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촛불 화재’ 빈발…서울 5년간 300여 건

입력 2013.12.24 (12:14) 수정 2013.12.24 (13: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겨울철,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계절인데요.

특히 촛불로 인한 화재가 크게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소방관들이 잠긴 아파트 문을 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문을 열고 들어가 보니 자욱한 연기.

실내 냄새를 제거하기위해 촛불을 켜놓고 외출했다 화재가 일어난 겁니다.

이처럼 촛불로 인한 화재가 최근 5년 간 서울에서만 3백여 건이 넘게 발생했습니다.

3명이 숨지고 23명이 다쳤고, 재산 피해만 12억 원에 이릅니다.

월별 발생 현황을 보면 12월이 42건으로 가장 많고 2월 34건, 1월 33건 순이었습니다.

원인별로는 냄새 제거를 위해 촛불을 켰다가 일어난 경우가 전체의 73%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향초 사용이 늘면서 2011년 4건에 불과했던 향초 화재가 2012년 8건, 올해에는 15건으로 매년 2배 이상 급증하고 있습니다.

소방 당국은 냄새 제거를 위해 촛불을 켜기 보다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것을 권했습니다.

부득이 하게 촛불을 켤 경우에는 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받침대에 고정시키고 춧불 주변에 가연성 물질을 놓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겨울철 ‘촛불 화재’ 빈발…서울 5년간 300여 건
    • 입력 2013-12-24 12:16:02
    • 수정2013-12-24 13:27:33
    뉴스 12
<앵커 멘트>

겨울철,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계절인데요.

특히 촛불로 인한 화재가 크게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소방관들이 잠긴 아파트 문을 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문을 열고 들어가 보니 자욱한 연기.

실내 냄새를 제거하기위해 촛불을 켜놓고 외출했다 화재가 일어난 겁니다.

이처럼 촛불로 인한 화재가 최근 5년 간 서울에서만 3백여 건이 넘게 발생했습니다.

3명이 숨지고 23명이 다쳤고, 재산 피해만 12억 원에 이릅니다.

월별 발생 현황을 보면 12월이 42건으로 가장 많고 2월 34건, 1월 33건 순이었습니다.

원인별로는 냄새 제거를 위해 촛불을 켰다가 일어난 경우가 전체의 73%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향초 사용이 늘면서 2011년 4건에 불과했던 향초 화재가 2012년 8건, 올해에는 15건으로 매년 2배 이상 급증하고 있습니다.

소방 당국은 냄새 제거를 위해 촛불을 켜기 보다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것을 권했습니다.

부득이 하게 촛불을 켤 경우에는 초가 넘어지지 않도록 받침대에 고정시키고 춧불 주변에 가연성 물질을 놓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