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회 철을 맞아 꿀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꿀물로 숙취를 푸는 사람이 부쩍 늘어난 탓이다.
롯데마트는 이달 들어 지난 22일까지 수입 꿀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1%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카시아꿀과 기타 꿀 판매 증가율도 각각 11%, 46%에 달했다.
숙취 해소 음료 매출도 작년 동기 대비 78% 뛰었다.
통상 숙취 해소를 위해 각종 기능성 음료를 찾지만, 최근에는 '웰빙' 풍조가 넓게 확산되면서 영양이 풍부한 자연식품인 꿀로 해장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 송년 시즌을 맞아 숙취 해소 음료 수요가 늘어난데다, 해장도 따져가며 하다 보니 몸에 좋은 꿀 판매가 더 크게 뛴 것으로 보인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온라인 시장에서 이런 경향은 더 뚜렷했다.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에서는 지난 22일까지 최근 한 달간 국산 꿀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9%나 뛰었다. 10배 가까운 수준이다.
로열젤리 판매도 지난해보다 90%나 상승했고, 해장용으로 복용하는 각종 건강 즙 매출도 20% 증가했다.
숙취 해소 음료는 매출 상승률이 37%에 달했다.
전날 회식에서 몸에 밴 각종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섬유탈취제 수요도 급증, 최근 한 달간 관련 판매도 지난해보다 49%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술자리가 많아지는 연말 숙취해소 음료를 준비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불황 탓에 술 소비가 늘며 숙취 수요도 덩달아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이달 들어 지난 22일까지 수입 꿀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1%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카시아꿀과 기타 꿀 판매 증가율도 각각 11%, 46%에 달했다.
숙취 해소 음료 매출도 작년 동기 대비 78% 뛰었다.
통상 숙취 해소를 위해 각종 기능성 음료를 찾지만, 최근에는 '웰빙' 풍조가 넓게 확산되면서 영양이 풍부한 자연식품인 꿀로 해장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 송년 시즌을 맞아 숙취 해소 음료 수요가 늘어난데다, 해장도 따져가며 하다 보니 몸에 좋은 꿀 판매가 더 크게 뛴 것으로 보인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온라인 시장에서 이런 경향은 더 뚜렷했다.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에서는 지난 22일까지 최근 한 달간 국산 꿀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9%나 뛰었다. 10배 가까운 수준이다.
로열젤리 판매도 지난해보다 90%나 상승했고, 해장용으로 복용하는 각종 건강 즙 매출도 20% 증가했다.
숙취 해소 음료는 매출 상승률이 37%에 달했다.
전날 회식에서 몸에 밴 각종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섬유탈취제 수요도 급증, 최근 한 달간 관련 판매도 지난해보다 49%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술자리가 많아지는 연말 숙취해소 음료를 준비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불황 탓에 술 소비가 늘며 숙취 수요도 덩달아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숙취에는 ‘꿀물’…연말 꿀 판매 급증
-
- 입력 2013-12-24 06:46:34
송년회 철을 맞아 꿀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꿀물로 숙취를 푸는 사람이 부쩍 늘어난 탓이다.
롯데마트는 이달 들어 지난 22일까지 수입 꿀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1%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카시아꿀과 기타 꿀 판매 증가율도 각각 11%, 46%에 달했다.
숙취 해소 음료 매출도 작년 동기 대비 78% 뛰었다.
통상 숙취 해소를 위해 각종 기능성 음료를 찾지만, 최근에는 '웰빙' 풍조가 넓게 확산되면서 영양이 풍부한 자연식품인 꿀로 해장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 송년 시즌을 맞아 숙취 해소 음료 수요가 늘어난데다, 해장도 따져가며 하다 보니 몸에 좋은 꿀 판매가 더 크게 뛴 것으로 보인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온라인 시장에서 이런 경향은 더 뚜렷했다.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에서는 지난 22일까지 최근 한 달간 국산 꿀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9%나 뛰었다. 10배 가까운 수준이다.
로열젤리 판매도 지난해보다 90%나 상승했고, 해장용으로 복용하는 각종 건강 즙 매출도 20% 증가했다.
숙취 해소 음료는 매출 상승률이 37%에 달했다.
전날 회식에서 몸에 밴 각종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섬유탈취제 수요도 급증, 최근 한 달간 관련 판매도 지난해보다 49%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술자리가 많아지는 연말 숙취해소 음료를 준비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불황 탓에 술 소비가 늘며 숙취 수요도 덩달아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