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독일 대통령, 나치 학살 마을서 첫 참회
입력 2013.09.05 (23:53) 수정 2013.09.06 (00:04) 뉴스라인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독일 대통령이 처음으로 프랑스에 있는 나치 학살 마을을 방문해 용서를 빌었습니다.
2차 대전 당시 642명이 숨진 이 마을을 69년이 지난 뒤 방문한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열자고 다짐했습니다.
프랑스 현지에서 김성모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폐허로 변한 프랑스의 한 마을, 이른바 유령 마을로 불리는 곳입니다.
집들은 벽만 남았고 곳곳에 불에 탄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지난 1944년 나치군이 주민 642명을 학살한 곳입니다.
이 곳을 독일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이 찾아와 용서를 빌었습니다.
<인터뷰> 가우크 독일 대통령: "독일 군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한 심판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1시간 넘게 마을을 둘러본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긴 묵념으로 희생자를 기렸습니다.
<인터뷰>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이 곳에서 함께 진실을 직시하고 힘겨웠던 시간을 이겨내며 미래로 나갈 수 있었습니다."
69년 동안 공포의 기억 속에 살아온 생존자들도 독일 대통령의 참회에 용서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당시 학살 생존자: (이번 방문이 너무 늦게 이뤄진 게 아닌가요?) "좋은 일을 하는데 늦었다는 것이 없습니다."
끊임 없는 반성과 용서는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오라두르 쉬르 글란에서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독일 대통령이 처음으로 프랑스에 있는 나치 학살 마을을 방문해 용서를 빌었습니다.
2차 대전 당시 642명이 숨진 이 마을을 69년이 지난 뒤 방문한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열자고 다짐했습니다.
프랑스 현지에서 김성모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폐허로 변한 프랑스의 한 마을, 이른바 유령 마을로 불리는 곳입니다.
집들은 벽만 남았고 곳곳에 불에 탄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지난 1944년 나치군이 주민 642명을 학살한 곳입니다.
이 곳을 독일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이 찾아와 용서를 빌었습니다.
<인터뷰> 가우크 독일 대통령: "독일 군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한 심판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1시간 넘게 마을을 둘러본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긴 묵념으로 희생자를 기렸습니다.
<인터뷰>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이 곳에서 함께 진실을 직시하고 힘겨웠던 시간을 이겨내며 미래로 나갈 수 있었습니다."
69년 동안 공포의 기억 속에 살아온 생존자들도 독일 대통령의 참회에 용서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당시 학살 생존자: (이번 방문이 너무 늦게 이뤄진 게 아닌가요?) "좋은 일을 하는데 늦었다는 것이 없습니다."
끊임 없는 반성과 용서는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오라두르 쉬르 글란에서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 독일 대통령, 나치 학살 마을서 첫 참회
-
- 입력 2013-09-05 23:55:01
- 수정2013-09-06 00:04:57

<앵커 멘트>
독일 대통령이 처음으로 프랑스에 있는 나치 학살 마을을 방문해 용서를 빌었습니다.
2차 대전 당시 642명이 숨진 이 마을을 69년이 지난 뒤 방문한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열자고 다짐했습니다.
프랑스 현지에서 김성모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폐허로 변한 프랑스의 한 마을, 이른바 유령 마을로 불리는 곳입니다.
집들은 벽만 남았고 곳곳에 불에 탄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지난 1944년 나치군이 주민 642명을 학살한 곳입니다.
이 곳을 독일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이 찾아와 용서를 빌었습니다.
<인터뷰> 가우크 독일 대통령: "독일 군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한 심판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1시간 넘게 마을을 둘러본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긴 묵념으로 희생자를 기렸습니다.
<인터뷰>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이 곳에서 함께 진실을 직시하고 힘겨웠던 시간을 이겨내며 미래로 나갈 수 있었습니다."
69년 동안 공포의 기억 속에 살아온 생존자들도 독일 대통령의 참회에 용서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당시 학살 생존자: (이번 방문이 너무 늦게 이뤄진 게 아닌가요?) "좋은 일을 하는데 늦었다는 것이 없습니다."
끊임 없는 반성과 용서는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오라두르 쉬르 글란에서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독일 대통령이 처음으로 프랑스에 있는 나치 학살 마을을 방문해 용서를 빌었습니다.
2차 대전 당시 642명이 숨진 이 마을을 69년이 지난 뒤 방문한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열자고 다짐했습니다.
프랑스 현지에서 김성모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폐허로 변한 프랑스의 한 마을, 이른바 유령 마을로 불리는 곳입니다.
집들은 벽만 남았고 곳곳에 불에 탄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지난 1944년 나치군이 주민 642명을 학살한 곳입니다.
이 곳을 독일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이 찾아와 용서를 빌었습니다.
<인터뷰> 가우크 독일 대통령: "독일 군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한 심판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1시간 넘게 마을을 둘러본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대통령은 긴 묵념으로 희생자를 기렸습니다.
<인터뷰> 올랑드(프랑스 대통령): "이 곳에서 함께 진실을 직시하고 힘겨웠던 시간을 이겨내며 미래로 나갈 수 있었습니다."
69년 동안 공포의 기억 속에 살아온 생존자들도 독일 대통령의 참회에 용서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당시 학살 생존자: (이번 방문이 너무 늦게 이뤄진 게 아닌가요?) "좋은 일을 하는데 늦었다는 것이 없습니다."
끊임 없는 반성과 용서는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가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프랑스 오라두르 쉬르 글란에서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뉴스라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성모 기자 ksm@kbs.co.kr
김성모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