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과학·정보보호 전문 군 복무제도 도입
입력 2014.01.09 (11:24) 수정 2014.01.09 (15:31) 경제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나 정보보호 전문가들이 군대에서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전문 군 복무 제도가 도입됩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방부는 과학기술 전문인력이 군 입대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는 것을 막고 군에서도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과학기술 전문 사관과 정보보호 전문 부사관 제도 도입에 합의하고 오는 28일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대학 2학년생이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으로 선정되면 , 3~4학년 동안 국방 과학, 군사 훈련 등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3년 동안 국방과학연구소 등 군 연구시설에 소위로 임관합니다.
아울러 정보보호 전문 인력인 화이트해커 가운데 정보보호 부사관을 선발해, 5년여 동안 군 사이버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부사관으로 근무하게 할 방침입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방부는 과학기술 전문인력이 군 입대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는 것을 막고 군에서도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과학기술 전문 사관과 정보보호 전문 부사관 제도 도입에 합의하고 오는 28일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대학 2학년생이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으로 선정되면 , 3~4학년 동안 국방 과학, 군사 훈련 등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3년 동안 국방과학연구소 등 군 연구시설에 소위로 임관합니다.
아울러 정보보호 전문 인력인 화이트해커 가운데 정보보호 부사관을 선발해, 5년여 동안 군 사이버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부사관으로 근무하게 할 방침입니다.
- 과학·정보보호 전문 군 복무제도 도입
-
- 입력 2014-01-09 11:24:00
- 수정2014-01-09 15:31:27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나 정보보호 전문가들이 군대에서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전문 군 복무 제도가 도입됩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방부는 과학기술 전문인력이 군 입대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는 것을 막고 군에서도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과학기술 전문 사관과 정보보호 전문 부사관 제도 도입에 합의하고 오는 28일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대학 2학년생이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으로 선정되면 , 3~4학년 동안 국방 과학, 군사 훈련 등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3년 동안 국방과학연구소 등 군 연구시설에 소위로 임관합니다.
아울러 정보보호 전문 인력인 화이트해커 가운데 정보보호 부사관을 선발해, 5년여 동안 군 사이버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부사관으로 근무하게 할 방침입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방부는 과학기술 전문인력이 군 입대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는 것을 막고 군에서도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도록 과학기술 전문 사관과 정보보호 전문 부사관 제도 도입에 합의하고 오는 28일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을 전공하는 대학 2학년생이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으로 선정되면 , 3~4학년 동안 국방 과학, 군사 훈련 등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3년 동안 국방과학연구소 등 군 연구시설에 소위로 임관합니다.
아울러 정보보호 전문 인력인 화이트해커 가운데 정보보호 부사관을 선발해, 5년여 동안 군 사이버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부사관으로 근무하게 할 방침입니다.
- 기자 정보
-
-
김석 기자 stone21@kbs.co.kr
김석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