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대화록’ 왜 없나?…3가지 가능성

입력 2013.07.18 (21:04) 수정 2013.07.18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당초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은 청와대와 국가정보원이 한 부씩 나눠서 보관했고 이 가운데 청와대가 갖고 있던 문건은 2008년 국가기록원에 이관된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 때 이관된 대통령 기록물은 모두 8백24만 건이나 되는데요.

모두가 전자 문서의 형태였고 저장 디스크에 담겨 옮겨졌습니다.

당시 청와대 문서관리 시스템인 이지원 시스템도, 서버가 들어있는 컴퓨터 본체가 통째로 이관된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여야 열람위원들은 국가기록원에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 대화록에 도대체 무슨 일이 생겼던 걸까요?

김상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가기록원에서 대화록이 검색되지 않는데 대해서는 몇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먼저 노무현 대통령 측이 기록물을 국가기록원에 이관할 당시 대화록은 제외했을 가능성입니다.

이관 목록에서도 대화록이 검색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런 주장의 근거 중 하납니다.

노무현 정부 측 인사들은 한 목소리로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단언합니다.

<녹취> 김경수(노무현정부 청와대 비서관) : "국정원 회의록 사본을 남긴 참여정부에서 회의록을 이관하지 않을 하등의 이유가 없다."

기록물은 정상적으로 이관됐지만 보관 과정에서 잃어버리거나 사라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허술하게 관리한 책임이나 누군가 없앴을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기록원은 관련법률 저촉 가능성이 있다며 함구하고 있습니다.

대화록은 있지만 찾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민감한 비밀문서는 다른 이름으로 보관하는 경우가 있고 시스템이 충돌해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할 수 있다는 얘깁니다.

<녹취> 임상경(전 대통령 기록관장) : "전화 비밀기록을 생산할 때, 특히 외국 정상회담을 나가실 때 별칭으로 제목을 달고 이런 경우들이 좀 있습니다."

대화록 실종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경우 대통령 기록물 전수조사가 필요할 것이란 지적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대화록’ 왜 없나?…3가지 가능성
    • 입력 2013-07-18 21:01:25
    • 수정2013-07-18 22:17:18
    뉴스 9
<앵커 멘트>

당초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은 청와대와 국가정보원이 한 부씩 나눠서 보관했고 이 가운데 청와대가 갖고 있던 문건은 2008년 국가기록원에 이관된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그 때 이관된 대통령 기록물은 모두 8백24만 건이나 되는데요.

모두가 전자 문서의 형태였고 저장 디스크에 담겨 옮겨졌습니다.

당시 청와대 문서관리 시스템인 이지원 시스템도, 서버가 들어있는 컴퓨터 본체가 통째로 이관된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여야 열람위원들은 국가기록원에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지 못했습니다. 이 대화록에 도대체 무슨 일이 생겼던 걸까요?

김상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가기록원에서 대화록이 검색되지 않는데 대해서는 몇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먼저 노무현 대통령 측이 기록물을 국가기록원에 이관할 당시 대화록은 제외했을 가능성입니다.

이관 목록에서도 대화록이 검색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런 주장의 근거 중 하납니다.

노무현 정부 측 인사들은 한 목소리로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단언합니다.

<녹취> 김경수(노무현정부 청와대 비서관) : "국정원 회의록 사본을 남긴 참여정부에서 회의록을 이관하지 않을 하등의 이유가 없다."

기록물은 정상적으로 이관됐지만 보관 과정에서 잃어버리거나 사라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허술하게 관리한 책임이나 누군가 없앴을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기록원은 관련법률 저촉 가능성이 있다며 함구하고 있습니다.

대화록은 있지만 찾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민감한 비밀문서는 다른 이름으로 보관하는 경우가 있고 시스템이 충돌해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할 수 있다는 얘깁니다.

<녹취> 임상경(전 대통령 기록관장) : "전화 비밀기록을 생산할 때, 특히 외국 정상회담을 나가실 때 별칭으로 제목을 달고 이런 경우들이 좀 있습니다."

대화록 실종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경우 대통령 기록물 전수조사가 필요할 것이란 지적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