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철의 신문 브리핑] “공정위원장의 경고 포털 사업자의 시장 독식 막겠다” 外

입력 2013.07.04 (06:27) 수정 2013.07.10 (07: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의 신문 헤드라인 보시겠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공정거래위원장의 경고, 포털 사업자의 시장 독식 막겠다"는 기사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인터넷 포털인 NHN의 불공정 거래 행위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노대래 위원장이 'IT 업계의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경쟁사를 배제하는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감시하는 게 중요해졌다'라고 밝혀 사실상 네이버를 겨냥했으며, 여당도 포털 시장의 독점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 절차에 착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사립대 교직원 자신들이 내도록 돼있는 연금 보험료를, 44개 대학은 학생들이 낸 등록금 가운데 2,080억 원으로 부당하게 대신 내준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지만, 교육부는 해당 대학들의 명단조차 공개하지 않고 유용된 자금도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밝혀, 학생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경향신문은 여당은 국가정보원 정치 개입 사건의 물타기용으로 NLL 문제를 들고 나왔고, 야당은 NLL 문제가 남북 관계와 외교적 측면에서 어떤 가치가 있는지 설명하지 못한 채 '노무현 지키기'에만 집중해 본질을 흐리는 데 기여한 결과, 여야가 소모적인 공방과 정쟁을 벌이고 있다는 헤드라인을 실었습니다.

국민일보는, 지난 3월 말 현재 가계 빚이 961조 원으로 집계돼, 8년만에 두 배로 폭증했고 민간 비영리 단체의 부채를 포함할 땐 1000조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돼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지만,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가계 부채 규모나 증가 속도를 감안할 때 위기 상황으로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는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세계일보는 국내에 들어와 사는 결혼 이민자와 혼인 귀화자가 지난해 27만 명에 이르는 등 다문화가족 100만 시대를 맞은 가운데 이들이 한국 국적을 취득하려면 최대 2년까지의 거주 기간과 함께 3000만 원 이상의 재정증명을 해야 하지만 경제력 부족으로 국적을 취득한 경우는 절반도 되지 않는다며 '돈 없으면 귀화 벽도 높은 다문화 코리아'라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서울 전세가율이 11년 만에 최고 수준인 56%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과거 외환위기 이후에, 전세가율이 60%에 가까워지면 집값이 오름세로 돌아서는 이른바 60% 룰도 먹히지 않으면서 집 매매가가 계속 추락하는, 굴욕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조선일보는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북핵 해결의 계기로"

중앙일보는 "개성 공단 중단 3개월, 재개 여부 결정 서둘러야"

경향신문은 "세입자 보호 못하는 임대차보호법 개정해야"

국민일보는 "가계 부채 11년째 폭증해도 문제 없다는 정부"

세계일보는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 무조건 떠넘기려 해선 안 돼"라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사입니다.

조선일보는,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에서 유래된 유등 축제를 지난 2000년부터 해마다 남강에서 진행하고 있는 경남 진주시는 5년 연속 최우수 축제 등 대표 지방축제로 키웠고 미국과 캐나다 등지로 수출까지 했다며, 서울시가 지난 2009년부터 청계천에서 유사한 등축제를 하는 것은 수도 서울이 지방도시의 밥그릇을 빼앗는 표절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최근 장난감을 갖고 노는 어른을 뜻하는 '키덜트' 인터넷 동호회가 300여 개로 늘고 성인 장난감 시장도 연간 5000억 원 대로 해마다 20%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며 한때 미성숙한 어른으로 부정적 시선을 받았던 '키덜트 족'이 무한 경쟁의 사회적 압박감에 따라 동심으로 회귀려는 욕구가 반영되면서 강력한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는 소식을 실었습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인철의 신문 브리핑] “공정위원장의 경고 포털 사업자의 시장 독식 막겠다” 外
    • 입력 2013-07-04 06:30:49
    • 수정2013-07-10 07:20:55
    뉴스광장 1부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의 신문 헤드라인 보시겠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공정거래위원장의 경고, 포털 사업자의 시장 독식 막겠다"는 기사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인터넷 포털인 NHN의 불공정 거래 행위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노대래 위원장이 'IT 업계의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경쟁사를 배제하는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감시하는 게 중요해졌다'라고 밝혀 사실상 네이버를 겨냥했으며, 여당도 포털 시장의 독점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 절차에 착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사립대 교직원 자신들이 내도록 돼있는 연금 보험료를, 44개 대학은 학생들이 낸 등록금 가운데 2,080억 원으로 부당하게 대신 내준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지만, 교육부는 해당 대학들의 명단조차 공개하지 않고 유용된 자금도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밝혀, 학생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경향신문은 여당은 국가정보원 정치 개입 사건의 물타기용으로 NLL 문제를 들고 나왔고, 야당은 NLL 문제가 남북 관계와 외교적 측면에서 어떤 가치가 있는지 설명하지 못한 채 '노무현 지키기'에만 집중해 본질을 흐리는 데 기여한 결과, 여야가 소모적인 공방과 정쟁을 벌이고 있다는 헤드라인을 실었습니다.

국민일보는, 지난 3월 말 현재 가계 빚이 961조 원으로 집계돼, 8년만에 두 배로 폭증했고 민간 비영리 단체의 부채를 포함할 땐 1000조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돼 한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지만,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가계 부채 규모나 증가 속도를 감안할 때 위기 상황으로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는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세계일보는 국내에 들어와 사는 결혼 이민자와 혼인 귀화자가 지난해 27만 명에 이르는 등 다문화가족 100만 시대를 맞은 가운데 이들이 한국 국적을 취득하려면 최대 2년까지의 거주 기간과 함께 3000만 원 이상의 재정증명을 해야 하지만 경제력 부족으로 국적을 취득한 경우는 절반도 되지 않는다며 '돈 없으면 귀화 벽도 높은 다문화 코리아'라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서울 전세가율이 11년 만에 최고 수준인 56%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과거 외환위기 이후에, 전세가율이 60%에 가까워지면 집값이 오름세로 돌아서는 이른바 60% 룰도 먹히지 않으면서 집 매매가가 계속 추락하는, 굴욕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조선일보는 "북한의 외교적 고립을 북핵 해결의 계기로"

중앙일보는 "개성 공단 중단 3개월, 재개 여부 결정 서둘러야"

경향신문은 "세입자 보호 못하는 임대차보호법 개정해야"

국민일보는 "가계 부채 11년째 폭증해도 문제 없다는 정부"

세계일보는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 무조건 떠넘기려 해선 안 돼"라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사입니다.

조선일보는,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에서 유래된 유등 축제를 지난 2000년부터 해마다 남강에서 진행하고 있는 경남 진주시는 5년 연속 최우수 축제 등 대표 지방축제로 키웠고 미국과 캐나다 등지로 수출까지 했다며, 서울시가 지난 2009년부터 청계천에서 유사한 등축제를 하는 것은 수도 서울이 지방도시의 밥그릇을 빼앗는 표절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최근 장난감을 갖고 노는 어른을 뜻하는 '키덜트' 인터넷 동호회가 300여 개로 늘고 성인 장난감 시장도 연간 5000억 원 대로 해마다 20%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며 한때 미성숙한 어른으로 부정적 시선을 받았던 '키덜트 족'이 무한 경쟁의 사회적 압박감에 따라 동심으로 회귀려는 욕구가 반영되면서 강력한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는 소식을 실었습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