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GCF 출범…국제기구 ‘유치 전략’ 필요

입력 2013.12.04 (21:20) 수정 2013.12.04 (21: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인천 송도의 이 29층짜리 건물에 GCF, 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이 오늘 문을 열었습니다.

환경분야 세계은행 격이라는 대형 국제기구인데요.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5개 층으로 시작하지만 앞으로 15개 층까지 쓸 예정인데요.

내년 상반기까지 한국인 직원등 48명을 뽑고, 앞으로 500명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녹색기후기금, 좀 더 알아 볼까요?

<리포트>

녹색기후 기금은 환경, 구체적으로는 기후 변화 공동 대응을 위한 세계은행 격입니다.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지원이 첫 목표인데 이를 위해 7년후까지 1,000억 달러, 100조 원 넘는 돈을 모으는 게 당면 과제입니다.

<녹취> 헬라 쉬흐로흐(GCF 사무총장) : "지금이 우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힘과 재원을 확보할 때입니다. 녹색기후기금이 하나의 대전환을 가져오기를 기대합니다."

오늘 송도에서 문을 연 GCF 사무국 출범식에 세계은행 총재 등 주요 인사 4백 명이 왔는데, 이들의 관심도 바로 이 점에 모아졌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녹색기후기금에 4천만 달러 출연을 약속하고 각국의 동참을 호소했습니다.

<녹취> 대통령 : "기후변화는 '내일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 지구촌 모두가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하는 '오늘의 문제'입니다. 더 이상 늦기 전에 모든 나라와 국제기구, 정부와 기업, 시민 사회가 행동에 나서야 합니다."

IMF 총재가 안개로 비행기가 연착해 늦었지만, 모처럼 국제기구 수장들의 토론이 벌어졌습니다.

<녹취> 김용(세계은행 총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것입니다."

GCF 사무국 유치로 앞으로 국내에서 크고 작은 국제회의만 연 120여 차례 열립니다.

또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도 송도에 문을 열어 앞으로 파급될 경제효과는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지금 조빛나 기자가 설명해 드린 GCF 외에도 국제기구 사무국은 전 세계 2만 2천 개가 넘습니다.

이 국제 기구 사무국을 제대로 유치하면 글로벌 기업 유치보다 효과가 크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그만큼 각국 유치 경쟁도 치열한데요.

녹색기후기금 이전에도 우리는 국제기구 사무국을 43개나 유치했습니다.

그런데 실상을 보면 70 퍼센트 이상이 상주인원 10명 이하의 작은 기구들이고,

외국인 근무자는 평균 2명도 안 됩니다.

특히 운영비를 스스로 부담하는 곳은 30 퍼센트 정도, 나머지는 우리 정부와 지자체가 대고 있습니다.

유치 효과를 기대할 만한 곳이 없다시피 한 건데,

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을 두고 우리가 유치한 '중량감' 있는 첫 국제기구라 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UN 분담금을 세계 11번째로 많이 내는 우리지만 그동안 국제기구 유치 실적은 초라했던 거죠.

후발주자로서 이제부터라도 괜찮은 국제기구 사무국을 제대로 유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리포트>

남한 면적 1/3에 불과한 벨기에지만 수도 브뤼셀은 유럽의 수도로 불립니다.

유럽연합 본부와 나토 등 굵직굵직한 국제기구가 들어선 덕입니다.

벨기에가 유치한 국제기구는 약 2천 2백개,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입니다.

땅을 그냥 주고, EU 직원에 면세 혜택 등 정부가 발벗고 나선 결과입니다.

<인터뷰> 김형주(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브뤼셀은 1년에 7만 건 정도의 회의가 열리는데, 고급서비스 업종의 일자리를 늘리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태국도 이 분야 강국입니다.

130여개 국제기구를 유치해 아시아에선 일본 다음인데,

유엔 아주지역본부의 건물 임대료를 1달러만 받는 식입니다.

올림픽, 월드컵 같은 스포츠 행사 개최보다 국제기구 유치가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효과가 더 크다는 겁니다.

<인터뷰> 장현숙(무역협회 수석연구원) : "(국제기구 유치는) 일회성 단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수 진작, 고용창출 효과, 관련 서비스 산업 발전과 같은 간접효과를 포함해 지속적인 경제 창출 효과가 있습니다."

국제기구 유치 강국이 되려면 외국인을 위한 교육, 의료, 주거환경 등 기본 인프라 구축이 시급합니다.

이 과정에서 첨단 IT 기술과 지정학적 위치 등 우리만의 차별화된 강점을 활용하는 전략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GCF 출범…국제기구 ‘유치 전략’ 필요
    • 입력 2013-12-04 21:23:05
    • 수정2013-12-04 21:35:26
    뉴스 9
<기자 멘트>

인천 송도의 이 29층짜리 건물에 GCF, 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이 오늘 문을 열었습니다.

환경분야 세계은행 격이라는 대형 국제기구인데요.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5개 층으로 시작하지만 앞으로 15개 층까지 쓸 예정인데요.

내년 상반기까지 한국인 직원등 48명을 뽑고, 앞으로 500명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녹색기후기금, 좀 더 알아 볼까요?

<리포트>

녹색기후 기금은 환경, 구체적으로는 기후 변화 공동 대응을 위한 세계은행 격입니다.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지원이 첫 목표인데 이를 위해 7년후까지 1,000억 달러, 100조 원 넘는 돈을 모으는 게 당면 과제입니다.

<녹취> 헬라 쉬흐로흐(GCF 사무총장) : "지금이 우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힘과 재원을 확보할 때입니다. 녹색기후기금이 하나의 대전환을 가져오기를 기대합니다."

오늘 송도에서 문을 연 GCF 사무국 출범식에 세계은행 총재 등 주요 인사 4백 명이 왔는데, 이들의 관심도 바로 이 점에 모아졌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녹색기후기금에 4천만 달러 출연을 약속하고 각국의 동참을 호소했습니다.

<녹취> 대통령 : "기후변화는 '내일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 지구촌 모두가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하는 '오늘의 문제'입니다. 더 이상 늦기 전에 모든 나라와 국제기구, 정부와 기업, 시민 사회가 행동에 나서야 합니다."

IMF 총재가 안개로 비행기가 연착해 늦었지만, 모처럼 국제기구 수장들의 토론이 벌어졌습니다.

<녹취> 김용(세계은행 총재)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것입니다."

GCF 사무국 유치로 앞으로 국내에서 크고 작은 국제회의만 연 120여 차례 열립니다.

또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도 송도에 문을 열어 앞으로 파급될 경제효과는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지금 조빛나 기자가 설명해 드린 GCF 외에도 국제기구 사무국은 전 세계 2만 2천 개가 넘습니다.

이 국제 기구 사무국을 제대로 유치하면 글로벌 기업 유치보다 효과가 크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그만큼 각국 유치 경쟁도 치열한데요.

녹색기후기금 이전에도 우리는 국제기구 사무국을 43개나 유치했습니다.

그런데 실상을 보면 70 퍼센트 이상이 상주인원 10명 이하의 작은 기구들이고,

외국인 근무자는 평균 2명도 안 됩니다.

특히 운영비를 스스로 부담하는 곳은 30 퍼센트 정도, 나머지는 우리 정부와 지자체가 대고 있습니다.

유치 효과를 기대할 만한 곳이 없다시피 한 건데,

녹색기후기금 사무국을 두고 우리가 유치한 '중량감' 있는 첫 국제기구라 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UN 분담금을 세계 11번째로 많이 내는 우리지만 그동안 국제기구 유치 실적은 초라했던 거죠.

후발주자로서 이제부터라도 괜찮은 국제기구 사무국을 제대로 유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리포트>

남한 면적 1/3에 불과한 벨기에지만 수도 브뤼셀은 유럽의 수도로 불립니다.

유럽연합 본부와 나토 등 굵직굵직한 국제기구가 들어선 덕입니다.

벨기에가 유치한 국제기구는 약 2천 2백개,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입니다.

땅을 그냥 주고, EU 직원에 면세 혜택 등 정부가 발벗고 나선 결과입니다.

<인터뷰> 김형주(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브뤼셀은 1년에 7만 건 정도의 회의가 열리는데, 고급서비스 업종의 일자리를 늘리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태국도 이 분야 강국입니다.

130여개 국제기구를 유치해 아시아에선 일본 다음인데,

유엔 아주지역본부의 건물 임대료를 1달러만 받는 식입니다.

올림픽, 월드컵 같은 스포츠 행사 개최보다 국제기구 유치가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효과가 더 크다는 겁니다.

<인터뷰> 장현숙(무역협회 수석연구원) : "(국제기구 유치는) 일회성 단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수 진작, 고용창출 효과, 관련 서비스 산업 발전과 같은 간접효과를 포함해 지속적인 경제 창출 효과가 있습니다."

국제기구 유치 강국이 되려면 외국인을 위한 교육, 의료, 주거환경 등 기본 인프라 구축이 시급합니다.

이 과정에서 첨단 IT 기술과 지정학적 위치 등 우리만의 차별화된 강점을 활용하는 전략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