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 위성 유로파서 ‘치솟는 물기둥’ 관측
입력 2013.12.13 (06:10)
수정 2013.12.13 (16: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서 거대한 물기둥이 치솟는 현상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과학자들이 밝혔습니다.
유로파는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있고 그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로 이뤄진 '바다'가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개연성이 가장 큰 곳 중 하나로 꼽힙니다.
미국 남서부 연구소의 로렌츠 로트 박사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위성의 남반구 지역에서 거대한 물기둥 2개가 각각 200km 높이로 치솟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이 지역에서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특징적인 스펙트럼이 강해지는 징후를 포착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기둥 분출 현상은 특정한 장소에서 일어났으며, 일단 발생하면 7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관측됐다고 전했습니다.
연구진은 이같은 현상이 유로파와 목성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유로파의 표면에 덮인 얼음이 갈라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유로파는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있고 그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로 이뤄진 '바다'가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개연성이 가장 큰 곳 중 하나로 꼽힙니다.
미국 남서부 연구소의 로렌츠 로트 박사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위성의 남반구 지역에서 거대한 물기둥 2개가 각각 200km 높이로 치솟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이 지역에서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특징적인 스펙트럼이 강해지는 징후를 포착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기둥 분출 현상은 특정한 장소에서 일어났으며, 일단 발생하면 7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관측됐다고 전했습니다.
연구진은 이같은 현상이 유로파와 목성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유로파의 표면에 덮인 얼음이 갈라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목성 위성 유로파서 ‘치솟는 물기둥’ 관측
-
- 입력 2013-12-13 06:10:44
- 수정2013-12-13 16:24:02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서 거대한 물기둥이 치솟는 현상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과학자들이 밝혔습니다.
유로파는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있고 그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로 이뤄진 '바다'가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개연성이 가장 큰 곳 중 하나로 꼽힙니다.
미국 남서부 연구소의 로렌츠 로트 박사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위성의 남반구 지역에서 거대한 물기둥 2개가 각각 200km 높이로 치솟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이 지역에서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특징적인 스펙트럼이 강해지는 징후를 포착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기둥 분출 현상은 특정한 장소에서 일어났으며, 일단 발생하면 7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관측됐다고 전했습니다.
연구진은 이같은 현상이 유로파와 목성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유로파의 표면에 덮인 얼음이 갈라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유로파는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있고 그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로 이뤄진 '바다'가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개연성이 가장 큰 곳 중 하나로 꼽힙니다.
미국 남서부 연구소의 로렌츠 로트 박사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위성의 남반구 지역에서 거대한 물기둥 2개가 각각 200km 높이로 치솟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이 지역에서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특징적인 스펙트럼이 강해지는 징후를 포착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기둥 분출 현상은 특정한 장소에서 일어났으며, 일단 발생하면 7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관측됐다고 전했습니다.
연구진은 이같은 현상이 유로파와 목성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유로파의 표면에 덮인 얼음이 갈라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
-
정창화 기자 hwa@kbs.co.kr
정창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