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파크텔에서 '체육지도자 양성 제도 개편을 위한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놓고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2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에 따라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등 후속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열린다.
개정 법률에 따르면 경기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등으로 구분한 기존의 자격 종류를 대상별(유소년·성인·노인, 장애인·비장애인), 지도내용별(스포츠 종목, 운동처방)로 세분화해 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 건강운동관리사로 개편했다.
양성과정도 '이론 연수 후 자격 검정'에서 '자격 검정 후 실무 연수'로 바꿨다.
또한 학교 체육교사에게만 인정됐던 자격부여 및 특별과정을 선수(프로선수 포함)에게까지 확대했다.
문체부는 올해 3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학계, 체육계 전문가가 참여한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편위원회'를 운영했으며 이번 공청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공청회의 주요 쟁점은 ▲ 자격제도별 지도내용, 수준에 따른 명칭, 등급 세분화 ▲ 자격 종목 신설·폐지 절차 ▲ 자격요건과 관련된 불합리한 진입 장벽 해소 ▲ 자격 검증제도 운영방안 ▲ 실무연수 ▲선수에 대한 자격부여 및 특별과정 도입 ▲ 기존 체육지도자 관련 경과조치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는 올해까지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절차를 완료하고 2015년부터 개편된 제도가 시행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2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에 따라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등 후속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열린다.
개정 법률에 따르면 경기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등으로 구분한 기존의 자격 종류를 대상별(유소년·성인·노인, 장애인·비장애인), 지도내용별(스포츠 종목, 운동처방)로 세분화해 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 건강운동관리사로 개편했다.
양성과정도 '이론 연수 후 자격 검정'에서 '자격 검정 후 실무 연수'로 바꿨다.
또한 학교 체육교사에게만 인정됐던 자격부여 및 특별과정을 선수(프로선수 포함)에게까지 확대했다.
문체부는 올해 3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학계, 체육계 전문가가 참여한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편위원회'를 운영했으며 이번 공청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공청회의 주요 쟁점은 ▲ 자격제도별 지도내용, 수준에 따른 명칭, 등급 세분화 ▲ 자격 종목 신설·폐지 절차 ▲ 자격요건과 관련된 불합리한 진입 장벽 해소 ▲ 자격 검증제도 운영방안 ▲ 실무연수 ▲선수에 대한 자격부여 및 특별과정 도입 ▲ 기존 체육지도자 관련 경과조치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는 올해까지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절차를 완료하고 2015년부터 개편된 제도가 시행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체육지도자 자격 제도 개편 공청회 개최
-
- 입력 2013-09-04 15:38:49
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파크텔에서 '체육지도자 양성 제도 개편을 위한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놓고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2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에 따라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등 후속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열린다.
개정 법률에 따르면 경기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등으로 구분한 기존의 자격 종류를 대상별(유소년·성인·노인, 장애인·비장애인), 지도내용별(스포츠 종목, 운동처방)로 세분화해 스포츠지도사, 노인스포츠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장애인스포츠지도사, 건강운동관리사로 개편했다.
양성과정도 '이론 연수 후 자격 검정'에서 '자격 검정 후 실무 연수'로 바꿨다.
또한 학교 체육교사에게만 인정됐던 자격부여 및 특별과정을 선수(프로선수 포함)에게까지 확대했다.
문체부는 올해 3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학계, 체육계 전문가가 참여한 '체육지도자 자격제도 개편위원회'를 운영했으며 이번 공청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공청회의 주요 쟁점은 ▲ 자격제도별 지도내용, 수준에 따른 명칭, 등급 세분화 ▲ 자격 종목 신설·폐지 절차 ▲ 자격요건과 관련된 불합리한 진입 장벽 해소 ▲ 자격 검증제도 운영방안 ▲ 실무연수 ▲선수에 대한 자격부여 및 특별과정 도입 ▲ 기존 체육지도자 관련 경과조치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는 올해까지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절차를 완료하고 2015년부터 개편된 제도가 시행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