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100만 명 돌파…인력구성 장년화

입력 2014.01.09 (1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공무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평균연령은 43.2세이고, 40대 이상이 64.1%로 5년 전보다 8.8%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공무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41.4%로 집계됐다.

안전행정부는 지난해 6∼8월 헌법기관을 제외한 행정부 공무원 중 88만7천191명을 대상으로 '2013년 공무원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 밝혔다.

행정부 공무원 98만3천869명에다가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작년 6월 말 현재 헌법기관 종사자 2만2천605명을 더하면 현재 전체 국가·지방공무원 수는 100만6천474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휴직 인원 4만7천987명을 포함한 수치로, 실제근무 인원은 95만8천487명이다.

분석 결과 작년 기준 우리나라 전 공무원의 평균 연령은 43.2세로, 2008년 41.1세에 비해 2.1세 증가했다.

40대 이상이 64.1%로 2008년 55.3%보다 8.8%포인트 늘어 인력구성의 장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율은 41.4%로 2008년 40.6%에 비해 0.8%포인트 증가했다.

여성공무원들의 56.3%는 교육 분야에서, 29.7%는 지방자치단체에서, 11.7%는 중앙부처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 일반직 공무원의 첫 공직 입문 계급은 9급이 69.6%로 가장 많았고, 7급은 14.4%, 8급은 9.9%였다. 9급 공무원으로 공직에 입문해 5급 사무관까지 승진하려면 평균 25.2년이, 7급 공무원이 4급 서기관까지 승진하려면 평균 22.1년이 걸렸다.

공무원의 평균 공직재직연수는 16.8년으로 5년 전에 비해 1.4년 늘었다. 1993년 12.2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학력수준은 대졸이 48.4%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 이상은 21.9%, 전문대 및 고졸 13.8%, 중졸 이하는 2.1%였다. 공무원 중 대졸 이상 학력자는 70.3%로 우리나라 25세 이상 인구의 대졸이상 학력자 24.4%와 비교해 45.9%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주택을 소유한 공무원 비율은 67.9%로 무주택자는 32.1%에 달했다. 이는 전체 국민 중 무주택가구 비율 41.6%(2012년 기준)보다 낮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무원 100만 명 돌파…인력구성 장년화
    • 입력 2014-01-09 17:36:10
    사회
우리나라 전체 공무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평균연령은 43.2세이고, 40대 이상이 64.1%로 5년 전보다 8.8%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공무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41.4%로 집계됐다. 안전행정부는 지난해 6∼8월 헌법기관을 제외한 행정부 공무원 중 88만7천191명을 대상으로 '2013년 공무원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 밝혔다. 행정부 공무원 98만3천869명에다가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작년 6월 말 현재 헌법기관 종사자 2만2천605명을 더하면 현재 전체 국가·지방공무원 수는 100만6천474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휴직 인원 4만7천987명을 포함한 수치로, 실제근무 인원은 95만8천487명이다. 분석 결과 작년 기준 우리나라 전 공무원의 평균 연령은 43.2세로, 2008년 41.1세에 비해 2.1세 증가했다. 40대 이상이 64.1%로 2008년 55.3%보다 8.8%포인트 늘어 인력구성의 장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율은 41.4%로 2008년 40.6%에 비해 0.8%포인트 증가했다. 여성공무원들의 56.3%는 교육 분야에서, 29.7%는 지방자치단체에서, 11.7%는 중앙부처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 일반직 공무원의 첫 공직 입문 계급은 9급이 69.6%로 가장 많았고, 7급은 14.4%, 8급은 9.9%였다. 9급 공무원으로 공직에 입문해 5급 사무관까지 승진하려면 평균 25.2년이, 7급 공무원이 4급 서기관까지 승진하려면 평균 22.1년이 걸렸다. 공무원의 평균 공직재직연수는 16.8년으로 5년 전에 비해 1.4년 늘었다. 1993년 12.2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학력수준은 대졸이 48.4%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 이상은 21.9%, 전문대 및 고졸 13.8%, 중졸 이하는 2.1%였다. 공무원 중 대졸 이상 학력자는 70.3%로 우리나라 25세 이상 인구의 대졸이상 학력자 24.4%와 비교해 45.9%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주택을 소유한 공무원 비율은 67.9%로 무주택자는 32.1%에 달했다. 이는 전체 국민 중 무주택가구 비율 41.6%(2012년 기준)보다 낮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