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일정기간 다른 기관에 근무한 경력이 있어야 고위공무원으로 승진할 수 있게 됩니다.
안전행정부는 다른 기관 근무경력을 고위공무원단 역량평가시 응시요건으로 하는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과장급 공무원의 기관 간 인사교류는 7배 이상 늘어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4급 이상 공무원은 타 기관 근무경력이 없어도 승진할 수 있어, 상당수 고위공무원이 부처 이기주의에 빠지는 결과를 낳는 하나의 요인이 돼 왔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와 함께 7급 이하 공무원의 근속 승진기간을 산정할 때 기관간 인사교류 경력의 50%를 추가로 반영하고, 4·5급 승진 시 직급별 승진예정인원의 20% 이상을 기관 상호 간 인사교류 예정자나 경력자로 선정할 계획입니다.
안전행정부는 다른 기관 근무경력을 고위공무원단 역량평가시 응시요건으로 하는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과장급 공무원의 기관 간 인사교류는 7배 이상 늘어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4급 이상 공무원은 타 기관 근무경력이 없어도 승진할 수 있어, 상당수 고위공무원이 부처 이기주의에 빠지는 결과를 낳는 하나의 요인이 돼 왔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와 함께 7급 이하 공무원의 근속 승진기간을 산정할 때 기관간 인사교류 경력의 50%를 추가로 반영하고, 4·5급 승진 시 직급별 승진예정인원의 20% 이상을 기관 상호 간 인사교류 예정자나 경력자로 선정할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른 기관 근무경력 있어야 고위공무원 승진 가능
-
- 입력 2013-09-01 14:38:20
내년부터 일정기간 다른 기관에 근무한 경력이 있어야 고위공무원으로 승진할 수 있게 됩니다.
안전행정부는 다른 기관 근무경력을 고위공무원단 역량평가시 응시요건으로 하는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과장급 공무원의 기관 간 인사교류는 7배 이상 늘어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4급 이상 공무원은 타 기관 근무경력이 없어도 승진할 수 있어, 상당수 고위공무원이 부처 이기주의에 빠지는 결과를 낳는 하나의 요인이 돼 왔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와 함께 7급 이하 공무원의 근속 승진기간을 산정할 때 기관간 인사교류 경력의 50%를 추가로 반영하고, 4·5급 승진 시 직급별 승진예정인원의 20% 이상을 기관 상호 간 인사교류 예정자나 경력자로 선정할 계획입니다.
-
-
이효용 기자 utility@kbs.co.kr
이효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