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 분의1 확률…희귀 ‘황금 개구리’ 발견
입력 2013.11.06 (19:21)
수정 2013.11.07 (0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황금 개구리' 라고 들어보셨나요?
야생에서는 생존이 어려워 3만분의 1 확률로 관찰될 만큼 희귀한데,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2마리나 발견됐습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황금빛을 띠는 황금 개구리의 모습, 함께 보시죠.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을 실룩거리며 한쪽을 응시하는 황금빛 개구리 2마리.
능숙하게 곤충을 낚아챕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짙은 노란색입니다.
황갈색과 검은색이 얼룩진 보통 참개구리와 쉽게 구별됩니다.
지난 6월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국립습지센터로 옮긴 뒤 한달여 만에 성체로 변태해, 5cm크기로 자랐습니다.
백색증은 검은색 등을 띠게 하는 멜라닌 색소가 결핍돼 발생하는 유전질환입니다.
다른 색소는 정상이라 몸통은 노란색, 눈은 붉은색입니다.
<인터뷰> 이정현(국립습지센터 박사) : "다른 포식자에게 쉽게 노출되고요.자신 역시 먹이를 잡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외선에도 취약해서 야생에서 발견될 확률은 3만분의 1에 불과합니다.
희귀형질 참개구리가 발견됨에 따라,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습지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게 됐습니다.
<인터뷰> 양병국(국립습지센터장) : "전국에 산재한 2천여개의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과학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습지센터는 성장과정 등을 추적 조사한 뒤, 다음달 국내 양서·파충류학회지에 연구결과를 실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황금 개구리' 라고 들어보셨나요?
야생에서는 생존이 어려워 3만분의 1 확률로 관찰될 만큼 희귀한데,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2마리나 발견됐습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황금빛을 띠는 황금 개구리의 모습, 함께 보시죠.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을 실룩거리며 한쪽을 응시하는 황금빛 개구리 2마리.
능숙하게 곤충을 낚아챕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짙은 노란색입니다.
황갈색과 검은색이 얼룩진 보통 참개구리와 쉽게 구별됩니다.
지난 6월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국립습지센터로 옮긴 뒤 한달여 만에 성체로 변태해, 5cm크기로 자랐습니다.
백색증은 검은색 등을 띠게 하는 멜라닌 색소가 결핍돼 발생하는 유전질환입니다.
다른 색소는 정상이라 몸통은 노란색, 눈은 붉은색입니다.
<인터뷰> 이정현(국립습지센터 박사) : "다른 포식자에게 쉽게 노출되고요.자신 역시 먹이를 잡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외선에도 취약해서 야생에서 발견될 확률은 3만분의 1에 불과합니다.
희귀형질 참개구리가 발견됨에 따라,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습지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게 됐습니다.
<인터뷰> 양병국(국립습지센터장) : "전국에 산재한 2천여개의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과학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습지센터는 성장과정 등을 추적 조사한 뒤, 다음달 국내 양서·파충류학회지에 연구결과를 실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만 분의1 확률…희귀 ‘황금 개구리’ 발견
-
- 입력 2013-11-06 19:23:22
- 수정2013-11-07 07:36:50

<앵커 멘트>
'황금 개구리' 라고 들어보셨나요?
야생에서는 생존이 어려워 3만분의 1 확률로 관찰될 만큼 희귀한데,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2마리나 발견됐습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황금빛을 띠는 황금 개구리의 모습, 함께 보시죠.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을 실룩거리며 한쪽을 응시하는 황금빛 개구리 2마리.
능숙하게 곤충을 낚아챕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짙은 노란색입니다.
황갈색과 검은색이 얼룩진 보통 참개구리와 쉽게 구별됩니다.
지난 6월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국립습지센터로 옮긴 뒤 한달여 만에 성체로 변태해, 5cm크기로 자랐습니다.
백색증은 검은색 등을 띠게 하는 멜라닌 색소가 결핍돼 발생하는 유전질환입니다.
다른 색소는 정상이라 몸통은 노란색, 눈은 붉은색입니다.
<인터뷰> 이정현(국립습지센터 박사) : "다른 포식자에게 쉽게 노출되고요.자신 역시 먹이를 잡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외선에도 취약해서 야생에서 발견될 확률은 3만분의 1에 불과합니다.
희귀형질 참개구리가 발견됨에 따라,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습지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게 됐습니다.
<인터뷰> 양병국(국립습지센터장) : "전국에 산재한 2천여개의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과학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습지센터는 성장과정 등을 추적 조사한 뒤, 다음달 국내 양서·파충류학회지에 연구결과를 실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황금 개구리' 라고 들어보셨나요?
야생에서는 생존이 어려워 3만분의 1 확률로 관찰될 만큼 희귀한데,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2마리나 발견됐습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황금빛을 띠는 황금 개구리의 모습, 함께 보시죠.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목을 실룩거리며 한쪽을 응시하는 황금빛 개구리 2마리.
능숙하게 곤충을 낚아챕니다.
알비노, 즉 백색증 때문에 온몸이 짙은 노란색입니다.
황갈색과 검은색이 얼룩진 보통 참개구리와 쉽게 구별됩니다.
지난 6월 충남 아산의 습지에서 올챙이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국립습지센터로 옮긴 뒤 한달여 만에 성체로 변태해, 5cm크기로 자랐습니다.
백색증은 검은색 등을 띠게 하는 멜라닌 색소가 결핍돼 발생하는 유전질환입니다.
다른 색소는 정상이라 몸통은 노란색, 눈은 붉은색입니다.
<인터뷰> 이정현(국립습지센터 박사) : "다른 포식자에게 쉽게 노출되고요.자신 역시 먹이를 잡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자외선에도 취약해서 야생에서 발견될 확률은 3만분의 1에 불과합니다.
희귀형질 참개구리가 발견됨에 따라,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습지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게 됐습니다.
<인터뷰> 양병국(국립습지센터장) : "전국에 산재한 2천여개의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과학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습지센터는 성장과정 등을 추적 조사한 뒤, 다음달 국내 양서·파충류학회지에 연구결과를 실을 예정입니다.
KBS 뉴스 나신하입니다.
-
-
나신하 기자 daniel@kbs.co.kr
나신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