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美 예산안·부채한도 협상안 하원도 통과
입력 2013.10.17 (11:24) 수정 2013.10.17 (11:40) 국제
미국 하원이 상원 민주·공화 지도부가 합의한 예산안과 국가 부채 한도 증액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만 하면 미국은 사상 초유의 국가 부도 사태를 모면하게 됩니다.
또 연방정부 업무 정지도 해제돼 모든 정부 기관이 다시 문을 열고 일시해고 상태였던 40만 명의 공무원도 일터로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합의안의 핵심은 연방정부가 예산을 현재 수준에서 내년 1월 15일까지 집행할 수 있게 하고, 부채 한도의 경우 내년 2월 7일까지 현행 법정 상한인 16조 7천억 달러를 적용받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만 하면 미국은 사상 초유의 국가 부도 사태를 모면하게 됩니다.
또 연방정부 업무 정지도 해제돼 모든 정부 기관이 다시 문을 열고 일시해고 상태였던 40만 명의 공무원도 일터로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합의안의 핵심은 연방정부가 예산을 현재 수준에서 내년 1월 15일까지 집행할 수 있게 하고, 부채 한도의 경우 내년 2월 7일까지 현행 법정 상한인 16조 7천억 달러를 적용받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 美 예산안·부채한도 협상안 하원도 통과
-
- 입력 2013-10-17 11:24:46
- 수정2013-10-17 11:40:47

미국 하원이 상원 민주·공화 지도부가 합의한 예산안과 국가 부채 한도 증액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만 하면 미국은 사상 초유의 국가 부도 사태를 모면하게 됩니다.
또 연방정부 업무 정지도 해제돼 모든 정부 기관이 다시 문을 열고 일시해고 상태였던 40만 명의 공무원도 일터로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합의안의 핵심은 연방정부가 예산을 현재 수준에서 내년 1월 15일까지 집행할 수 있게 하고, 부채 한도의 경우 내년 2월 7일까지 현행 법정 상한인 16조 7천억 달러를 적용받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만 하면 미국은 사상 초유의 국가 부도 사태를 모면하게 됩니다.
또 연방정부 업무 정지도 해제돼 모든 정부 기관이 다시 문을 열고 일시해고 상태였던 40만 명의 공무원도 일터로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합의안의 핵심은 연방정부가 예산을 현재 수준에서 내년 1월 15일까지 집행할 수 있게 하고, 부채 한도의 경우 내년 2월 7일까지 현행 법정 상한인 16조 7천억 달러를 적용받지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 기자 정보
-
-
정창화 기자 hwa@kbs.co.kr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