 불과하지만 지난 2005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에 과학자들이 문제 제기할 때와 양상이 비슷해 향후 과학계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 기자 정보
-
-
이광열 기자 the12th@kbs.co.kr
이광열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