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서울 청소년 고민 상담 ‘학업 > 대인 관계> 일탈’
입력 2013.09.06 (10:30) 수정 2013.09.06 (10:45) 사회
서울 청소년들의 가장 큰 고민은 학업과 진로, 대인 관계, 일탈 문제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4곳에서 접수된 청소년 64만7천여 명의 상담을 분석한 결과, 학업과 진로 고민이 2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따돌림과 이성관계 문제를 포함한 대인관계가 17.6%, 가출과 학교폭력 등 일탈·비행문제가 15.6%, 자살 충동 등 정신건강이 11.4%였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자 청소년은 학업·진로 관련 상담 비율이 증가했고, 여자 청소년은 대인관계 상담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4곳에서 접수된 청소년 64만7천여 명의 상담을 분석한 결과, 학업과 진로 고민이 2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따돌림과 이성관계 문제를 포함한 대인관계가 17.6%, 가출과 학교폭력 등 일탈·비행문제가 15.6%, 자살 충동 등 정신건강이 11.4%였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자 청소년은 학업·진로 관련 상담 비율이 증가했고, 여자 청소년은 대인관계 상담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 서울 청소년 고민 상담 ‘학업 > 대인 관계> 일탈’
-
- 입력 2013-09-06 10:30:49
- 수정2013-09-06 10:45:45
서울 청소년들의 가장 큰 고민은 학업과 진로, 대인 관계, 일탈 문제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4곳에서 접수된 청소년 64만7천여 명의 상담을 분석한 결과, 학업과 진로 고민이 2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따돌림과 이성관계 문제를 포함한 대인관계가 17.6%, 가출과 학교폭력 등 일탈·비행문제가 15.6%, 자살 충동 등 정신건강이 11.4%였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자 청소년은 학업·진로 관련 상담 비율이 증가했고, 여자 청소년은 대인관계 상담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4곳에서 접수된 청소년 64만7천여 명의 상담을 분석한 결과, 학업과 진로 고민이 2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따돌림과 이성관계 문제를 포함한 대인관계가 17.6%, 가출과 학교폭력 등 일탈·비행문제가 15.6%, 자살 충동 등 정신건강이 11.4%였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자 청소년은 학업·진로 관련 상담 비율이 증가했고, 여자 청소년은 대인관계 상담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 기자 정보
-
-
김태욱 기자 twkim@kbs.co.kr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