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중고를 새 것으로…‘재제조산업’ 부활

입력 2013.06.20 (21:23) 수정 2013.06.20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프린터의 핵심 소모품이죠?

이 카트리지, 주기적으로 갈아 줘야 하는데, 프린터보다 비싸기도 해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데 다 쓴 카트리지를 분해해서 닦고, 일부 부품만 바꿔주니 새 것이 되네요.

이렇게 신품처럼 재탄생한 중고품을 재제조품이라고 하는데요,

요즘 창조경제의 모델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현장부터 보실까요?

양성모 기자가 안내합니다.

<리포트>

폐차된 승용차를 한 시간쯤 분해하자, 발전기와 모터 등 재제조가 가능한 부품 5가지가 나옵니다.

수거한 부품은 재제조 공장으로 옮겨져 차종과 상태에 따라 분리됩니다.

부품을 손으로 일일이 다시 분해하고, 깨끗이 세척한 뒤 연마 과정을 거칩니다.

<녹취> "부품을 분해해 온 것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를 하는 겁니다."

소모품을 교체하고 다시 조립하면 신품과 똑같은 모양의 재제조품이 탄생합니다.

이 자동차 부품의 소비자가는 6만 6천 원인데요, 반면 순정품은 13만 원입니다.

보통 재제조품은 순정품에 비해 30에서 최고 60% 싸게 판매됩니다.

성능은 어떨까?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시험에선 재제조품 93암페어, 신품 99암페어로 모두 기준을 만족시켰습니다.

등속 조인트의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에서도 결과는 비슷했습니다.

<인터뷰> 정도현(자동차부품연구원 센터장) : "국가 인증을 받은 재제조품은 신품과 동등한 성능을 확보한 그런 제품들입니다."

자동차 부품 외에도 프린터 카트리지 등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재제조품은 모두 25가지.

관련법이 처음 만들어진 2005년, 7개 제품에 2천5백억 원이던 시장규모는 지난해 7천5백억 원으로 커졌습니다.

<기자 멘트>

우리 주력 업종인 자동차 부품만 봐도 재제조품으로 대체 가능한 품목이 열 가지나 됩니다.

외부 충격 완충장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등속 조인트, 교류 발전기와 클러치 등이죠.

미국에서는 엔진 부품 전체, 자동변속기, 차축, 보닛에 문짝까지 50가지가 넘습니다.

이처럼 재제조품 비중이 우리나라에서는 12% 지만 미국과 유럽에서는 80%나 됩니다.

외국에선 이런 폭격기와 미사일, 심지어 우주선에까지 재제조품을 사용할 정돕니다.

시장규모도 국내는 7천 5백억 원이지만, 미국은 63조 원이 넘구요. 유럽은 21조 원에 이릅니다.

선진국들이 재제조 시장에 주목하는 건, 경제성도 경제성이지만, 뭣보다 친환경적이기 때문입니다.

재제조품에는 새 자원 투입비율이 12% 밖에 안 돼, 산업이 30% 성장해도 오히려 소나무 285만 그루를 심는 친환경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재제조 산업에 걸림돌이 있습니다.

그게 뭔지, 해법은 없는 지 정윤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직접 재제조 부품을 만들어 차량 수리까지 해주는 정비업쳅니다.

신품에 비해 값이 훨씬 싼데도 손님들에게 선뜻 재제조품 권하기가 쉽지않습니다.

수리비 산정 기준이 신품 가격이다보니 굳이 재제조품을 쓸 이유가 없는 겁니다.

<인터뷰> 송명식(자동차 정비공장 대표) : "보험처리할 때 재제조부품을 쓰는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어떤 하자가 나온다든지 그 이후에 생기는 법적인 문제... (때문에 부담이 많습니다.) "

반면, 미국이나 유럽은 값싼 재제조품을 수리비 기준으로 하고, 여기에 5에서 10%의 보험료 할인까지 해주고있습니다.

보험 규정이 제재조품의 판로를 막고 소비자 부담만 늘리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강홍윤(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센터장) : "소비자가 재제조품 사용 의사를 밝힐 경우 보험 가입시에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특약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다 근본적인 걸림돌은 여전히 10개 품목에 그치고있는 정부의 품질 인증입니다.

이 업체는 6년 넘게 카트리지 재제조품을 만들어왔지만 아직 품질 인증을 받지못하고 있습니다.

카트리지가 품질인증 대상에서 제외돼있어, 인증 신청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김준호(카트리지 재제조업체 사장) :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봤을 때도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국가 품질인증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부가 뒤늦게 2015년까지 제재조 인증품목을 1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대기업의 반발과 산업부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조율은 넘어야할 산입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중고를 새 것으로…‘재제조산업’ 부활
    • 입력 2013-06-20 21:24:10
    • 수정2013-06-20 22:16:21
    뉴스 9
<앵커 멘트>

프린터의 핵심 소모품이죠?

이 카트리지, 주기적으로 갈아 줘야 하는데, 프린터보다 비싸기도 해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런데 다 쓴 카트리지를 분해해서 닦고, 일부 부품만 바꿔주니 새 것이 되네요.

이렇게 신품처럼 재탄생한 중고품을 재제조품이라고 하는데요,

요즘 창조경제의 모델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현장부터 보실까요?

양성모 기자가 안내합니다.

<리포트>

폐차된 승용차를 한 시간쯤 분해하자, 발전기와 모터 등 재제조가 가능한 부품 5가지가 나옵니다.

수거한 부품은 재제조 공장으로 옮겨져 차종과 상태에 따라 분리됩니다.

부품을 손으로 일일이 다시 분해하고, 깨끗이 세척한 뒤 연마 과정을 거칩니다.

<녹취> "부품을 분해해 온 것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를 하는 겁니다."

소모품을 교체하고 다시 조립하면 신품과 똑같은 모양의 재제조품이 탄생합니다.

이 자동차 부품의 소비자가는 6만 6천 원인데요, 반면 순정품은 13만 원입니다.

보통 재제조품은 순정품에 비해 30에서 최고 60% 싸게 판매됩니다.

성능은 어떨까?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시험에선 재제조품 93암페어, 신품 99암페어로 모두 기준을 만족시켰습니다.

등속 조인트의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에서도 결과는 비슷했습니다.

<인터뷰> 정도현(자동차부품연구원 센터장) : "국가 인증을 받은 재제조품은 신품과 동등한 성능을 확보한 그런 제품들입니다."

자동차 부품 외에도 프린터 카트리지 등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재제조품은 모두 25가지.

관련법이 처음 만들어진 2005년, 7개 제품에 2천5백억 원이던 시장규모는 지난해 7천5백억 원으로 커졌습니다.

<기자 멘트>

우리 주력 업종인 자동차 부품만 봐도 재제조품으로 대체 가능한 품목이 열 가지나 됩니다.

외부 충격 완충장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등속 조인트, 교류 발전기와 클러치 등이죠.

미국에서는 엔진 부품 전체, 자동변속기, 차축, 보닛에 문짝까지 50가지가 넘습니다.

이처럼 재제조품 비중이 우리나라에서는 12% 지만 미국과 유럽에서는 80%나 됩니다.

외국에선 이런 폭격기와 미사일, 심지어 우주선에까지 재제조품을 사용할 정돕니다.

시장규모도 국내는 7천 5백억 원이지만, 미국은 63조 원이 넘구요. 유럽은 21조 원에 이릅니다.

선진국들이 재제조 시장에 주목하는 건, 경제성도 경제성이지만, 뭣보다 친환경적이기 때문입니다.

재제조품에는 새 자원 투입비율이 12% 밖에 안 돼, 산업이 30% 성장해도 오히려 소나무 285만 그루를 심는 친환경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재제조 산업에 걸림돌이 있습니다.

그게 뭔지, 해법은 없는 지 정윤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직접 재제조 부품을 만들어 차량 수리까지 해주는 정비업쳅니다.

신품에 비해 값이 훨씬 싼데도 손님들에게 선뜻 재제조품 권하기가 쉽지않습니다.

수리비 산정 기준이 신품 가격이다보니 굳이 재제조품을 쓸 이유가 없는 겁니다.

<인터뷰> 송명식(자동차 정비공장 대표) : "보험처리할 때 재제조부품을 쓰는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어떤 하자가 나온다든지 그 이후에 생기는 법적인 문제... (때문에 부담이 많습니다.) "

반면, 미국이나 유럽은 값싼 재제조품을 수리비 기준으로 하고, 여기에 5에서 10%의 보험료 할인까지 해주고있습니다.

보험 규정이 제재조품의 판로를 막고 소비자 부담만 늘리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강홍윤(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센터장) : "소비자가 재제조품 사용 의사를 밝힐 경우 보험 가입시에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특약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다 근본적인 걸림돌은 여전히 10개 품목에 그치고있는 정부의 품질 인증입니다.

이 업체는 6년 넘게 카트리지 재제조품을 만들어왔지만 아직 품질 인증을 받지못하고 있습니다.

카트리지가 품질인증 대상에서 제외돼있어, 인증 신청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김준호(카트리지 재제조업체 사장) :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봤을 때도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국가 품질인증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부가 뒤늦게 2015년까지 제재조 인증품목을 1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대기업의 반발과 산업부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조율은 넘어야할 산입니다.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