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대형 스포츠 유치’ 과연 적절한가

입력 2013.12.05 (20:36) 수정 2013.12.05 (20: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년 포뮬러원(F1) 코리아그랑프리 개최가 무산되면서 지자체가 추진중인 굵직굵직한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새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무리하게 추진하다 지자체 살림만 거덜낸다는 지적과 낙후된 지역활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필요한 행사라는 반론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지자체의 무리한 행사를 사전에 견제하지 못한 정부의 잘못도 적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2010년 이후 전국 지자체가 추진했거나 추진중인 국제 스포츠 행사는 논란이 된 F1대회(전남)를 비롯한 세계육상선수권대회(대구), 동계스페셜올림픽(강원. 2012년), 올해 열린 세계조정선수권대회(충주) 등 8개에 달한다.

내년에는 인천에서 하계아시안게임이, 2015년에는 광주에서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경북 문경에서 군인들의 체육 잔치인 세계군인체육대회도 열릴 예정이다.

경기장 건설부터 도로, 기반시설 등 각종 건설비에 운영비를 더하면 적게는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이 훌쩍 넘는 예산이 소요됐거나 들어갈 예정이다.

살림이 열악한 지자체는 당연히 정부에 손을 벌릴 수밖에 없는 악순환의 구조다.

전남도가 내년 대회를 중단한 것도 결국 개최권료 인하 협상 실패에 따른 결과로 결국은 '돈 문제'이다.

광주 하계U대회에서 정부와 빚어진 갈등은 총리 보증서 위조가 실마리를 제공했지만 예산 지원에 부정적인 중앙정부의 불편한 속내도 작용했다.

상당수 지자체가 스포츠 대회 개최에 무리수를 두는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돌파구를 뚫을 수 있는 가장 무난한 방법 중 하나로 여기기 때문이다.

여기에 단체장의 치적쌓기도 빼놓을 수 없다. 큰 대회 하나를 유치하면 선거용 치적 과시로 제격이다. 민선 출범 이후 굵직한 대회 유치 사례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대회 추진의 재정적 동력이 열악한 지자체가 무리하게 나설 경우 성공 개최는 고사하고 빚더미에 앉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인천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에따라 기획재정부,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제경기대회 국비지원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 무분별한 추진을 첫 단계에서부터 제어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추진한 올림픽, 월드컵 등도 경제적 논리로만 따지면 수천억원의 적자가 난 것 아니냐는 반론이 만만치 않은 데다 형평성이 결여된 지원 등은 지자체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에따라 지자체의 대회 유치에 정부의 엄격하고 공정한 평가와 심사 등이 전제돼야 하며 지방의회 차원에서도 사전 동의, 지역민의 의견을 모으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이 높다.

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일수록 이를 벗어나기 위한 방편으로 큰 행사를 치르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며 "국가 차원의 지원이 형평성과 일관성이 없는 점도 갈등의 한 요인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2010년부터 F1대회를 열어 온 전남도는 FOM과의 개최권료 협상 등에서 실패, 내년 대회가 무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자체 ‘대형 스포츠 유치’ 과연 적절한가
    • 입력 2013-12-05 20:36:07
    • 수정2013-12-05 20:36:23
    연합뉴스
내년 포뮬러원(F1) 코리아그랑프리 개최가 무산되면서 지자체가 추진중인 굵직굵직한 대형 스포츠 이벤트가 새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무리하게 추진하다 지자체 살림만 거덜낸다는 지적과 낙후된 지역활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필요한 행사라는 반론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지자체의 무리한 행사를 사전에 견제하지 못한 정부의 잘못도 적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2010년 이후 전국 지자체가 추진했거나 추진중인 국제 스포츠 행사는 논란이 된 F1대회(전남)를 비롯한 세계육상선수권대회(대구), 동계스페셜올림픽(강원. 2012년), 올해 열린 세계조정선수권대회(충주) 등 8개에 달한다. 내년에는 인천에서 하계아시안게임이, 2015년에는 광주에서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경북 문경에서 군인들의 체육 잔치인 세계군인체육대회도 열릴 예정이다. 경기장 건설부터 도로, 기반시설 등 각종 건설비에 운영비를 더하면 적게는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이 훌쩍 넘는 예산이 소요됐거나 들어갈 예정이다. 살림이 열악한 지자체는 당연히 정부에 손을 벌릴 수밖에 없는 악순환의 구조다. 전남도가 내년 대회를 중단한 것도 결국 개최권료 인하 협상 실패에 따른 결과로 결국은 '돈 문제'이다. 광주 하계U대회에서 정부와 빚어진 갈등은 총리 보증서 위조가 실마리를 제공했지만 예산 지원에 부정적인 중앙정부의 불편한 속내도 작용했다. 상당수 지자체가 스포츠 대회 개최에 무리수를 두는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돌파구를 뚫을 수 있는 가장 무난한 방법 중 하나로 여기기 때문이다. 여기에 단체장의 치적쌓기도 빼놓을 수 없다. 큰 대회 하나를 유치하면 선거용 치적 과시로 제격이다. 민선 출범 이후 굵직한 대회 유치 사례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대회 추진의 재정적 동력이 열악한 지자체가 무리하게 나설 경우 성공 개최는 고사하고 빚더미에 앉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인천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에따라 기획재정부,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제경기대회 국비지원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 무분별한 추진을 첫 단계에서부터 제어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추진한 올림픽, 월드컵 등도 경제적 논리로만 따지면 수천억원의 적자가 난 것 아니냐는 반론이 만만치 않은 데다 형평성이 결여된 지원 등은 지자체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에따라 지자체의 대회 유치에 정부의 엄격하고 공정한 평가와 심사 등이 전제돼야 하며 지방의회 차원에서도 사전 동의, 지역민의 의견을 모으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이 높다. 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일수록 이를 벗어나기 위한 방편으로 큰 행사를 치르고 싶은 것이 사실이다"며 "국가 차원의 지원이 형평성과 일관성이 없는 점도 갈등의 한 요인이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2010년부터 F1대회를 열어 온 전남도는 FOM과의 개최권료 협상 등에서 실패, 내년 대회가 무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