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경제] 천일염 생산량 급증에 가격 폭락

입력 2013.08.27 (06:45) 수정 2013.08.27 (07: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주 후반부터는 폭염의 기세가 한 풀 꺾일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무더웠던 올 여름, 소금 생산량은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소금 가격은 폭락하고 있습니다.

박상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천일염 생산의 70%를 차지하는 소금섬 증도...

햇볕과 바람, 염부의 정성이 만들어 낸 새하얀 결정체들이 창고에 가득합니다.

유난히 가물고 무더웠던 올 여름, 소금 생산에는 더 없이 좋은 날이 이어졌습니다.

강렬한 햇살에 소금 알갱이는 더욱 굵어졌고, 생산량도 전년대비 20% 이상 급증했습니다.

<인터뷰>염부 : "엄청 늘었죠 더웠고 가물어서 8월에 비가 거의 안 왔죠 전라도에는"

하지만 소금 가격은 KG당 250원으로 전년대비 20% 떨어졌습니다.

저장시설 부족과 생산비 부담이 홍수출하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소금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올해 처음 실시한 소금 수매제도 별 효과가 없었습니다.

수매량이 4천6백톤으로 전국 생산량의 1.5%에 불과했기때문입니다.

<인터뷰>염부 : "수매가격이 낮으니까 오히려 도매가가 떨어지고, 수매량도 너무 적었다"

지난해 소금 가격은 8월에 KG그램당 3백원 대를 형성하다 하반기에 천원까지 폭등했습니다.

올해도 홍수출하에 중간유통상의 사재기가 기승을 부려 김장철 가격폭등의 악순환은 되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생경제] 천일염 생산량 급증에 가격 폭락
    • 입력 2013-08-27 06:47:18
    • 수정2013-08-27 07:38:29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이번주 후반부터는 폭염의 기세가 한 풀 꺾일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무더웠던 올 여름, 소금 생산량은 역대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소금 가격은 폭락하고 있습니다.

박상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천일염 생산의 70%를 차지하는 소금섬 증도...

햇볕과 바람, 염부의 정성이 만들어 낸 새하얀 결정체들이 창고에 가득합니다.

유난히 가물고 무더웠던 올 여름, 소금 생산에는 더 없이 좋은 날이 이어졌습니다.

강렬한 햇살에 소금 알갱이는 더욱 굵어졌고, 생산량도 전년대비 20% 이상 급증했습니다.

<인터뷰>염부 : "엄청 늘었죠 더웠고 가물어서 8월에 비가 거의 안 왔죠 전라도에는"

하지만 소금 가격은 KG당 250원으로 전년대비 20% 떨어졌습니다.

저장시설 부족과 생산비 부담이 홍수출하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소금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올해 처음 실시한 소금 수매제도 별 효과가 없었습니다.

수매량이 4천6백톤으로 전국 생산량의 1.5%에 불과했기때문입니다.

<인터뷰>염부 : "수매가격이 낮으니까 오히려 도매가가 떨어지고, 수매량도 너무 적었다"

지난해 소금 가격은 8월에 KG그램당 3백원 대를 형성하다 하반기에 천원까지 폭등했습니다.

올해도 홍수출하에 중간유통상의 사재기가 기승을 부려 김장철 가격폭등의 악순환은 되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상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