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6·25 전쟁 국군전사자 유해 합동봉안식
입력 2013.12.06 (11:17) 수정 2013.12.06 (15:51) 정치
6.25전쟁 국군 전사자 합동 봉안식이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관진 국방부 장관 등 4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늘(6일)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봉안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 지난 3월부터 강원도 철원 등 전국 77개 지역에서 발굴한 국군 전사자 6백 66위입니다.
지난 2000년 이후 현재까지 발굴된 국군 전사자는 7천6백58구로, 이 가운데 83구 만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봉안식 이후 유해는 DNA 비교 검사 등 신원 확인을 거쳐 유가족들에게 인계될 예정입니다.
오늘 봉안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 지난 3월부터 강원도 철원 등 전국 77개 지역에서 발굴한 국군 전사자 6백 66위입니다.
지난 2000년 이후 현재까지 발굴된 국군 전사자는 7천6백58구로, 이 가운데 83구 만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봉안식 이후 유해는 DNA 비교 검사 등 신원 확인을 거쳐 유가족들에게 인계될 예정입니다.
- 6·25 전쟁 국군전사자 유해 합동봉안식
-
- 입력 2013-12-06 11:17:16
- 수정2013-12-06 15:51:09
6.25전쟁 국군 전사자 합동 봉안식이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관진 국방부 장관 등 4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늘(6일)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봉안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 지난 3월부터 강원도 철원 등 전국 77개 지역에서 발굴한 국군 전사자 6백 66위입니다.
지난 2000년 이후 현재까지 발굴된 국군 전사자는 7천6백58구로, 이 가운데 83구 만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봉안식 이후 유해는 DNA 비교 검사 등 신원 확인을 거쳐 유가족들에게 인계될 예정입니다.
오늘 봉안된 유해는 국방부 유해발굴 감식단이 지난 3월부터 강원도 철원 등 전국 77개 지역에서 발굴한 국군 전사자 6백 66위입니다.
지난 2000년 이후 현재까지 발굴된 국군 전사자는 7천6백58구로, 이 가운데 83구 만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봉안식 이후 유해는 DNA 비교 검사 등 신원 확인을 거쳐 유가족들에게 인계될 예정입니다.
- 기자 정보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