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독버섯 주의’…야생 버섯 함부로 먹지 말아야
입력 2013.09.16 (09:09) 연합뉴스
추석을 맞아 성묘길에 딴 야생버섯을 함부로 먹었다가는 위험에 처해질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먹을 수 있는 버섯과 구분하기 어려운 독버섯이 많다며 야생 버섯을 함부로 따 먹지 말라고 16일 당부했다.
독버섯은 대개 빛깔이 화려하거나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다. 또 결이 세로로 찢어지지 않고 벌레 먹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맹독성의 광대버섯류와 위장관 독소를 지닌 삿갓외대버섯은 색이 화려하지 않아 식용으로 쓰는 느타리버섯과 구별하기 어렵다.
또 독버섯은 기름에 넣고 볶는 등 가열하더라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으므로 무조건 먹지 않아야 한다.
독버섯을 먹게 되면 구토, 설사, 오한,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식약처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아니면 독버섯 구분은 실제로 불가능하다"며 "자연산 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먹지 말라"고 당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먹을 수 있는 버섯과 구분하기 어려운 독버섯이 많다며 야생 버섯을 함부로 따 먹지 말라고 16일 당부했다.
독버섯은 대개 빛깔이 화려하거나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다. 또 결이 세로로 찢어지지 않고 벌레 먹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맹독성의 광대버섯류와 위장관 독소를 지닌 삿갓외대버섯은 색이 화려하지 않아 식용으로 쓰는 느타리버섯과 구별하기 어렵다.
또 독버섯은 기름에 넣고 볶는 등 가열하더라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으므로 무조건 먹지 않아야 한다.
독버섯을 먹게 되면 구토, 설사, 오한,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식약처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아니면 독버섯 구분은 실제로 불가능하다"며 "자연산 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먹지 말라"고 당부했다.
- ‘독버섯 주의’…야생 버섯 함부로 먹지 말아야
-
- 입력 2013-09-16 09:09:15
추석을 맞아 성묘길에 딴 야생버섯을 함부로 먹었다가는 위험에 처해질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먹을 수 있는 버섯과 구분하기 어려운 독버섯이 많다며 야생 버섯을 함부로 따 먹지 말라고 16일 당부했다.
독버섯은 대개 빛깔이 화려하거나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다. 또 결이 세로로 찢어지지 않고 벌레 먹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맹독성의 광대버섯류와 위장관 독소를 지닌 삿갓외대버섯은 색이 화려하지 않아 식용으로 쓰는 느타리버섯과 구별하기 어렵다.
또 독버섯은 기름에 넣고 볶는 등 가열하더라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으므로 무조건 먹지 않아야 한다.
독버섯을 먹게 되면 구토, 설사, 오한,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식약처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아니면 독버섯 구분은 실제로 불가능하다"며 "자연산 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먹지 말라"고 당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먹을 수 있는 버섯과 구분하기 어려운 독버섯이 많다며 야생 버섯을 함부로 따 먹지 말라고 16일 당부했다.
독버섯은 대개 빛깔이 화려하거나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다. 또 결이 세로로 찢어지지 않고 벌레 먹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맹독성의 광대버섯류와 위장관 독소를 지닌 삿갓외대버섯은 색이 화려하지 않아 식용으로 쓰는 느타리버섯과 구별하기 어렵다.
또 독버섯은 기름에 넣고 볶는 등 가열하더라도 독소가 없어지지 않으므로 무조건 먹지 않아야 한다.
독버섯을 먹게 되면 구토, 설사, 오한,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일어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식약처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아니면 독버섯 구분은 실제로 불가능하다"며 "자연산 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먹지 말라"고 당부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