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불법 도축 성행…‘쇠고기 이력제’ 허점

입력 2013.05.24 (21:16) 수정 2013.05.24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 "반드시 척결해야 사회 4대 악에 불량식품을 포함하고, 식약청도 식약처로 승격한 것도 그런 이유다."

<엥커 멘트>

새 정부는 이렇게 불량식품을 반드시 척결해야 할 사회 4대악으로 규정했습니다.

우리 국민들이 느끼는 음식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이 위험 수준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정부의 단속 의지에도 불구하고, 불법 도축된 육류가 여전히 시중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먼저 한성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북 청원군의 한 축산 농갑니다.

죽은 돼지 4마리가 버려져 있고, 돼지 내장과 잔뼈들이 가득 쌓여 있습니다.

불법 도축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각종 도구들도 쏱아져 나옵니다.

현장에서는 돼지를 잡기 전 털을 그을리는데 썼던 토치까지 발견됐습니다.

냉장고엔 얼린 지 일주일 이상 된 고기가 나옵니다.

비위생적인 사육장에서 병들거나 죽은 돼집니다.

<녹취> "긴급체포 하겠습니다. 여기는 도축을 할 수 없는 장소입니다."

농장주는 밀도축을 시인 하면서도 가족끼리 먹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백 모씨(농장주/음성변조) : "수시로 그런 (돼지) 나오면 잡아서 먹어요. 죽어서 버리면 아까운 건데 멀쩡한 건데."

하지만 취재 결과 밀도축한 고기가 유통된 정황이 확인 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목격자/음성변조) : "죽은 돼지인데, 배가 빵빵하게 불러 있더라고. (도축 후) 승용차가 오더니 비닐봉지에 구분해서 담아 놓은 것을 사가더라고요. 그 자리에서 돈을 주는 것도 봤어요."

또 다른 불법 도축 현장, 굴삭기로 땅을 파자 소의 내장 등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옵니다.

부패한 소의 사체는 포대에 담겨 방치 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불법 도축업자/음성변조) : "뼈가 부러져 못 일어나는 것도 있고 다리 부러진 것도 있고, 새끼 낳다가 안 되니까 잡는 것도 있고."

지난 두 달간 경찰에 적발된 불법도축만 150여 건!

대대적인 단속에도 불구하고, 먹거리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 도축은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앵커 멘트>

이런 불량 고기의 유통을 막기 위해 정부는 이른바 '쇠고기 이력제'를 도입했는데요.

이 제도가 과연 제대로 시행되고 있을까요?

KBS가 정육점 고기의 DNA를 분석해 봤더니 게시된 이력과는 달리 출처를 알수 없는 고기들이 많았습니다.

이어서 강나루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시내의 한 정육점, 냉장고에 있는 부위별 소고기의 '도축 확인 증명서'를 요구했더니.

<녹취> 업자 : "(업체에서)요런 거 하나만 올 때는 좀 잠깐 빠트리더라고..."

증명서가 없습니다.

심지어 유통 기한이 8일이나 지난 고기도 냉장고에서 발견됩니다.

<녹취> 업자 : "제조일자는 확실한 건데 이 유통기한 날짜 넣는 걸 못 넣기 때문에..."

또 다른 정육점, 소의 유통 경로를 알 수 있는 식별번호가 아예 없습니다.

단속반이 점검에 나서자 그제야 허둥지둥 표기를 시작합니다.

<녹취> 업자 : "지금 바로 표기하면 되는 거잖아요."

그렇다면, 식별번호가 붙어있는 소고기는 모두 안전할까?

청주 시내 정육점 다섯 곳에서 매장에 전시된 소고기를 채취한 뒤, 축산물 품질관리원에 DNA 분석을 의뢰했습니다.

결과는 정육점 한곳에서 '불일치' 소고기에 붙어있는 식별번호와 실제 유통된 고기가 다른 겁니다.

<인터뷰> 윤재필(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등급이 높은 개체식별번호를 계속 비치해서 등급을 속이기 위해서 바꾸지 않는..."

정육점 주인은 단순한 실수라고 말합니다.

<녹취> 업자 : "지금도 고기 오면 두세마리가 섞여와요. 섞여와서 그거를 찍다보면..."

지난해 소고기 이력제 위반은 30여 건, 올해 들어서만 11건이 적발됐습니다.

농가 관리부터 유통, 단속까지 8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소고기 이력제.

그러나 시행 5년이 지나도록 허점이 많아 식품 안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불법 도축 성행…‘쇠고기 이력제’ 허점
    • 입력 2013-05-24 21:18:21
    • 수정2013-05-24 22:02:45
    뉴스 9
<녹취> 박근혜(대통령) : "반드시 척결해야 사회 4대 악에 불량식품을 포함하고, 식약청도 식약처로 승격한 것도 그런 이유다."

<엥커 멘트>

새 정부는 이렇게 불량식품을 반드시 척결해야 할 사회 4대악으로 규정했습니다.

우리 국민들이 느끼는 음식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이 위험 수준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정부의 단속 의지에도 불구하고, 불법 도축된 육류가 여전히 시중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먼저 한성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충북 청원군의 한 축산 농갑니다.

죽은 돼지 4마리가 버려져 있고, 돼지 내장과 잔뼈들이 가득 쌓여 있습니다.

불법 도축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각종 도구들도 쏱아져 나옵니다.

현장에서는 돼지를 잡기 전 털을 그을리는데 썼던 토치까지 발견됐습니다.

냉장고엔 얼린 지 일주일 이상 된 고기가 나옵니다.

비위생적인 사육장에서 병들거나 죽은 돼집니다.

<녹취> "긴급체포 하겠습니다. 여기는 도축을 할 수 없는 장소입니다."

농장주는 밀도축을 시인 하면서도 가족끼리 먹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백 모씨(농장주/음성변조) : "수시로 그런 (돼지) 나오면 잡아서 먹어요. 죽어서 버리면 아까운 건데 멀쩡한 건데."

하지만 취재 결과 밀도축한 고기가 유통된 정황이 확인 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목격자/음성변조) : "죽은 돼지인데, 배가 빵빵하게 불러 있더라고. (도축 후) 승용차가 오더니 비닐봉지에 구분해서 담아 놓은 것을 사가더라고요. 그 자리에서 돈을 주는 것도 봤어요."

또 다른 불법 도축 현장, 굴삭기로 땅을 파자 소의 내장 등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옵니다.

부패한 소의 사체는 포대에 담겨 방치 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불법 도축업자/음성변조) : "뼈가 부러져 못 일어나는 것도 있고 다리 부러진 것도 있고, 새끼 낳다가 안 되니까 잡는 것도 있고."

지난 두 달간 경찰에 적발된 불법도축만 150여 건!

대대적인 단속에도 불구하고, 먹거리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 도축은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앵커 멘트>

이런 불량 고기의 유통을 막기 위해 정부는 이른바 '쇠고기 이력제'를 도입했는데요.

이 제도가 과연 제대로 시행되고 있을까요?

KBS가 정육점 고기의 DNA를 분석해 봤더니 게시된 이력과는 달리 출처를 알수 없는 고기들이 많았습니다.

이어서 강나루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시내의 한 정육점, 냉장고에 있는 부위별 소고기의 '도축 확인 증명서'를 요구했더니.

<녹취> 업자 : "(업체에서)요런 거 하나만 올 때는 좀 잠깐 빠트리더라고..."

증명서가 없습니다.

심지어 유통 기한이 8일이나 지난 고기도 냉장고에서 발견됩니다.

<녹취> 업자 : "제조일자는 확실한 건데 이 유통기한 날짜 넣는 걸 못 넣기 때문에..."

또 다른 정육점, 소의 유통 경로를 알 수 있는 식별번호가 아예 없습니다.

단속반이 점검에 나서자 그제야 허둥지둥 표기를 시작합니다.

<녹취> 업자 : "지금 바로 표기하면 되는 거잖아요."

그렇다면, 식별번호가 붙어있는 소고기는 모두 안전할까?

청주 시내 정육점 다섯 곳에서 매장에 전시된 소고기를 채취한 뒤, 축산물 품질관리원에 DNA 분석을 의뢰했습니다.

결과는 정육점 한곳에서 '불일치' 소고기에 붙어있는 식별번호와 실제 유통된 고기가 다른 겁니다.

<인터뷰> 윤재필(농산물품질관리원 충북지원) : "등급이 높은 개체식별번호를 계속 비치해서 등급을 속이기 위해서 바꾸지 않는..."

정육점 주인은 단순한 실수라고 말합니다.

<녹취> 업자 : "지금도 고기 오면 두세마리가 섞여와요. 섞여와서 그거를 찍다보면..."

지난해 소고기 이력제 위반은 30여 건, 올해 들어서만 11건이 적발됐습니다.

농가 관리부터 유통, 단속까지 8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소고기 이력제.

그러나 시행 5년이 지나도록 허점이 많아 식품 안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