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옷에서 건강로봇까지…미래 삶 어떻게 바뀔까

입력 2013.12.19 (16: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19일 발표한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3∼2018년)에서 가장 시선을 끄는 부문은 향후 10년간 약 20조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이 투입되는 13개 대형융합과제다.

우리나라가 기존에 보유한 첨단 산업기술을 접목시켜 세계를 선도할 고부가가치 제품을 내놓겠다는 것으로 사실상 차세대 성장동력에 해당한다.

이번 대형융합과제는 응용범위가 넓고 산업 전반에 파급 효과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선정됐다.

아울러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연구소, 대학 등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도록 해 미래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도 담았다.

선정된 과제 중에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wearable smart device), 자율주행 자동차, 국민안전·건강 로봇,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등 '생활밀착형 과제'가 대거 포함돼 10년 뒤 국민 생활의 변화를 짐작게 한다.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는 안경처럼 쓰거나 옷처럼 입을 수 있는 스마트기기다.

안경과 시계 같은 액세서리형은 내년부터, 의류형은 내후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돼 2018년에는 610억달러, 2024년에는 2천664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성전자가 이미 시계형 스마트기기인 '갤러시 기어'를 선보였지만 의류형은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능성 섬유, 전자부품 분야에서 축적된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기기에 들어가는 핵심소재 등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정부는 액세서리·의류형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핵심소재·부품 개발에 R&D 투자를 집중해 원천 특허를 선점하고 세계시장의 표준화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를 자동 조작해 앞차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미래형 첨단 자동차로 이미 제너럴모터스(GM)·도요타·혼다·BMW 등 해외 유수 완성차업체들이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들 기업이 다수의 소재·부품 원천특허를 선점했지만 아직 미개발 분야가 많아 우리나라 기업에도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분석한다.

세계 시장 규모는 2015년 93억 달러에서 2023년에는 4천862억 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는 2025년께 고속도로 사망률이 50% 감소하고 교통사고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4천700억원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통계도 있다.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R&D 사업을 전개해 이 분야에서 매출 1억 달러 이상의 글로벌 선도기업 10개를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안전·건강 로봇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사람 대신 위험지역에 들어가 인명을 구조하고 장애인·노령자 지원·간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활용범위가 넓다.

전 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 기술이 확보되지 않아 시장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세계 4위의 로봇생산국인 우리나라는 뛰어난 ICT 경쟁력에 로봇산업 기반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어 세계시장 선점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정부는 판단한다.

작년 21억2천만 달러 수준인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8천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가장 적합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오래전 기술개발에 착수해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미국의 일부 기업은 개인의 게놈정보를 분석해 질병 위험성을 예측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체정보 분석 능력이 선진국의 60∼80% 수준에 불과하지만 우수한 인력 등 의료산업 기반이 탄탄해 효율적으로 R&D 사업을 전개할 경우 기술적으로 선진국을 충분히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이밖에 ▲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 탄소소재 ▲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 나노기반 생체모사 디바이스 ▲ 가상훈련 플랫폼 ▲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 ▲ 저손실 직류 송배전 시스템 등이 13대 대형융합과제에 포함됐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13대 과제에서 세계 시장점유율을 1%만 올려도 4천억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들 사업이 완료되는 10년 뒤에는 국내 산업 생태계가 미래형으로 완전히 탈바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마트옷에서 건강로봇까지…미래 삶 어떻게 바뀔까
    • 입력 2013-12-19 16:37:14
    연합뉴스
정부가 19일 발표한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3∼2018년)에서 가장 시선을 끄는 부문은 향후 10년간 약 20조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이 투입되는 13개 대형융합과제다. 우리나라가 기존에 보유한 첨단 산업기술을 접목시켜 세계를 선도할 고부가가치 제품을 내놓겠다는 것으로 사실상 차세대 성장동력에 해당한다. 이번 대형융합과제는 응용범위가 넓고 산업 전반에 파급 효과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선정됐다. 아울러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연구소, 대학 등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도록 해 미래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도 담았다. 선정된 과제 중에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wearable smart device), 자율주행 자동차, 국민안전·건강 로봇,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등 '생활밀착형 과제'가 대거 포함돼 10년 뒤 국민 생활의 변화를 짐작게 한다.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는 안경처럼 쓰거나 옷처럼 입을 수 있는 스마트기기다. 안경과 시계 같은 액세서리형은 내년부터, 의류형은 내후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돼 2018년에는 610억달러, 2024년에는 2천664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성전자가 이미 시계형 스마트기기인 '갤러시 기어'를 선보였지만 의류형은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능성 섬유, 전자부품 분야에서 축적된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기기에 들어가는 핵심소재 등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정부는 액세서리·의류형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핵심소재·부품 개발에 R&D 투자를 집중해 원천 특허를 선점하고 세계시장의 표준화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를 자동 조작해 앞차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미래형 첨단 자동차로 이미 제너럴모터스(GM)·도요타·혼다·BMW 등 해외 유수 완성차업체들이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들 기업이 다수의 소재·부품 원천특허를 선점했지만 아직 미개발 분야가 많아 우리나라 기업에도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분석한다. 세계 시장 규모는 2015년 93억 달러에서 2023년에는 4천862억 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는 2025년께 고속도로 사망률이 50% 감소하고 교통사고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4천700억원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통계도 있다.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R&D 사업을 전개해 이 분야에서 매출 1억 달러 이상의 글로벌 선도기업 10개를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안전·건강 로봇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사람 대신 위험지역에 들어가 인명을 구조하고 장애인·노령자 지원·간병·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활용범위가 넓다. 전 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 기술이 확보되지 않아 시장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세계 4위의 로봇생산국인 우리나라는 뛰어난 ICT 경쟁력에 로봇산업 기반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어 세계시장 선점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정부는 판단한다. 작년 21억2천만 달러 수준인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8천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가장 적합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오래전 기술개발에 착수해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미국의 일부 기업은 개인의 게놈정보를 분석해 질병 위험성을 예측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체정보 분석 능력이 선진국의 60∼80% 수준에 불과하지만 우수한 인력 등 의료산업 기반이 탄탄해 효율적으로 R&D 사업을 전개할 경우 기술적으로 선진국을 충분히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이밖에 ▲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 극한환경용 해양플랜트 ▲ 탄소소재 ▲ 첨단산업용 비철금속 소재 ▲ 나노기반 생체모사 디바이스 ▲ 가상훈련 플랫폼 ▲ 고효율 초소형화 발전시스템 ▲ 저손실 직류 송배전 시스템 등이 13대 대형융합과제에 포함됐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13대 과제에서 세계 시장점유율을 1%만 올려도 4천억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들 사업이 완료되는 10년 뒤에는 국내 산업 생태계가 미래형으로 완전히 탈바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