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록달록 화려한 호박마을로 놀러오세요!
입력 2013.10.05 (07:42)
수정 2013.10.05 (0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호박하면 죽이나 반찬으로 먹는 것으로 생각하실텐데요.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관상용 호박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마을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80여 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경남 사천시의 작은 마을.
오래 전부터 맑은 샘이 많아 이곳에서 자란 딸기와 토마토는 맛 좋기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최근엔 호박이 마을의 대표 특산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록달록 화려한 색상에, 모양도 제각각.
50여 종류의 호박이 마을 곳곳에 주렁주렁 열렸습니다.
어른 몸무게보다 더 나가는 대형 호박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전국 박과 채소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91킬로그램짜리 박도 이 마을 출신입니다.
<인터뷰> 김희(호박재배 농민) : "운도 따르겠지만 적절한 퇴비, 그리고 정성이 이만큼 들어가야 됩니다."
지난 2011년 마을이 호박명품화사업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농민들이 힘을 모아 호박을 키우고 있습니다.
호박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게 목표.
입소문이 나면서 관상용 호박을 구입하려는 문의 전화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미숙(사천시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과) : "호박을 만들어내면서 관상용을 보고, 즐기고 와서 경관으로 즐기고 저희들은 먹는 것까지 생각합니다."
친숙한 먹을거리인 호박이 농촌 관광의 테마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호박하면 죽이나 반찬으로 먹는 것으로 생각하실텐데요.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관상용 호박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마을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80여 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경남 사천시의 작은 마을.
오래 전부터 맑은 샘이 많아 이곳에서 자란 딸기와 토마토는 맛 좋기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최근엔 호박이 마을의 대표 특산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록달록 화려한 색상에, 모양도 제각각.
50여 종류의 호박이 마을 곳곳에 주렁주렁 열렸습니다.
어른 몸무게보다 더 나가는 대형 호박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전국 박과 채소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91킬로그램짜리 박도 이 마을 출신입니다.
<인터뷰> 김희(호박재배 농민) : "운도 따르겠지만 적절한 퇴비, 그리고 정성이 이만큼 들어가야 됩니다."
지난 2011년 마을이 호박명품화사업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농민들이 힘을 모아 호박을 키우고 있습니다.
호박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게 목표.
입소문이 나면서 관상용 호박을 구입하려는 문의 전화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미숙(사천시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과) : "호박을 만들어내면서 관상용을 보고, 즐기고 와서 경관으로 즐기고 저희들은 먹는 것까지 생각합니다."
친숙한 먹을거리인 호박이 농촌 관광의 테마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알록달록 화려한 호박마을로 놀러오세요!
-
- 입력 2013-10-05 07:48:05
- 수정2013-10-05 08:08:08

<앵커 멘트>
호박하면 죽이나 반찬으로 먹는 것으로 생각하실텐데요.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관상용 호박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마을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80여 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경남 사천시의 작은 마을.
오래 전부터 맑은 샘이 많아 이곳에서 자란 딸기와 토마토는 맛 좋기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최근엔 호박이 마을의 대표 특산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록달록 화려한 색상에, 모양도 제각각.
50여 종류의 호박이 마을 곳곳에 주렁주렁 열렸습니다.
어른 몸무게보다 더 나가는 대형 호박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전국 박과 채소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91킬로그램짜리 박도 이 마을 출신입니다.
<인터뷰> 김희(호박재배 농민) : "운도 따르겠지만 적절한 퇴비, 그리고 정성이 이만큼 들어가야 됩니다."
지난 2011년 마을이 호박명품화사업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농민들이 힘을 모아 호박을 키우고 있습니다.
호박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게 목표.
입소문이 나면서 관상용 호박을 구입하려는 문의 전화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미숙(사천시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과) : "호박을 만들어내면서 관상용을 보고, 즐기고 와서 경관으로 즐기고 저희들은 먹는 것까지 생각합니다."
친숙한 먹을거리인 호박이 농촌 관광의 테마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호박하면 죽이나 반찬으로 먹는 것으로 생각하실텐데요.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관상용 호박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마을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진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80여 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경남 사천시의 작은 마을.
오래 전부터 맑은 샘이 많아 이곳에서 자란 딸기와 토마토는 맛 좋기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최근엔 호박이 마을의 대표 특산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록달록 화려한 색상에, 모양도 제각각.
50여 종류의 호박이 마을 곳곳에 주렁주렁 열렸습니다.
어른 몸무게보다 더 나가는 대형 호박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전국 박과 채소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91킬로그램짜리 박도 이 마을 출신입니다.
<인터뷰> 김희(호박재배 농민) : "운도 따르겠지만 적절한 퇴비, 그리고 정성이 이만큼 들어가야 됩니다."
지난 2011년 마을이 호박명품화사업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농민들이 힘을 모아 호박을 키우고 있습니다.
호박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게 목표.
입소문이 나면서 관상용 호박을 구입하려는 문의 전화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미숙(사천시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과) : "호박을 만들어내면서 관상용을 보고, 즐기고 와서 경관으로 즐기고 저희들은 먹는 것까지 생각합니다."
친숙한 먹을거리인 호박이 농촌 관광의 테마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