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배구 대표 심판’ 김건태, 29일 은퇴식
입력 2013.12.24 (16:12)
수정 2013.12.24 (16: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배구 심판계를 대표하는 '코트의 포청천' 김건태 한국배구연맹(KOVO) 전임심판이 정들었던 심판복을 벗는다.
한국배구연맹은 올해로 프로 심판 정년인 58세를 채운 김 전임심판이 29일 충남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은퇴식을 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일 열리는 남자부 우리카드-한국전력 경기에서 마지막으로 심판으로 나설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김 전임심판은 프로배구 출범 1년 전인 2004년 연맹 심판위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트리플 크라운(서브·블로킹·백어택 각 3개 이상), 비디오판독, 백어택 2점제, 심판 알코올 테스트, 재심요청제도 등을 입안해 프로배구 기틀을 다지는 데 이바지했다.
2005-2006시즌부터는 프로배구 심판으로 나서며 올 시즌까지 9시즌 동안 모두 422회의 경기를 맡았다.
김 전임심판은 나라밖에서도 '포청천'으로 이름을 날렸다.
1987년 국내 A급 심판이 된 그는 1990년 처음으로 국제심판이 된 데 이어 1998년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국제배구연맹(FIVB) 심판이 됐다. 그는 지난 20여 년간 국가 간 A매치 총 350여 회에서 심판을 맡았다.
또 그랑프리, 월드리그, 세계선수권대회, 올림픽 등 주요 국제대회 결승전에서 12회나 주심으로 심판대에 오르는 등 '심판 중의 심판'으로 활동했다.
김 전임심판은 2010년 세계클럽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국제심판으로서 은퇴식을 치르고 FIVB로부터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현재 아시아배구연맹(AVC) 심판위원으로 활동하는 김 전임심판은 은퇴 후 후진 양성에 전념할 예정이다.
한국배구연맹은 올해로 프로 심판 정년인 58세를 채운 김 전임심판이 29일 충남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은퇴식을 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일 열리는 남자부 우리카드-한국전력 경기에서 마지막으로 심판으로 나설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김 전임심판은 프로배구 출범 1년 전인 2004년 연맹 심판위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트리플 크라운(서브·블로킹·백어택 각 3개 이상), 비디오판독, 백어택 2점제, 심판 알코올 테스트, 재심요청제도 등을 입안해 프로배구 기틀을 다지는 데 이바지했다.
2005-2006시즌부터는 프로배구 심판으로 나서며 올 시즌까지 9시즌 동안 모두 422회의 경기를 맡았다.
김 전임심판은 나라밖에서도 '포청천'으로 이름을 날렸다.
1987년 국내 A급 심판이 된 그는 1990년 처음으로 국제심판이 된 데 이어 1998년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국제배구연맹(FIVB) 심판이 됐다. 그는 지난 20여 년간 국가 간 A매치 총 350여 회에서 심판을 맡았다.
또 그랑프리, 월드리그, 세계선수권대회, 올림픽 등 주요 국제대회 결승전에서 12회나 주심으로 심판대에 오르는 등 '심판 중의 심판'으로 활동했다.
김 전임심판은 2010년 세계클럽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국제심판으로서 은퇴식을 치르고 FIVB로부터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현재 아시아배구연맹(AVC) 심판위원으로 활동하는 김 전임심판은 은퇴 후 후진 양성에 전념할 예정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배구 대표 심판’ 김건태, 29일 은퇴식
-
- 입력 2013-12-24 16:12:23
- 수정2013-12-24 16:43:15
한국 배구 심판계를 대표하는 '코트의 포청천' 김건태 한국배구연맹(KOVO) 전임심판이 정들었던 심판복을 벗는다.
한국배구연맹은 올해로 프로 심판 정년인 58세를 채운 김 전임심판이 29일 충남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은퇴식을 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일 열리는 남자부 우리카드-한국전력 경기에서 마지막으로 심판으로 나설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김 전임심판은 프로배구 출범 1년 전인 2004년 연맹 심판위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트리플 크라운(서브·블로킹·백어택 각 3개 이상), 비디오판독, 백어택 2점제, 심판 알코올 테스트, 재심요청제도 등을 입안해 프로배구 기틀을 다지는 데 이바지했다.
2005-2006시즌부터는 프로배구 심판으로 나서며 올 시즌까지 9시즌 동안 모두 422회의 경기를 맡았다.
김 전임심판은 나라밖에서도 '포청천'으로 이름을 날렸다.
1987년 국내 A급 심판이 된 그는 1990년 처음으로 국제심판이 된 데 이어 1998년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국제배구연맹(FIVB) 심판이 됐다. 그는 지난 20여 년간 국가 간 A매치 총 350여 회에서 심판을 맡았다.
또 그랑프리, 월드리그, 세계선수권대회, 올림픽 등 주요 국제대회 결승전에서 12회나 주심으로 심판대에 오르는 등 '심판 중의 심판'으로 활동했다.
김 전임심판은 2010년 세계클럽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국제심판으로서 은퇴식을 치르고 FIVB로부터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현재 아시아배구연맹(AVC) 심판위원으로 활동하는 김 전임심판은 은퇴 후 후진 양성에 전념할 예정이다.
한국배구연맹은 올해로 프로 심판 정년인 58세를 채운 김 전임심판이 29일 충남 아산 이순신체육관에서 은퇴식을 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일 열리는 남자부 우리카드-한국전력 경기에서 마지막으로 심판으로 나설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김 전임심판은 프로배구 출범 1년 전인 2004년 연맹 심판위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트리플 크라운(서브·블로킹·백어택 각 3개 이상), 비디오판독, 백어택 2점제, 심판 알코올 테스트, 재심요청제도 등을 입안해 프로배구 기틀을 다지는 데 이바지했다.
2005-2006시즌부터는 프로배구 심판으로 나서며 올 시즌까지 9시즌 동안 모두 422회의 경기를 맡았다.
김 전임심판은 나라밖에서도 '포청천'으로 이름을 날렸다.
1987년 국내 A급 심판이 된 그는 1990년 처음으로 국제심판이 된 데 이어 1998년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국제배구연맹(FIVB) 심판이 됐다. 그는 지난 20여 년간 국가 간 A매치 총 350여 회에서 심판을 맡았다.
또 그랑프리, 월드리그, 세계선수권대회, 올림픽 등 주요 국제대회 결승전에서 12회나 주심으로 심판대에 오르는 등 '심판 중의 심판'으로 활동했다.
김 전임심판은 2010년 세계클럽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국제심판으로서 은퇴식을 치르고 FIVB로부터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현재 아시아배구연맹(AVC) 심판위원으로 활동하는 김 전임심판은 은퇴 후 후진 양성에 전념할 예정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